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권 ‘비선실세’로 주목받는 최순실씨의 국정농단 의혹을 풍자하는 스마트폰 게임이 나왔다. 31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약 76%가 이용하는 안드로이드폰용 앱(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장터인 ‘구글 플레이’에는 최근 한 주 사이 이런 풍자 게임 3종이 올라왔다. 5천여 다운로드를 기록한 ‘순실이 빨리와’는 말(馬)을 탄 최씨 캐릭터를 조종해 수갑 등 장애물을 피하는 것이 골자다. 캐릭터가 탄 말은 승마선수인 딸 정유라씨를 위해 최씨가 체육계와 대학에서 각종 비리를 저질렀다는 논란을 비꼬는 것으로 해석된다. 순실이 빨리와 개발자는 이 게임을 “개발자의 머리에 있는 공상과학과 풍자해학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현실과 많이 동떨어진 설정을 배격으로 기획된 게임임을 밝힌다”고 소개하고 있다. 현재 평점 5점 만점에 4.9점을 얻을 정도로 인기다. ‘순실이 닭 키우기’는 최씨가 배후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조종하듯 국정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비꼬았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제한 시간 안에 ‘닭’을 빠르게 키워내는 것이 목표다. 고소 고발, 연설문 수정, 북풍, 물 뿌리기, 펜 세우기, 구국의 결단까지 선택지 6개 중 원하는 것을 골라 지지도, 지능, 유신력과 같은 능력을 올려야 한다. 선택지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 다르며, 능력치에 따라 각기 다른 엔딩이 나온다. ▲ 최순실 게임 ‘최순실 게임’은 최씨가 대통령 연설을 고쳤다는 의혹을 소재로 삼았다. 인천의 한 대학교 학생동아리가 개발·출시해 눈길을 끈 이 게임은 최씨가 연설을 앞둔 박 대통령을 돕는다는 내용으로, 제한 시간 안에 화면 아래에 나오는 세 가지 단어 중 맞는 것을 찾아 눌러 무사히 연설을 마치는 것이 목표다. 단어를 제대로 선택하지 못하면 박 대통령의 연설을 듣는 최씨의 얼굴이 붉어지며 화난 모습으로 바뀐다. 이어 “어떡하냐. 더 이상 대통령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이냐”는 박 대통령 목소리가 나온다.
도내 소프트웨어(SW)개발자를 위해 글로벌 정보기술(IT)기업들의 최신 기술동향 등 다양한 정보를 교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도내 SW개발자 및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개발자 데이’를 오는 2일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다고 31일 밝혔다. 경기도와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도내 SW개발자들의 기술지식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해 SW중심사회를 실현하고자 마련됐다. 경기과기원은 SW개발자들에게 최신 정보통신기술(ICT) 동향을 공유하고 SW활용 등 문제점 개선의 기회를 제공하는 솔루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2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호튼웍스(Hortonworks) 등 글로벌 SW기업이 참석해 ‘빅데이터에도 진화가 필요하다(제프 마크햄(Jeff Markham) 호튼웍스 아시아 CTO) ’, ‘클라우드를 위한 하둡, 에이치디 인사이트 애저(HD Insight on Azure) 그리고 에코시스템(최주열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총괄 이사)’, ‘하둡의 지난 10년과 다가올 10년(최종욱 호튼웍스 코리아 CTO)’ 등의 강연을 펼친다. 오는 9일에 진행되는 ‘2차 개발자 데이’에서는 다양한 아마존 웹 서비스 솔루션 아키텍트(Solutions Architect)의 ▲서버리스(Serverless) 환경구현 ▲클라우드 환경 구현 ▲빅데이터 활용시 기술애로에 대한 솔루션 등을 주제로 강연이 이어진다. 참가신청은 경기과기원 홈페이지(www.gstep.re.kr) 게시판을 통해 등록하면 되며, 문의는 클러스터혁신본부 첨단기술융합팀(031-776-4832)으로 하면 된다.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단종에도 불구하고 3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에서 1위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3분기 7530만 대를 출하해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시장 점유율이 20.1%로 작년 3분기의 23.7%보다 소폭 하락했다. 