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취임 3주년 김병량 성남시장

도내 기초자치단체중 인구 규모로는 수원시 다음으로, 재정규모는 수원시를 앞질러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 동남부지역의 거대도시 성남. 뉴밀레니엄시대를 맞아 전국 최고의 쾌적한 주거환경과 자족기능을 갖춘 첨단도시를 만들어가는 김병량 성남시장을 만났다. -취임 3주년을 맞는데 그동안의 시정성과는. ▲지난 99년 전국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대통령표창을 수상했고, 2000년도에는 도시녹화, 국토공원화사업 전국 최우수, 정보화시책사업 경기도 최우수 등 25개 분야에서 전국 또는 경기도 최우수, 우수기관 표창을 받았습니다. 특히 지난 2월엔 ISO 9001과 ISO 14001인증을 획득, 한차원 높은 서비스행정을 펼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으며,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ICSID에 가입하기도 했습니다. -첨단 벤처도시 육성을 위한 시책은. ▲편리한 교통망과 SK텔레콤 중앙연구소, 한국통신, 포스데이타 등 민간연구소가 많이 입주한 유리한 지리적 조건으로 정보통신 및 벤처기업들의 이전이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시는 지난해 벤처빌딩을 건립하여 21개 업체를 입주시킨데 이어 분당지역 역세권과 테크노파크 81만평, 2·3공단 54만평 등 135만평을 벤처기업육성 촉진지구로 지정하고, 분당 백궁·정자지구 시유지 5천400여평에 연건평 7만여평의 벤처타운건립을 위해 시공업체와 협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기반시설 구축방안은. ▲9천90억원의 예산으로 모란광장∼야탑동간 도로개설을 비롯해 9곳의 중요 간선도로 확장사업이 진행중이며 주민숙원사업인 이매역사 건립공사에 483억원을 투입, 2004년 완공목표로 추진되고 있읍니다. -지식정보화 시대의 기반구축 방안은. ▲1만석 규모의 문화정보센터를 건립하여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온라인시스템을 구축, 시민문화활동과 정보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 생활정보시스템과 종합지리정보시스템을 도시계획종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해 전자정부구현을 위한 행정정보화에 역점을 두고 추진한 결과 지난해 경기도 정보화추진 실태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판교 벤처밸리 개발계획은. ▲281만평의 판교 벤처밸리 개발을 위해 1년여간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지식기반산업단지에 대한 현지확인 등 면밀한 분석을 해 왔읍니다. 국토연구원이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당정협의를 거쳐 개발방향이 결정될 것입니다. -디자인 특화도시 육성방안은. ▲오는 9월 코리아디자인센터가 건립돼 10월에 ICSID총회가 개최되며 ICSID집행위원회에서 계획하고 있는 성남 국제디자인 문화제를 개최, 디자인도시 성남 원년을 세계 유수의 디자이너와 국내·외에 공식발표할 계획입니다. 