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첫 스마트폰으로 2017년형 ‘갤럭시A5’를 19일 출시했다. 전작보다 기능을 크게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신형 갤럭시A5는 전ㆍ후면에 1천600만 화소의 고성능 카메라를 탑재했다. 2016년형 갤럭시A5의 전면 500만 화소, 후면 1천300만 화소보다 성능이 좋아졌다. F1.9 조리개로 어두운 곳에서도 밝고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디스플레이 광원으로 조명 효과를 내는 ‘셀피(전면 카메라로 찍는 사진) 플래시’ 기능으로 만족스러운 셀피 촬영을 할 수 있다.카메라 촬영 버튼을 화면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플로팅 카메라 버튼’과 스와이프 동작만으로 다양한 촬영 모드와 16개의 필터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또 갤럭시A 시리즈로는 처음으로 IP68 등급의 방수ㆍ방진 기능을 채택했다.IP68은 갤럭시S7과 같은 등급으로, 수심 1.5m에서 30분 동안 견딜 수 있다. 색상은 블랙 스카이, 블루 미스트, 피치 클라우드 등 3가지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54만8천900원이다. 정자연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첫 스마트폰으로 영 프리미엄(Young Premium) 타겟의 2017년형 ‘갤럭시A5(Galaxy A5)’를 19일 출시한다. 이 제품은 지난달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17에서 첫 선을 보이며 관람객들의 뜨거운 호평을 받았다. 2017년형 갤럭시A5는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찍어 인증하는 젊은 세대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차별화된 카메라 기능과 트렌디한 디자인, 뛰어난 방수방진 등 삼성전자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혁신적인 기능을 대거 탑재했다. 가장 큰 특징은 강력한 카메라다. 전후면 모두 F1.9의 16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해 어두운 곳에서도 밝고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광원으로 조명 효과를 내는 ‘셀피 플래시’ 기능으로 만족스런 셀피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촬영 버튼을 화면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플로팅 카메라 버튼’과 스와이프 동작만으로 다양한 촬영 모드와 16개의 필터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쉬운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2017년형 갤럭시A5는 갤럭시A 시리즈 최초로 IP68 등급의 방수·방진 기능을 지원해 눈·비 오는 날이나 야외레저활동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지문인식으로 더욱 안전하고 간편한 ‘삼성 페이’, 데이터와 이미지를 손쉽게 백업할 수 있는 ‘삼성 클라우드’서비스를 지원한다. 갤럭시A5는 디자인 측면에서도 갤럭시A 시리즈의 ‘영 프리미엄’ 스타일을 온전히 구현했다. 후면 3D 커브드 글래스와 메탈 프레임으로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편안한 그립감을 선사하며, 카메라 돌출 없이 매끈한 제로 디자인으로 셀피를 찍을 때 보여지는 뒷모습까지 놓치지 않는다. 이 제품은 블랙 스카이, 블루 미스트, 피치 클라우드 3가지 색상으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54만8900원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갤럭시 A5 출시를 기념해 이날부터 오는 26일까지 서울 홍대 커피스미스에서 라운징 (Lounging) 콘셉트의 색다른 제품 체험 공간 ‘2017 갤럭시 A 라운징’을 운영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017년형 갤럭시A5는 플래그십 모델의 프리미엄 기능을 더욱 트렌디하고 즐겁게 만날 수 있는 제품”이라며 “꾸밈없고 솔직한 매력으로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보다 편안하고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이투데이 제공
새해맞이 다짐으로 가장 많이 꼽히는 것 중 하나가 재테크다.전문가들은 재테크 초보자라면 목돈보다 일상 속 소소한 금액을 절약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래서 재테크 초보자에게 ‘앱테크(apptech)’를 추천한다.앱테크는 앱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스마트폰 앱을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신재테크 방법이다. 목돈을 모으기는 어려워도 절약과 저축을 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다. ■ 마이뱅크 2017년에 여행계획이 있다면 환전 수수료를 아낄 수 있는 마이뱅크를 추천한다. 마이뱅크는 은행뿐 아니라 사설환전소를 포함한 환율정보를 제공한다. 