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젊어진 ‘일손’ 취업자 평균 연령 낮아…전국·도내 평균보다도 젊어

평택지역 취업 평균연령이 40대 초반으로 전국 및 경기도 연령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신도시가 위치한 고덕동은 30대 초반으로 수도권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9일 평택시와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 누리집 등에 따르면 실제 지역의 취업자 수는 2013년부터 매년 꾸준히 늘고 있으며 평균연령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45.3세)과 경기도(43.6세) 등보다 낮은 41.9세를 기록했다. 이 중 국제신도시가 있는 고덕동의 경우 평균연령이 33.1세로 수도권 읍·면·동 중 가장 젊은 것으로 조사됐다. 출생아 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023년보다 10.8% 증가한 4천110명으로 집계됐다.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런 증가율은 인구 50만명 이상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지난해 시·군 출생아 수 증가율은 평택시에 이어 수원시(9.0%), 화성시(7.4%), 안양시(6.7%), 파주시(5.1%) 등이었으며 전국 출생아 평균 증가율은 3.1%로 나타났다. 최근 6년(2018~2023년)간 주택 수가 전국 기초지자체 중 두 번째로 많이 증가했고 2019년 평택시가 대도시로 진입한 이후 인구 50만 이상 시·군·구 중 가장 높은 조혼인율을 매년 기록하고 있다. 시는 높은 출생아 증가율과 관련해 취업자, 젊은층의 유입, 주택 보급, 높은 혼인율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정장선 시장은 “반도체 등 미래산업 활성화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고 고덕과 지제역 인근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이 활발히 이뤄져 젊은층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평택대학교, 평택시민들을 위한 자살예방교육 시행

평택대가 시행 중인 자살예방교육이 청소년들에게 안전지킴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평택대는 지난 6월부터 지역사회 자살예방 교육 및 시스템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자살예방 개입 모델 개발부터 강사 육성, 교육 진행, 전문자원봉사자 교육 등 체계적인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지역사회 극단적 선택 식별 및 대응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 교육에는 평택에 거주하는 50여명의 학생, 주부, 교사, 직장인 등이 참여했으며 평택대 상담학과 차명호 교수를 비롯해 강사진들이 교육을 담당했다. 강의 후 참가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눠 생명을 구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비롯해 자살예방을 위한 대응전략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강의에 참여한 시민 A씨는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갑자기 떠났던 친구의 이야기를 하면서 그 친구가 힘들어 할 때 관심을 주지 못했던 사연에 눈물을 흘렸다"고 말했다. 시민 B씨는 “지인이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그분이 오늘 같은 교육에 참여했다면 그런 선택은 하지 않았을 것 같다”고 밝혔다. 특히 참석자들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해 알 것 같다"며 “교육이 지속적으로 진행됐으면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초·중·고교 교사 및 기업 등을 직접 찾아가 이뤄진 이번 교육은 1천500여명이 참여했다. 한편 평택대는 이번 자원봉사교육을 받는 시민들에게 마음 지킴이 수료증을 수여하고 지역 사회에서 이웃들의 마음 지킴이로 활동할수 있도록 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