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파특수요원 미칠듯한 훈련에 결국…

前 공작원, 훈련중 땅에 묻고 반복되는 구타로 정신분열증 수원지법 군복무 과정서 인과관계 있다 국가유공자 인정 영화 실미도에 나왔던 북파특수임무요원(HID요원)들이 실제 훈련을 받다가 정신이상이나 사망 등의 비극적인 운명을 맞기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원지법 행정2단독 왕정옥 판사는 군복무 중 훈련 여파로 정신분열증을 앓게 됐는데도 공무수행중 상이 인정을 받지 못한 전 북파공작원 K씨(36)가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국가유공자요건비해당결정취소소송에서 원고승소판결했다. 왕 판사는 판결문에서 입대 전까지 증세가 없었고 가족 중 병력을 가진 사람이 없는 점, 견디기 힘들 정도의 정신적 충격을 받을 만한 사건을 겪은 점 등에 비춰보면 원고의 정신질환은 군복무 과정과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 1997년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K씨는 모병관으로부터 50개월 근무를 마치면 1억원 이상 돈을 주고 제대하면 국가기관에서 일하게 해주겠다는 말을 듣고, 그해 4월 북파돼 요인 납치, 암살, 첩보수집 등을 주임무로 하는 특수임무요원으로 입대했다. 입대 한달 뒤 K씨는 훈련을 제대로 못한다는 이유로 교관이 던진 대형 해머를 피했다가 옆에 있던 동료가 대신 맞고 쓰러지는 것을 본 뒤부터 공포감과 자책감을 느꼈다. 100일 훈련 뒤 부대에 배치된 K씨는 휴전선 침투 훈련, 공수강하훈련, 투검, 해상수영 12㎞ 등의 전문 훈련을 받았지만, 기강확립이라는 명목하에 야구방망이와 축구화 끝부분을 이용한 구타도 날마다 이어졌다. 이후 구덩이를 파고 들어가게 한 뒤 모르스부호 송수신이 틀릴 때마다 물을 채워넣기도 했고, 한겨울에는 수시로 부대 앞 계곡 얼음물에 밀어넣고 3시간 동안 버티게 하는 등의 정신적ㆍ육체적 고통은 더해갔다. 지난 1998년 5월께 훈련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같은 방을 쓰던 K씨 후배를 투검훈련용 표적 옆 나무에 묶어두거나 목만 내놓고 땅에 파묻은 채 1주일을 내버려두고 욕조에서 물고문을 반복하는 선배들의 모습을 보기도 했다. 적응을 못하던 K씨 후배는 결국 군 복무중 사망했다. K씨는 50개월의 군생활을 하면서 점점 불안, 초조해하고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을 혼자 중얼거리며 선배나 동료들이 묻는 말에 엉뚱한 대답을 하는 등 이상한 행동을 하며 점차 멍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K씨는 제대후에도 이상증세를 조금씩 보이다가 전역 3년후인 지난 2003년께부터 정신분열증 증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 아직까지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200억대 ‘가짜경유’ 유통 일당 적발

한국석유관리원(이사장 강승철)이 경찰과 합동으로 식별제를 제거한 등유를 경유와 혼합해 만든 가짜경유 200억원대를 유통시킨 조직을 적발했다. 석유관리원과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가짜경유 200억원대를 유통시킨 일당 9명을 검거(구속 1, 불구속 8)하고 1억6천만원 상당의 가짜경유를 압수했다고 28일 밝혔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지난 2009년 말부터 정상휘발유와 경유에 용제를 혼합한 용제혼합형 가짜석유를 만들어 판매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석유관리원이 용제 불법유통 단속을 강화하면서 용제 공급이 끊기자 같은 해 9월부터 판매방식을 전환해 등유혼합형 가짜경유를 제조해 판매해 온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은 등유와 경유를 단순 혼합할 경우, 등유에 포함된 식별제가 검출돼 쉽게 단속된다는 점을 알고 단속을 피하기 위해 주유소 내에 있어도 의심받지 않는 탱크로리 차량을 개조했다. 또 내부에 활성탄과 부직포 등을 넣고 등유 식별제를 걸러낸 후 정품경유와 혼합해 가짜경유를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강승철 한국석유관리원 이사장은 손쉽게 등유에서 식별제를 제거해 가짜경유를 만들어 내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체 식별제를 논의하고 있다며 등유혼합 가짜경유 판매 등 불법유통 이상징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석유수급보고 전산화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석유관리원은 지하경제 양성화를 위해 이번에 적발된 석유사업자들에 대해 국세청에 탈세 등 조사를 의뢰하고, 등유 공급업체를 추적 조사하는 등 수사를 확대할 계획이다. 최원재기자 chwj74@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