앱을 실행하면 국내 은행별로 현찰 살 때, 현찰 팔 때, 외화 송금 시의 환율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절약하기 탭을 이용하면, 명동과 이태원 등의 사설환전소의 환율 현황도 일반 은행 환율현황과 함께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은행 우대쿠폰이 있을 시 이를 반영한 환율 비교결과도 확인 가능하다. 이 밖에도 목표 환율 설정이 가능해 사용자가 앱을 수시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환율이 목표치에 도달하면 알람 서비스를 제공한다. ■ 캐시슬라이드 캐시슬라이드는 잠금 화면에서 광고와 콘텐츠를 보면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적립금이 쌓인다. 잠금 화면을 열 때마다 회당 1~5원 사이의 캐시가 적립되며 영상 콘텐츠 시청 시 7원~10원, 친구 추천 등의 특정한 미션을 수행하면 100원~1천500원까지 적립된다.적립된 캐시는 앱 내 상점에서 커피숍, 편의점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이나 디지털ㆍ가전, 잡화 등 배송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적립금이 2만 원을 넘으면 본인 계좌로 입금받을 수 있다. 캐시슬라이드 사용자라면 잠금 화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확인하고 월평균 커피 한 잔 이상을 공짜로 마실 수 있게 된다. ■ 페이랩 페이랩은 체계적인 소비지출 관리부터 현금, 포인트 등의 재테크 혜택을 주는 모바일 가계부 생활 플랫폼이다. 페이랩은 ‘소비지출 분석’ 로직 툴을 구축해 소비지출 평점과 등급을 부여하고 월별, 유형별, 시간대별, 라이프패턴별 등으로 지출 분석표를 제공한다. 카드사용 문자를 자동으로 정리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실시간 분석보고 기능도 지원해 사용자가 자신의 지출성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특히 페이랩은 다른 가계부 앱과는 차별화된 리워드 시스템을 구축해 포인트, 현금적립 등을 지원하고 있다. 사용자가 앱 내 자체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하거나 게시판 이용 시 리워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페이랩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정한 품질인증 기관인 한국데이터진흥원으로부터 ‘콘텐츠 제공서비스 품질인증’을 획득하기도 했다.조성필기자
지난해 국내에서 파일 없는(fileless) 악성코드 공격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보안업체 하우리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파일 없는 악성코드 공격은 모두 3천782건으로 전년보다 약 400%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파일 없는 악성코드는 말 그대로 시스템에 파일로 존재하지 않고, 메모리나 기본 시스템 구성 요소를 저장한 레지스트리에서만 동작한다. 주로 웹 브라우저의 취약점을 파고들어 윈도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프로그래밍 언어 파워쉘(Powershell)과 관리 도구 명령줄 유틸리티(WMIC)를 이용해 공격을 실행한다. 이 악성코드는 메모리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의 파일 기반 탐지 시스템으로는 찾아내기 어렵다. 보안 솔루션은 메모리 기반 진단을 강화하거나 취약점에 노출된 파워쉘 등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하우리 최상명 CERT(침해사고대응팀) 실장은 "국내에서 주로 랜섬웨어가 파일 없는 악성코드를 이용한다"며 "파일 없는 악성코드에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삼성전자가 게임 특화 노트북 ‘오디세이(Odyssey)’를 12일 출시했다.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는 삼성전자 최초의 게임용 노트북으로 지난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CES 2017에서 이노베이션 어워드를 받았다. ‘삼성 노트북 오디세이’는 최신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와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 ‘지포스 GTX 1050’을 탑재해 풀HD 해상도(1080p)로 초당 60프레임의 화질을 제공한다.특히 기존 게임용 노트북보다 두 배 이상 넓은 방열 통풍구와 대용량 듀얼팬으로 구성된 ‘헥사 쿨링 시스템’을 적용해 성능의 저하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풀HD 광시야각 저반사 디스플레이는 눈의 피로도를 줄여준다. 화면 크기는 15.6인치이며, 색상은 나이츠 블랙ㆍ스톰 화이트 2종이다. 가격은 프로세서에 따라 i7 탑재 모델은 200만 원(NT800G5M-X78W), i5 탑재 모델은 180만 원(NT800G5M-X58)이다.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홈페이지 (www.samsung.com/sec)에서 확인하면 된다. 정자연기자
