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감전사고 상동역서 50대 장애인 숨진 사실 뒤늦게 밝혀져

근로자 2명의 감전사고가 났던 부천 상동역에서 50대 장애인이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진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11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5시57분께 부천시 상동 지하철 7호선 상동역 변전실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감전사고로 부상을 입었다. 소방당국은 사고가 나자 현장에 소방관 50명과 장비 21대를 투입, 구조작업에 나섰다. 장덕천 부천시장과 365안전센터 직원 등도 현장에 나왔다. 장 시장 등은 당시 소방서가 사고현장을 폐쇄ㆍ차단, 진입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이날 오후 8시10분께 변전실 옆 장애인 화장실에서 전동휠체어를 탄 50대 남성 장애인이 쓰러져 있다는 신고가 소방당국에 접수됐다. 119가 긴급 출동, 이 남성을 병원으로 옮겼지만 사망했다. 경찰은 수사에 나섰다. 일각에선 감전사고 시 이산화탄소 자동소화장치가 작동돼 장애인 화장실에 이산화탄소 배출에 따른 산소결핍으로 드러나면 소방당국이나 철도청, 부천시 등 행정기관의 부주의에 따른 사회적 타살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변전실에 설치된 자동소화설비는 물이 아닌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천=오세광기자

부천 고물상 삼정동 시유지 수년간 무단 점용…단속 나몰라라

부천 삼정동 시유지에서 고물상이 무단으로 컨테이너 가설 건축물을 설치하고 작업차량들도 불법으로 주차하고 있는데도 단속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11일 부천시와 민원인 등에 따르면 A고물상이 삼정동 12-19와 27번지 일원 시유지를 무단 점유, 컨테이너 가설건축물을 설치했다. 본보 취재 결과 이날 현재 고물상 작업차량들이 불법으로 주차됐고 대형 폐타이어와 건축폐기물, 생활폐기물 등이 어지럽게 널려있다. 인근 주민들은 A고물상의 불법행위에 대해 수십차례에 시에 민원을 제기해 왔으나 방치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삼정동 주민 B씨(64)는 A고물상이 시유지를 무단 점유한 건 십수년째이다. 수십차례 신고했으나 단 한번도 행정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더구나 멀쩡한 보도를 아스콘으로 포장까지 하고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는데도 시는 단속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A고물상 관계자는 사장이 없다며 별다른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오정동 도로관리팀과 클린건축팀 관계자는 2차례 현장 확인 결과 보도에 폐기물과 작업차 불법주차 등을 적발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며 컨테이너 용도에 맞게 사용할 것을 지시했고 이후 원상조치되지 않았을 경우 고발 등 행정조치를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부천 레미콘업체ㆍ건축폐기물 처리업체 살수ㆍ세륜시설 미가동 말썽

부천지역 레미콘업체 등이 살수ㆍ세륜시설을 미가동하다 당국에 적발됐다. 특히 이들 업체는 시와 미세먼지 저감협약을 맺었던 것으로 드러나 당국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9일 경기도 특별사법경찰(특사경)과 부천시 등에 따르면 특사경은 지난달 부천 삼정동 일대 환경관련 업체들을 불시 점검, 살수ㆍ세륜시설을 미가동한 레미콘ㆍ아스콘업체와 건축폐기물 운반업체 등 4곳을 적발했다. 이들 업체는 지난 2019년 9월 삼정동 일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시와 협약을 맺은 이후에도 불법을 저질러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업체는 당시 협약식에서 미세먼지 저감 자체계획 수립ㆍ법적기준ㆍ운영수칙 준수 등을 약속했다. 시는 협약 이후 중국과학원 및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등과 공동으로 삼정동 레미콘단지 일원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마련하는 등 미세먼지 발생 업체에 협력을 당부했다. 시는 앞서 지난해 6월 삼정동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했다. 삼정동은 레미콘업체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들이 밀집해 있고 인근 경인고속도로와 공장밀집지역 대형 화물차 이동이 많아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지역이다. 특사경 관계자는 레미콘업체가 몇년 전에도 적발된 적이 있다. 이번에 적발된 업체는 현재 조사 중이다. 대기환경보전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특사경에 적발된 업체 중 일부는 시와 미세먼지 저감협약을 맺었다. 조치 이행명령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