“늦깎이 가장 노릇에 최선” 만혼의 50대 직장 휴무일에 ‘알바’ 나섰다 참변

지난 22일 파주 장남교 붕괴 사고로 숨진 일용직 근로자의 사연이 알려지면서 주위를 안타깝게 하고 있다. 희생자 중 한명이 홍오준씨(55)는 중년까지 총각으로 생활하다 올해 초 만혼으로 늦깎이 가정을 꾸려 제2의 인생을 설계하던 가장이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부인의 아들(22)이 2개월 전 교통사고를 내면서 불운이 찾아왔다. 갑자기 수천만원의 목돈을 쓰게 된 홍씨는 10년 넘게 전기업체에 다니고 있는 전기기술자였지만, 한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쉬는 날 처음 막노동에 나섰다가 참변을 당했다. 만혼의 가장으로서 누구보다 책임감이 강했던 홍씨였기에 주위의 안타까움도 더 컸다. 동생 홍기준씨(50)는 형은 올해 초 쉰다섯이라는 늦은 나이에 가정을 이룬 뒤 가장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껴왔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붕괴 사고로 중상을 입은 베트남인 리우움씨(38)의 사정도 딱하긴 마찬가지다. 고국에 있는 노부모와 두 아이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그는 사고를 당한 뒤 정신을 잃고 병원에 후송됐지만, 돌봐주는 사람도 없이 병실 한구석에서 신음하고 있었다. 서툰 한국말로 아파요라고 고통을 호소해도 의료진 외에는 그를 챙겨줄 사람이 없는 형편이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파주 장남교 붕괴사고 안전불감증?

임진강 장남교 건설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중 상판이 무너져 내리며 14명의 사상자(사망 2명, 부상 12명)가 발생한 가운데 경찰은 구조적인 안전성 문제와 부실공사 등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 놓고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섰다. 사고가 나자 경찰은 시공사인 ㈜태영건설의 현장 관계자들을 상대로 당일 작업 상황과 외관설계도 등을 바탕으로 원인 규명에 나섰으나,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수사를 의뢰, 23일 현장검증을 실시했다. 국과수는 정밀 감식을 통해 가설물 지지대의 이상 여부와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무게 균형 준수 여부, 태풍으로 인해 지지대 변형 등 인재 여부를 가려내기 위해 정확한 사고원인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사고는 지난 22일 오전 8시50분께 파주시 적성면 두지리 임진강 장남교 신설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상판 일부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현장에서 일하던 근로자 14명이 15m 아래로 추락, 홍오준씨(55)와 민봉현씨(50)가 숨지고 한모씨(51) 등 12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날 사고는 오전 7시30분부터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던 중 상판 지지 구조물인 거더(girder) 세 가닥 중 두 가닥이 타설한 콘크리트 무게를 이기지 못하면서 한쪽으로 기울며 통째로 주저앉아 발생했다. 이로 인해 상판에서 작업 중이던 대부분이 일용직 근로자들이 함께 15m 아래로 추락해 참변을 당했다. 장남교는 파주 적성면과 연천 장남면을 연결하는 총 길이 539m의 임진강 교량으로 2008년 2월 착공됐으며, 55m 길이의 상판을 세 가닥으로 나눠 하나씩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는 공법으로 공사가 진행중이었다. 파주=박상돈기자 psd1611@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