"올해 판매되는 스마트폰 5대 중 1대 이상이 인공지능(AI)을 장착해 자료수집과 학습능력을 갖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이런 추세가 현실화하면 올해 인공지능을 갖춘 스마트폰은 3억대 이상이 팔리게 된다. 우리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전반을 크게 바꿀 것으로 보인다.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은 11일 '딜로이트 글로벌'이 '2017 첨단기술·미디어·통신산업(TMT)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스마트폰뿐 아니라 무인항공기, 태블릿, 자동차, 가상·증강현실장치, 의료도구, 사물인터넷(IoT) 등에도 '머신러닝' 적용이 확대될 것이라고 이 보고서는 전망했다. 이런 기기는 단순한 번역작업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결과 분석, 재난 발생 시 대응, 사이버 공격 대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됐다. 보고서는 또 자동차의 자동긴급제어장치(AEB) 기술의 발전과 보급에 따라 자동차 사고 사망률은 2022년까지 현재보다 16%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도 데이터센터, 소프트웨어 등 기업에 IT서비스를 제공하는 ITaaS(IT-as-a-Service)에 대한 기업의 지출이 전체 지출의 35%에 달할 정도로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딜로이트컨설팅 TMT 리더인 정성일 전무는 "2017년은 그간 주목받던 인공지능(머신러닝) 기술이 모바일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으로 적용되는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라며 ""더 똑똑하고 빠른 기능과 결합한 혁신기술이 기업과 정부, 소비자들의 기존 운영방식을 진화시키면서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 기회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로 16년째인 딜로이트 TMT 산업 전망 리포트는 딜로이트 글로벌이 딜로이트 회원사 고객, 산업 애널리스트, TMT 산업을 주도하는 경영진 및 딜로이트 글로벌 네트워크의 TMT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작성된다. '2017 TMT 산업 전망 보고서'는 딜로이트 글로벌 홈페이지(www.deloitte.com/predictions)에서 볼 수 있다.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을 제치고 미국에서 특허 취득 건수가 많은 기업 2위에 올랐다. 10일 미국 특허조사업체인 IFI(IFI Claims Patent Service)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6년 미국에서 5천518건의 특허를 취득해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8.8%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6년부터 11년 연속 2위를 지키고 있다. 1위는 105년 역사의 미국 IT 기업인 IBM이 차지했다. 24년째 1위 수성에 성공한 IBM은 지난해 유일하게 7천 건 이상의 특허를 취득했고, 올해는 8천88건을 기록했다. 하루에 특허 22건을 취득한 셈이다. 캐논과 퀄컴이 각각 3위와 4위에 올랐고, 5위는 구글이었다. 6∼10위는 인텔, LG전자, 마이크로소프트(MS), TSMC, 소니가 순서대로 차지했다. 특허 분야에서 삼성전자의 선전은 지속적인 R&D(연구개발) 투자 덕분이다. 삼성전자는 2015년 R&D에 14조8천400억 원을 투자했으며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11조1천억 원을 집행했다. 삼성전자가 특히 미국 특허에 집중하는 것은 특허 분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주요 기술 기업이 포진한 미국 시장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특허 분쟁을 벌이는 주요 무대다.스마트폰 등 하나의 완제품에는 수만 개의 특허가 포함돼 있어, 이 중 단 한 개가 특허 침해 소송이 걸려도 제품 판매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특허 선점으로 선행 기술을 확보, 신규 사업에 진출할 때 경쟁사를 견제하는 무기로 활용하겠다는 게 삼성전자의 복안이다. 정자연기자
화장품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알려주는 뷰티 관련 스마트폰 앱은 화장품 마니아에게 필수 아이템이다.제품의 성분을 알려주는가 하면, 해당 제품을 써본 사람들의 리뷰를 정리해서 보여주기도 한다. 매장에 가지 않고도 내 피부 컬러톤과 맞는 색깔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가상 메이크업 앱도 인기다. ■ 화해 ‘화해’는 시중에 유통되는 9천 개 브랜드의 8만 7천 개 제품 중 7만여 개 제품의 성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제품 카테고리는 스킨케어·클렌징·선케어·헤어·네일·향수 등 15가지 정도로 분류했다. 시중 제품에서 주로 사용되는 1만 3천여 가지의 성분이 등록돼 있다. 이 앱은 피부과 교수, 화장품 연구소 대표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소비자들이 알기 어려운 성분과 이 성분이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소개한다. 