같은 기간 스마트폰 출하 대수도 8380만 대에서 7530만 대로 감소했다. SA는 “삼성전자가 최근 2년 간 가장 느린 성장률을 기록했다”며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가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했고, 프리미엄폰 라인업에 큰 공백을 만들어냈다”고 분석했다. 2위인 애플 역시 시장 점유율이 13.6%에서 12.1%로 미끄러졌고, 출하 대수도 4800만대에서 4500만대로 줄었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빈자리는 중국 제조사들이 차지했다. 화웨이의 3분기 시장 점유율은 9.0%로 작년 3분기의 7.5%보다 상승해 2위 애플을 바짝 추격했다. 같은 기간 출하 대수는 2670만 대에서 3360만 대로 증가했다. 오포(oppo)와 비보(vivo)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프리미엄폰 시장을 공략해온 비보보다 중저가폰 중심의 오포 성장률이 더 가팔랐던 점이 눈에 띈다. 오포는 시장 점유율이 2.5%에서 5.8%로, 출하 대수가 900만 대에서 2160만 대로 뛰었다. 비보의 시장 점유율은 2.8%에서 4.9%로, 출하 대수는 980만 대에서 1830만 대로 늘었다. SA는 “화웨이가 오포, 비보 등과의 치열한 경쟁에 노출돼 있다”며 “오포는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신흥 시장에 진출하고 있고, 비보는 중국에서 삼성, 애플, 화웨이 고객을 잠식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역 언론의 축제 ‘2016 지역신문 컨퍼런스’가 다음 달 4일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열린다. 25일 지역신문발전위원회(위원장 우병동)는 ‘독자의 힘, 지역의 힘’이라는 주제 아래 지역신문의 변화와 발전을 확인하는 지역신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아홉 번째를 맞이하는 지역신문 컨퍼런스는 보도 및 편집, 경영 및 조직혁신, 스마트미디어 전략, 독자친화형 신문제작 등에서 지역신문의 다양한 우수ㆍ시행착오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다. 특히 올해는 ‘지역신문 토크콘서트 - 미래 독자와의 대화’, ‘인터랙티브 저널리즘’, ‘지역신문의 성장과 발전’ 등의 기획 세션과 지역신문 시민기자들의 활약을 확인하는 ‘지역민 참여보도 사업성과’ 특별 세션이 마련돼 지역민과 젊은 세대를 아우르는 지역신문의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지역신문발전위원회 관계자는 “신문의 양적 증가, 구독률 하락, 미디어 환경 변화 등 지역신문은 여러 도전에 직면해있지만 자구적인 경영혁신과 독자중심의 지면제작 등을 통해 큰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이번 컨퍼런스는 지역신문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과 비전을 독자의 힘에서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이폰7 시리즈 출시 이후 이동통신시장에 불법 보조금(페이백)이 난립하며 갤럭시S7의 실구매가격이 10만원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사들에 리베이트 자제를 권고하며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일부 대리점은 품귀 현상을 빚는 블랙 색상을 번호이동 고객에게 우선 개통해주며 버젓이 소비자 차별을 자행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지난 21일 아이폰7 시리즈 출시를 기점으로 고객확보를 위해 리베이트 경쟁적으로 살포하고 있다. 리베이트는 이동통신사가 고객 유치의 대가로 유통점에 주는 판매수수료다. 리베이트는 유통점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불법 보조금(페이백)의 재원이 된다. 통상 유통점은 마진과 세금을 제외한 금액을 고객에게 현금으로 지원한다. 아이폰7 번호이동 고객의 리베이트는 30만원대에 달했고, 갤럭시S7은 법인폰 기준 55만원까지 책정됐다. V20와 아이폰6s에도 최고 40만원대 리베이트를 줬다. 방송통신위원회의 가이드라인 30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액수다. 리베이트가 뛰면서 유통점이 고객에게 주는 불법 보조금(페이백)도 덩달아 올랐다. 일부 매장에서 갤럭시S7의 페이백이 50만원까지 오르며 공시지원금을 합한 실구매가가 10만원대 아래로 떨어졌다. 아이폰7 시리즈의 경우 인기 색상인 블랙을 미끼로 통신사 변경(번호이동)을 유도하는 모습이 곳곳에서 포착됐다. 일부 통신사 대리점은 블랙으로 기기만 변경할 경우 리베이트를 덜 주는 방식으로 기존 고객의 개통을 제한했다. 다른 색상 모델로 기기변경을 하는 경우에는 리베이트를 더 많이 책정해 수요의 분산을 유도했다. 통신사 변경을 유도하는 동시에 신규(번호이동) 고객을 위한 물량을 우선 확보하려는 전략이지만 엄연한 소비자 차별 행위에 해당한다. 