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한강신곡수중보 철거 움직임에 ‘반색’

김포시가 이전 및 철거를 주장해 왔던 한강신곡수중보에 대해 최근 서울시가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겸 공청회를 준비하는 등 철거를 위한 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18일 김포시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가 대한하천학회에 의뢰해 만든 신곡수중보 영향분석 최종보고서에 대해 국토부를 비롯해 경기도, 김포시, 고양시 등 지자체와 농어촌공사, 수자원공사 등 관계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강신곡수중보는 한강유람선 운영과 안정적 식수 및 농업용수 확보 등을 위해 지난 1988년 5월 설치했다. 이후 서울시가 박원순 시장의 공약에 따라 지난해 5월 철거 관련 연구용역을 착수했지만 철거를 반대하는 국토부와 1년여간 지지부진한 공방을 벌여왔다. 이에 민선4기인 지난 2008년부터 신곡수중보의 이전 및 제거를 추진해온 김포시로선 이번 철거 움직임이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김포시는 지난 26년간 유지해온 신곡수중보로 인해 △김포쪽 한강제방 세굴로 인한 붕괴 우려 △한강하구 퇴적층 육지화 △생태변화 △어로행위 제한 등의 피해를 받아왔다. 서울시의 신곡수중보 영향분석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완전철거와 가동보 개선(중앙설치 등) 두 가지 방안 모두 경제성 분석(B/C)이 1 이상이 나와 경제성이 있지만, 철거가 구조개선보다 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신곡수중보가 국유시설이긴 하지만 수중보를 둘러싼 문제점, 장단점을 공론화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는 책무가 서울시에 있다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내가 배운 지식, 친구들과 나눠요”

저의 재능을 친구에게 나눠줄래요! 김포교육지원청(교육장 박외순) 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은 초중학생들이 지난 한해 배운 재능을 일반 학생에게 맘껏 기부했다. 영재교육원 학생들은 최근 김포서초등학교에서 지역 내 초등학생 200여 명을 대상으로 친구들과 함께하는 배움, 나눔, 행복!을 주제로 재능 나눔 봉사활동을 펼쳤다. 이번 재능 나눔 봉사활동은 연산 오목, 누에고치 실 뽑기 등 10개 부스에서 진행됐다. 특히 영재교육원에서 교육받는 80여 명의 초중학생은 부스 운영자가 돼 그동안 영재교육원에서 배웠던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또래 친구들에게 프로그램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재능을 기부했다. 영재교육원 학생의 재능을 기부받은 김한길군(하성초교 5년)은 프로그램이 매우 흥미롭고 유익했으며, 영재교육원의 교육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며 내년에는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박외순 교육장은 이번 봉사활동은 영재교육원 학생들이 타인 배려 및 성취감을 맛보고 봉사의 의미와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깨닫는 소중한 기회라며 오늘 배운 봉사에 대한 덕목을 마음속 깊이 간직하고 더욱 키워나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김포교육지원청은 영재 학생의 창의성, 사회성, 인성 발달에 큰 관심을 갖고 몸과 마음이 균형잡힌 인재 양성과 김포지역 영재교육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김포=양형찬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