2·3공단, 성남벤처빌딩, 테크노파크, 분당벤처타운을 잇는 벤처벨트화와 판교개발시 디자인산업 육성과 관련한 종합적인 기능을 마련, 명실상부한 디자인산업의 메카로 자리잡아 나가겠습니다. -구시가지와 신시가지간 상호보완적 균형 발전방안은. ▲신·구시가지 주민들간 이질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재개발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택공사와 이주단지에 대한 주택문제를 협의, 3만8천세대의 임대주택을 올해안에 공급키로 했으며, 군용항공기지법에 의한 고도제한 문제는 군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시정 추진방향은. ▲앞으로의 경쟁은 미래산업인 정보·지식산업, 생명공학을 어떻게 준비ㅎ하는냐에 달려 있습니다. 디자인·문화·벤처도시 건설을 시정방향으로 잡고 시의 장기발전계획을 준비했읍니다. 기존 시가지에 대한 재건축, 재개발과 판교벤처밸리 건설, 서현역의 디자인거리 등의 사업으로 쾌적한 주거환경과 자족기능을 동시에 갖춘 살기좋은 성남만들기에 최선을 다할것입니다. /성남=이진행기자 jhlee@kgib.co.kr

경기도교육청 인사

◇본청 ▲공로연수 파견근무 李松複 ▲수원교육청 관리국장 沈相熙 ▲행정관리담당관 鄭長根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총무부장 場應淳 ▲감사담당관 申哲彬 ▲학교설립기획과장 李元基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 총무부장 鄭東成 ▲학교설립기획과 담당요원 申春鳳 ▲광주교육청 관리과장 李裕承 ▲학교설립기획과 담당요원 申仁秀 ▲과천고등학교 행정실장 崔承賢 ▲도립성남도서관 서무과장 朴尙和 ▲화성교육청 관리과장金榮申 ▲학교운영지원과 韓福賢 ▲교직과 담당요원 李琦龍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담당요원 李豊煥 ▲군포교육청 관리과장 許振旭 ▲감사담당관실 담당요원 宋在根 ▲총무과 담당요원 洪思億 ▲의사담당관실 담당요원 李敏大 ▲청명고등학교행정실장 李義坤 ▲불곡고등학교 행정실장 韓興錫 ▲남양주교육청 관리과장 安敎性 ▲가평교육청 관리과장 李翼柱 ▲여주교육청 관리과장 李榮卨 ▲이천실업고등학교행정실장 金漢佑 ▲소래고등학교 행정실장 李德根 ◇6급전보 ▲수원교육장 지정부서 최세원 ▲함현고등학교 김봉성 ▲고양교육장 지정부서 채학병 ▲중산고등학교 이승우 ▲송현고등학교 정영철 ▲동두천중앙종합고등학교 이종만 ▲연천교육장 지정부서 조창호 ▲군포교육장 〃 서명숙 ▲수원교육장 〃 서명숙 ▲수원교육장 〃 공석원 ▲용인고등학교 심우갑 ▲인천교육장 〃 강경호 ▲안산교육장 〃 박주실 ▲안양교육장 〃 이성근 ▲장곡고등학교 김대용 ▲성남교육장 지정부서 오종민 ▲남양종합고등학교 조영관 ▲군포교육장 지정부서 염선옥 ▲남양주교육장 〃 임영호 ▲성남교육장 〃 김기훈 ▲군포교육장 〃 김정희 ▲안양교육장 〃 한병희 ▲화수고등학교 황종수 ▲고양종합고등학교 정현섭 ▲고양교육장 지정부서 곽은숙 ▲부천교육장 〃 김수정 ▲안산교육장 〃 정성환 ▲수원교육장 〃 배영미 ▲〃최현희 ▲화성교육장 〃 문경호 ▲안양교육장 〃 이병길 ▲군포교육장 〃 장계숙 ▲안산교육장 〃 이용호 ▲정왕고등학교 이성조 ▲고양교육장 지정부서 류한봉 ▲덕정고등학교 원미란 ▲포천교육장 지정부서 강형근 ▲남양주교육장 〃 서대길 ▲설악고등학교 강승복 ▲포천교육장 지정부서 정인철 ▲동두천교육장 〃 최희경 ▲의정부교육장 〃 조경숙 ▲수원교육장 〃 김일권 ▲경남종합고등학교 문봉균 ▲이천고등학교 김학성 ▲여주교육장 지정부서 민오영 ▲장호원상업고등학교 박수창 ▲수원교육장 지정부서 변동현 ▲용인교육장 〃 배흥선 ▲성남교육장 〃 흥운택 ▲조종종합고등학교 김만호 ▲성남교육장 〃 최앵주 ▲남양주교육장 〃 김상걸 ▲고양교육장 〃 윤현아 ▲부천교육장 〃 한옥순 ▲수원교육장 〃 이광숙 ▲안산교육장 〃 조미자 ▲수원여자고등학교 엄신옥 ▲군포교육장 지정부서 김대중 ▲도립과천도서관 이경숙 ▲용인교육장 〃 흥연숙 ▲수원교육장 〃 최복윤 ▲안양교육장 〃 김현주 ▲군포교육장 