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국유림관리소 벌목 ‘병든 나무’ 외부유출

산림청 산하 수원국유림관리소가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 방제 사업을 진행하면서 벌목된 참나무를 외부로 유출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참나무시들음병은 광릉긴나무좀이 가진 균낭에서 확산된 곰팡이가 참나무에 침입해 수분과 양분의 상승을 차단해 나무가 빨갛게 말라죽는 치명적인 병이지만, 특별법이 제정돼 이동이 엄격히 제한되는 소나무재선충 피해목과는 달리 아직 법적인 규제가 없는 상태다. 23일 수원국유림관리소(이하 관리소)와 주민 등에 따르면 수원국유림관리소는 지난 2월 21일부터 4월 말까지 참나무시들음병이 발생한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 산16(28㏊)와 추곡리 산14(12㏊) 일대의 임야에 대한 방제 작업을 진행했다. 관리소는 당시 참나무시들음병 방제를 위해 소구역모두베기를 선택, 6천만원에 A업체와 수의 계약을 체결하고 피해지역 40㏊에서 고사목 3천2백여본 등 2만22본의 참나무를 베어냈다. 일반적으로 벌목사업은 벌목업자가 대상 면적에 해당하는 비용을 납부한 뒤 소유권을 가져가며, A업체는 벌목된 참나무를 인천의 한 산업용 합판 가공업체에 납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훈증 등의 처리과정 없이 외부로 반출한 것을 놓고 일부에서는 산림을 관리하는 최고기관의 판단치고는 너무 안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 훈증 등 별도 처리과정 않고 합판 가공업체에 납품 일부 지자체 이동 제한과 대조적 실제로 지난 2010년 기준 도내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면적은 전국 광역 시ㆍ도 중 가장 넓은 1천21㏊로, 두번째 규모인 경북지역 167㏊보다 8배나 넓었다. 더구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확산을 막기 위해 끈끈이 롤트랩 등을 이용한 방제 외에도 피해지역 나무들의 이동까지 제한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광주지역 산림 관계자는 그 동안 수차례의 참나무시들음병 방제작업을 해봤으나, 이번처럼 외부로 나무가 유출된 사례는 본적이 없다며 완벽한 방제를 위해 현장에서 처리가 이뤄지는게 적절하지 않겠냐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수원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광릉긴나무좀이 우화(羽化곤충이 번데기에서 탈피해 성충이 되는 것)하기 전에 벌목한 피해목은 이동이 가능하다며 해당 지역은 총 3천2백여본의 참나무가 고사한 것으로 사전조사에서 확인돼 완전방제를 위해 소구역모두베기를 실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광주소방서, ‘외국인 先교육, 後현장배치 프로그램’ 성료

한국의 안전의식 이제 알 것 같아요. 광주소방서(서장 이종원)가 필리핀 외국인 근로자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외국인 先교육, 後현장배치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광주시를 찾는 외국인 근로자의 증가와 함께 외국인 안전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사전에 예방코자 광주 소방서가 기획하고 추진했다. 교육은 광주소방서, 광주경찰서, 광주시보건소, 너른고을광주의제 21실천협의회, 새마을운동 광주시지회가 함께 참석하여 진행되었으며, 필리핀 강사의 현지 외국어로 교육이 진행되어 교육에 참석한 필리핀 근로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교육은 화재예방 및 응급처치, 교통범죄피해예방, 국내 의료지원 정책소개, 국내 환경문화 생태보호, 글로벌 코리아의 내용으로 이루어 졌다. 교육에 참가한 근로자들은 필리핀 문화와 다른 내용에 새삼 놀라는 모습 이었으며, 이들은 각자의 휴대폰으로 강의 내용을 녹화하고, 종이를 요구해 메모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이었다. 이종원 서장은 외국인들의 안전교육에 대한 열정이 이 정도일 줄 몰랐다며 다음달 23일까지 진행될 외국인 안전교육에 많은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신나게 놀이기구 타고… 얼굴에 웃음꽃 피었네

와! 호랑이다... 지난 19일 에버랜드 사파리파크, 관람을 하던 한 아이가 발음도 잘 되지 않는 목소리로 소리치며 호랑이를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한국장애인부모회 광주시지부(지부장 김정옥) 회원과 가족 200여명은 행복이야기 시리즈인 2012 함께하는 행복한 가족여행의 일환으로 봄 나들이를 했다. 에버랜드를 찾은 장애인 가족들은 땀을 뻘뻘 흘리면서도 놀이기구를 하나라도 더 타 보려고 애쓰며, 새로운 세상을 접하는 듯한 모습으로 힘든 줄도 모르고 즐거워 신기함에 푹 빠졌다. 불편한 몸으로 보고 싶은 것도 못 보고, 즐거워 할 수 없는 재가 장애인들로서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많은 사람들 속에 뒤섞여 하루를 보내는 것만으로도 행복함이 가득 느껴졌다. 박소영씨는 오늘 생각도 못했던 놀이기구들을 많이 타보고, 평생 동안 웃을 수 있는 웃음을 오늘 다 웃은 것 같다며 행복한 모습을 감추지 않았다. 김정옥 회장은 아이들이 어려운 만큼 좀 더 많은 것을 보여주고 싶고, 많은 경험들을 하게하고 싶은데 여건이 따르지 않아 마음이 아프다며 오늘 즐거워 하는 모습들을 보니 매우 기쁘고, 특히 너무도 많은 경험들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배려해 주신 에버랜드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