이동통신사들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24일 이동통신 3사에 경고 조치를 내렸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난 주말 이동통신사에 리베이트 자제 권고와 함께 단속을 강화하면서 리베이트는 점차 안정화되는 추세"라며 "아직 전체 시장이 과열됐다고 판단하지 않지만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24일 이동통신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2만9천466건으로 집계됐다. 전산 휴무일이었던 23일 처리되지 않은 개통 물량이 몰리면서 평일에도 3만건에 육박했다. 통신사별로 SK텔레콤[017670] 가입자가 1천377명 늘어났고, KT[030200]와 LG유플러스[032640]는 각각 1천173명, 204명 줄었다. 앞서 21∼21일에는 SK텔레콤이 2천868명 줄고 KT와 LG유플러스가 각각 523명, 2만천345명 늘었다. 아이폰7 출시 이후 이동통신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21일 3만6천987건, 22일은 2만5천985건을 합해 나흘간 총 9만2천438건에 이른다. 올해 일평균 번호이동 건수 1만5천건의 6배에 달하는 수치다. 아이폰7 시리즈 예약구매자의 개통이 한꺼번에 몰린 데다 갤럭시노트7을 교환·환불하려는 기존 구매자와 신규 고객까지 더해지며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편 갤럭시노트7 구매자 상당수는 전날 공개된 삼성전자의 추가 보상책과 시장의 보조금 동향을 저울질하며 관망하는 분위기다. 지금까지 갤럭시노트7을 교환하거나 환불한 구매자는 전체의 15% 수준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를 대체할 스마트폰으로 낙점한 ‘갤럭시S7’의 판매량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역대 최고 판매량까지 기대하고 있다. 24일 증권업계 및 전자업계에 따르면, 갤럭시S7 시리즈 판매량은 상반기 기준 약 2600만 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갤럭시S7의 출하량 추이가 기존 최고 판매를 기록한 ‘갤럭시S4’(약 7000만 대)와 비슷하게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갤럭시S7은 역대 갤럭시 시리즈 중에서 최단기간 1000만 대 판매를 돌파하기도 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신모델 출시와 파격적인 구입 프로그램 등, 갤럭시S7의 판매량 확보를 위해 마케팅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내달 초 갤럭시S7과 갤럭시S7 엣지의 블루코랄 색상 모델을 국내 출시하는데 이어, 북미 등 전 세계 출시로 확대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럭시S7 블루코랄 모델은 내달 초 국내 출시가 첫 시작”이라며 “지역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해외 주요 국가 출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4분기 북미 지역은 블랙 프라이데이를 시작으로 크리스마스까지 이어지는 최대 특수가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7을 구입하면 TV를 증정하는 파격 이벤트를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전날 발표한 ‘갤럭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이 갤럭시S7 판매를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프로그램 이용 고객들은 갤럭시S7이나 갤럭시S7 엣지를 24개월 할부로 구입한 뒤, 12회차까지의 할부금을 납부하고 단말기를 반납하면 잔여 할부금(12개월)없이 ‘갤럭시S8’ 또는 ‘갤럭시노트8’을 구입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갤럭시S 시리즈는 갤럭시노트 시리즈가 출시되면 출하량이 절반가량 줄어들지만, 삼성전자는 갤럭시S7의 생산량을 최근 늘리고 있다”며 “꾸준히 판매량을 유지한다면 최고의 성적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삼성전자는 스피커와 저장장치를 조립해 쉽게 확장할 수 있는 원통형 디자인의 데스크톱 PC ‘삼성 아트PC’를 25일 공개했다. ‘삼성 아트PC’는 하만 카돈(Harman Kardon) 360도 스피커와 1TB HDD유닛을 기본 제공하며, HDD 유닛은 별도 구매해 본체에 간단하게 추가 장착할 수 있다. 풀 메탈 재질의 원통형 디자인으로 기존 데스크톱 PC 대비 약 80% 수준의 작은 크기도 장점이다. 또 총 15개의 색상의 LED 라이트를 다섯 가지 효과로 조합해 분위기 있는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데스크톱용 6세대 인텔 코어 i7 프로세서와 AMD 라데온 RX460 그래픽 카드를 장착했으며 HDMI와 USB 타입C로 동시에 2대의 4K 화질의 모니터를 연결할 수 있다. 