〃 차행자 ◇7급전보 ▲소하고등학교 김영선 ▲용인교육장 지정부서 최건철 ▲광명북고등학교 황란희 ▲안양교육장 지정부서 김광진 ▲안양교육장 〃 박진숙 ▲군포교육장 〃 최조은 ▲안양교육장 〃 조재룡 ▲〃 송지희 ▲성남교육장 〃 이명애 ▲광주교육장 〃 곽현숙 ▲안산교육장 〃 이원준 ▲김포교육장 〃 김현주 ▲부천교육장 〃 김용구 ▲안산교육장 〃 이지영 ▲부천교육장 〃 조미자 ▲동두천교육장 〃 윤철식 ▲파주교육장 〃 고석진 ▲용인교육장 〃 한영미 ▲의정부여자고등학교 한선미 ▲경기도립중앙도서관 최진수 ▲영복종합고등학교 유재형 ▲평택교육장 지정부서 김동한 ▲안산교육장 〃 황정민 ▲성남교육장 〃 김수용 ▲의정부교육장 〃 이명희 ▲평택교육장 〃 이호경 ▲부천교육장 〃 최은실 ▲고양교육장 〃 장찬원 ▲용인교육장 〃 이경희 ▲안산교육장 〃 이희선 ▲용인교육장 〃 이경미 ▲화성교육장 〃 김영권 ▲안산교육장 〃 진완호 ▲원곡고등학교 선영경 ▲평택교육장 지정부서 이성숙 ▲양평교육장 〃 김용환 ▲파주교육장 〃 김추경 ▲율곡교육연수원 이은경 ▲가평교육장 지정부서 이미경 ▲용인교육장 〃 김행완 ◇8급전보 ▲이천교육장 지정부서 박정화 ▲광주교육장 〃 최경훈 ▲고양교육장 〃 박금자 ▲군포교육장 〃 김경숙 ▲경기도호국교육원 최상운 ▲수원정보산업공업고등학교 최정민 ▲안산교육장 〃 김진희 ▲광주교육장 〃 이재필 ▲수원교육장 〃박연주 ▲고양교육장 〃 박범수 ▲이천교육장 〃 노정숙 ▲수원교육장 〃 최정희 ▲광주교육장 〃 이인영 ▲용인교육장 〃 송영희 ▲부천교육장 〃 김유희 ▲평택기계공업고등학교 김은경 ▲분당고등학교 양대성 ▲수원교육장 지정부서 이수진 ▲성남교육장 〃 김금숙 ◇9급전보 ▲안양교육장 지정부서 권영숙 ▲수원교육장 〃 석소정 ▲평택교육장 〃 안은경 ▲안산교육장 〃 홍정임 ▲이매고등학교 장승철 ▲안산교육장 지정부서 노경아 ▲안양교육장 〃 장원선 ▲성호고등학교 윤연희 ▲율곡교육연수원 이환 ▲남양주교육장 〃 김진태 ▲용인교육장 〃 박귀녀 ▲이천교육장 〃 김미연 ◇6급승진 ▲고양교육장 지정부서 이경흥 ▲부천교육장 〃 안산초등학교 변영기 ▲경기도평택교육청 관리과 현종향 ▲덕성초등학교 안용숙 ▲파주교육장 지정부서 최은이 ▲이천교육장 〃 김일 ▲성남교육장 〃 송기봉 ▲안산교육장 〃 정난영 ▲부천남초등학교 임채님 ▲안산교육장 지정부서 이재숙 ▲하중초 유점진 ▲부천교육장 지정부서 정희경 ▲군포정보산업고등학교 전승진 ▲광명정보산업고등학교 정형기 ▲수원교육장 지정부서 최미숙 ▲군자공업고등학교 이근규 ▲가평교육장 지정부서 김영수 ▲성남제2초등학교 김재봉 ▲부천교육장 지정부서 전상도 ▲서현초등학교 김경호 ▲화서초등학교 이은미 ▲고양교육장 지정부서 김혜숙 ▲광명교육장 〃 고명숙 ▲서촌초등학교 박천익 ▲창호원고등학교 임성수 ▲남양주교육장 지정부서 윤재철 ▲화광공업고등학교 손태종 ◇7급승진 ▲이포중학교 임오봉 ▲운산초등학교 인재은 ▲김포교육장 지정부서 맹남수 ▲신성초등학교 최인선 ▲중흥고등학교 이수경 ▲성남교육장 지정부서 백혜현 ▲파주교육청 관리과 진명수 ▲개산초등학교 나해종 ▲화성교육장 지정부서 이주화 ▲안산교육장 〃 장경미 ▲수원교육청 관리국 재무과 유미숙 ▲상률초등학교 김선희 ▲지원국 학교설립기획과 김재영 ▲광주교육청 관리과 장재호 ▲화성교육장 지정부서 이응표 ▲안산교육장 〃 최경임 ▲이천교육장 〃 이용훈 ▲동두천교육장 김현미 ▲남양주교육청 관리과 서유현 ▲부천동중학교 국지영 ▲양평교육청 관리과 김휘도 ▲지원국 교육시설과 최두업 ▲광명교육청 학무과 김훈 ▲총무과 이승준 ▲신기중학교 이주연 ▲기획관리실 교육정보화 기획단 이원희 ▲안양교육청 관리국 관리과 장은경 ▲복장포초등학교 이기정 ▲안양공업고등학교 이이숙 ▲화광공업고등학교 김지옥 ▲화성교육장 지정부서 오경희 ▲금모래초등학교 김양수 ▲김포교육청 관리과 김성미 ▲금정중학교 윤미정 ▲평택교육장 지정부서 조윤경 ▲일죽초등학교 주용운 ▲삼덕초등학교 권은주 ▲의정부교육청 관리과 나윤희 ▲파주교육장 지정부서 이은정 ▲말월초등학교 노선경 ▲화성교육청 관리과 김은규 ▲정남중학교 김현숙 ▲포천교육장 지정부서 이정현 ▲도수초등학교 유영삼 ▲삼상초등학교 천미정 ▲부천남중학교 이상윤 ▲부명초등학교 이만영 ▲연천초등학교 이석호 ▲성남교육장 지정부서 이순주 ▲마창초등학교 조창묵 ▲상록중학교 조정미 ▲광명교육장 지정부서 정인석 ▲율곡교육연수원 김충권 ▲부인중학교 배성민 ▲원곡중학교 김지은 ▲화성교육장 지정부서 이소영 ▲고양교육청 관리과 최남경 ▲낙민초등하교 김윤실 ▲홍진초등학교 이영선 ▲평택중앙초등학교 윤혜정 ▲여주중학교 함창명 ▲김포서초등학교 류병임 ▲초당초등학교 백혜경 ▲화성교육장 지정부서 이소영 ▲덕산중학교 한희숙 ▲덕소초등학교 한성애 ▲교문중학교 박창순 ▲창평공업고등학교 안영필 ▲창수초등학교 차은경 ▲율면초등학교 김기영 ▲경남중학교 조성수 ▲백봉초등학교 이용범 ▲선일초등학교 박남경 ▲발안초등학교 이경화 ▲안산부곡초등학교 윤수진 ▲양동초등학교 최소정 ▲다문초등학교 최명진 ▲여주교육장 지정부서 홍이경 ▲용문초등학교 김은희

민선2기 시장취임 3년 강상섭 의왕시장

강상섭 의왕시장이 내달 1일로 민선2기 시장으로 취임한 지 만 3년이 된다.강시장은 그동안 의왕시를 수도권 제일의 전원 주거공간 조성과 미래의 하이테크산업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첨단산업과 자연환경이 어우러진 테크노전원도시 건설을 목표로 500여 공직자와 힘을 합해 각종 사업을 추진했다. 내손택지개발사업과 국도우회도로 개통 등 대규모 사업들을 완벽하게 마무리 했으며, 이제는 광역교통망 조성과 문화복지시설 등을 확충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시가 상급기관으로부터 받은 각종 수상실적은 지난 3년간의 시정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가운데 폐기물처리분야에 대한 경기도종합평가에서 2년연속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된 것은 ‘희망의 도시, 녹색의왕 건설’이라는 시정구호에 걸맞는 수상실적이기도 하다. 뿐만아니라 지방세 체납액 정리분야, 규제개혁 분야, 지방물가 안전관리 분야에서의 우수기관 선정, 공공근로사업 분야 종합 2위, 민원행정시책과 행정서비스헌장 분야의 장려선정, 도 체육대회에서의 2년연속 종합 3위 등은 12만 인구의 소도시 가운데 그리 흔치 않은 실적으로 꼽힌다. 이와함께 행정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17개 분야의 공공시설관리를 민간에 위탁하고 367건에 이르는 경영혁신 과제발굴과 시마크, 캐릭터 개발, 계원조형예술대학 및 성결대학교와의 관·학협동협정체결은 눈에 띄는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또 시민의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각 동을 돌며 시정설명회와 이동시장실을 수시로 개최하고 12개 분야에 이르는 행정서비스 이행표준을 헌장으로 제정했으며, 사랑의 보금자리, 푸드뱅크, 보건소 한방진료실 등의 운영으로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을 펼쳐가고 있다. 이밖에도 국도우회도로와 청계산 진입로 확장개통으로 교통량을 분산시켜 교통체증을 해소했으며, 부곡∼수원간 도로개설, 고천∼당정간 도로개설, 백운호수개발, 14만평에 이르는 내손택지개발 등을 추진중이다. 지난해 말에는 근로자들의 보금자리인 근로자 복지회관을 건립했으며, 미국의 노스리틀락시, 중국의 무청구와 자매결연을 체결해 본격적인 해외시장 개척에도 힘쓰고 있다. /의왕=임진흥기자 jhlim@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