화장품의 모든 성분을 표기하고 20가지 주의 성분, 알레르기 주의 성분을 등급별로 분류해 피부가 민감한 소비자도 본인에게 맞는 성분을 선별할 수 있다. ■ 화장품멘토 ‘화장품멘토’는 각 성분의 대표기능과 EWG(미국 비영리 환경단체), CIR(미국 성분학회) 등 글로벌 안전성 평가를 함께 모아 보여준다. 이 앱은 자신에게 맞지 않는 성분을 제외하거나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포함해 제품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사용자가 본인 피부 타입에 맞춰 각 성분을 ‘관심성분’, ‘알러지·트러블 성분’ 등으로 등록해 두고 모아 볼 수 있어 편리하다. 피부 타입이나 사용 시기 등 다양한 옵션을 적용해 소비자에게 맞지 않는 화장품을 걸러내는 기능도 갖췄다. ‘화장품멘토’는 구글플레이 기준 5점 만점에 평점 4.7점을 받고 있다. ■ 메이크업플러스 개인의 얼굴이나 이미지에 어울리는 메이크업 스타일은 각각 다르다. 특히 화장품의 주된 소비층인 젊은 여성들은 입술이나 볼 터치 색을 피부톤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기 때문에 구입 전에 세심한 테스트가 필요하다.‘메이크업플러스(Makeup Plus)’는 피부 보정과 컬러렌즈 효과, 전문가 메이크업 기능 등을 제공해 민낯으로 찍어도 공들여 화장한 얼굴을 만들어 준다. 다채로운 메이크업 색상을 제공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구글플레이 기준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인기 앱이다.조성필기자
삼성전자는 최상의 편의성을 갖춘 2017년형 ‘갤럭시 A’를 2일 공개했다. 갤럭시 A는 ‘갤럭시 A7(5.7형)’, ‘갤럭시 A5(5.2형)’, ‘갤럭시 A3(4.7형)’ 등 총 3종이다. 이번에 공개된 2017년형 갤럭시 A는 전면과 후면 모두 1천600만의 고화소 카메라를 탑재해 선명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특히 ‘플로팅 카메라 버튼(Floating Camera Button)’을 적용하고, 디스플레이 광원을 사용한 셀피(자가촬영사진) 플래시 기능이 있어 언제나 편리하게 만족스러운 셀피를 촬영할 수 있다고 삼성전자 측은 설명한다. 메탈 프레임과 후면 3D 글래스로 매끈하고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또 갤럭시 A 시리즈 최초로 IP68 등급의 방수ㆍ방진을 지원하며, USB 타입-C 포트를 탑재해 충전 때 케이블의 앞뒤를 구분해야 하는 기존의 번거로움을 없앴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 페이’, 데이터ㆍ이미지를 백업할 수 있는 ‘삼성 클라우드’, 생체 인증을 통해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보안 폴더(Secure Folder)’, 화면을 켜지 않아도 언제나 시간과 날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Always on Display)’, 마이크로 SD 카드 슬롯 등 프리미엄급의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색상은 블랙 스카이 (Black Sky), 골드 샌드 (Gold Sand), 블루 미스트 (Blue Mist), 피치 클라우드 (Peach Cloud) 등 총 4가지로 출시된다. 오는 5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는 CES 2017에 전시될 예정이며, 1월 초 러시아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된다. 정자연기자
삼성전자가 내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7’에서 ‘CES 혁신상’을 수상한 2017년형 ‘파워봇’ 신제품을 선보인다.‘파워봇’ 신제품은 기존의 강력한 흡입력은 유지하면서 제품 높이가 기존의 135㎜보다 대폭 낮아진 97㎜이다.가구나 침대 아래 등에 쉽게 들어갈 수 있어 닿기 어려운 곳까지 꼼꼼하게 청소한다. 또 비전 매핑을 통해 집안 구조를 꼼꼼하게 분석하는 ‘내비게이션 카메라’와 1㎝ 정도의 얇은 두께의 장애물까지 감지하는 ‘풀뷰 센서 플러스’와 같은 정교한 센서가 탑재돼 장애물의 걸림 없이 효율적으로 청소한다.벽과 청소 솔 사이의 간격을 기존보다 훨씬 가깝게 만든 ‘엣지 클린 마스터’, 벽에 붙은 잔여 먼지를 긁어낼 수 있는 ‘오토 셔터’ 기능으로 모서리나 작은 틈새까지 깨끗하게 청소한다.또 삼성만의 독자적인 ‘셀프 클리닝 브러시’ 기능을 탑재해 솔에 끼어 있는 이물질을 손으로 일일이 떼어서 버리지 않아도 된다.이 밖에 ▲‘삼성 스마트 홈’ 앱을 통해 청소 시작ㆍ종료ㆍ예약할 수 있는 ‘와이파이 컨트롤’ ▲청소 완료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히스토리’ ▲리모컨으로 원하는 장소를 가리켜 청소하는 ‘포인트 클리닝’ 등 스마트한 기능으로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원하는 곳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017년형 ‘파워봇’ 신제품은 슬림한 디자인에도 강력한 흡입력을 유지하고, 실사용자들의 불편했던 점에 대한 의견을 완벽히 반영한 제품”이라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인공지능 기반의 독보적인 IoT 기술력으로 각 사용자 가정에 맞춘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혁신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