전화번호를 ‘삼성 아트PC’에 등록하면 스마트폰과 파일을 쉽게 주고 받을 수 있는 ‘간편 공유’ 기능과 와이파이로 기기간 파일을 간단하게 이동하는 ‘와이파이 트랜스퍼’ 기능, 스마트폰을 웹캡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와이파이 카메라’ 기능도 적용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 아트PC는 원통형의 메탈 소재를 적용해 전통적인 데스크톱 PC에 대한 개념을 바꾼 제품”이라며 “데스크톱용 6세대 인텔 코어와 고사양 그래픽 카드로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면서 인테리어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 아트PC는 26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한국전자전에서 국내에 최초로 공개되며 27일부터 전국 주요 디지털프라자와 백화점, 일렉트로마트 등에서 하만 카톤 360도 스피커와 1TB HDD를 포함해 229만 원에 구입할 수 있다.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현재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2016 반도체대전(SEDEXㆍSemiconductor Exhibition)’이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25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는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를 비롯해 반도체 장비ㆍ소재ㆍ부품ㆍ설계 등 반도체 산업 내 전 분야 182개 기업이 참가한다. 삼성전자는 3차원(3D) 낸드플래시 기술을, SK하이닉스는 21나노 모바일 D램 기술을 선보인다.해외기업은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등이 대규모 기업 부스로 참가해 최근 가장 주목받은 분야인 자동차용 반도체(인피니언)와 사물인터넷 플랫폼(ST마이크로)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행사에서는 중국ㆍ인도ㆍ대만ㆍ일본의 총 11개 반도체 기업의 해외 바이어 40여 명이 국내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상담회도 진행한다. 중국은 SMICㆍ화홍그레이스(HHGRACE)ㆍTCLㆍBBKㆍ비보(VIVO)ㆍZTE 등 8개 기업 바이어가 수출상담회에 참가한다. 인도는 현지 토종 스마트폰 2위 업체 인텍스(Intex), 대만은 글로벌 3위 파운드리 UMC, 일본은 소니가 수출상담회에 참여한다.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동부하이텍은 자사 구매팀을 반도체대전 행사에 파견해 전시 참가사 부스를 직접 방문하며 구매 상담을 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 기간에는 총 70여 개 세션의 콘퍼런스와 세미나도 개최된다. 특히 시스템반도체(SoCㆍSystem On Chip) 생태계와 첨단 반도체 기술 동향, 시장 전망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콘퍼런스와 세미나 등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반도체 스타트업(신생벤처)을 산업 내 생태계로 끌어올리고자 스타트업 특별관과 시스템반도체 성과전시관 등을 선보인다. ‘시스템반도체 R&D성과 매칭 페어’라는 부스명으로 선보이는 시스템반도체 성과전시관에는 국내 팹리스 40여 개사의 연구개발(R&D) 성과가 전시된다. 장비 자동화의 핵심인 모션 엔지니어링 기술과 이를 적용한 로봇들을 소개하는 ‘모션컨트롤 특별관’도 마련됐다. 한편, 2016 반도체 대전은 사전 등록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등록은 오는 24일까지 반도체 대전 홈페이지(www.sedex.org)에서 할 수 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에 대한 추가 소비자 피해 보상프로그램을 마련했다.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을 갤럭시S7이나 갤럭시S7엣지 2종 가운데 하나로 교환하면 내년에 출시하는 갤럭시S8이나 갤럭시노트8을 구매할 때 1년치 잔여 할부금을 면제해 주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2년 약정을 기준으로 기기 할부금 12개월치를 내면 나머지 12개월치를 면제하고 새 기기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소비자가 갤럭시S8을 원하면 내년 2∼3월 잔여 할부금 약 18개월치 중 6개월치만 추가로 내고 구매할 수 있다.내년 8∼9월 나올 갤럭시노트8 구매를 원하면 잔여 할부금 약 12개월치를 전부 면제받고 해당 기기를 구매할 수 있다. 또 삼성전자 서비스센터를 방문하면 수리를 우선 신청하는 ‘패스트트랙’ 서비스를 제공하고, 액정 수리 비용 50%를 할인하는 혜택도 두 차례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