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당선인들이 모처럼 한자리에 모였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초청한 도정 간담회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경제 3법’을 설명하고 입법 협조를 당부했다. 반도체 특별법 제정, RE100 3법 제정·개정,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 제정 등 3개다. 모두 경기도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법률이다. 김 지사가 취임 이후 추진하는 핵심 사업이기도 하다. 하나같이 국회를 통한 입법이 필요하다. 국회 도움이 절실하다. 반도체 특별법은 이천, 용인, 화성, 평택의 현안이다.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 지원, 기업 집중 입주, 가용 인력 확보, 신재생에너지 확충, 수도권 규제 완화, 팹리스 및 중견·중소 기업 지원, 반도체 생태계 기금 조성 등이 필요하다. 이를 담아낼 수 있는 기본적인 출발이 반도체 특별법이다. 지난 23일 윤석열 정부가 반도체 지원책을 발표했다. 보조금 지원이 빠졌고, 송전선로 조기 완공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그 답도 반도체 특별법이다. RE100 3법은 지구촌 기준에 맞추기 위한 미룰 수 없는 과제다. 경기도 산업 구조 선진화를 위해 시급하다. 신재생에너지법 개정, 영농형 태양광 지원 법률 제정, 산업집적법 개정 등 3개 법안으로 정리돼 있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는 김 지사가 추진하고 있는 최대 현안이다. 이날 인사말을 통해서도 “북부의 많은 의원들께서 동조해주고 계시다”며 당선인 전체의 동참과 협조를 당부했다. 참석자들은 협력을 약속했다. 추미애 당선인은 “경기도가 잘되면 대한민국도 잘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성원 당선인은 “여당이라는 책임감으로 (경기)도 현안도 책임지겠다”고 말했고, 이준석 당선인은 “(경기도 발전을 위해) 보탤 수 있는 것은 다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간담회는 당선인들에게도 필요한 자리다. 22대 총선에서 많은 공약이 제시됐다. 도로교통망 확충 공약, 도심권 재개발 공약, 기피 시설 공약, 산업단지 배정 공약 등은 도의 협조가 필수다. 국회의원 공약의 성패가 도정에 달렸다. 도정의 성패도 국회의원들에게 달렸다. 상생이다. 여기에 무슨 당리당략이 필요하겠는가. 경기도정 간담회는 정쟁이 쉬어가는 곳이다. 극단의 대립을 접고 함께 모여 토론하는 곳이다. 민주당 36명, 국민의힘 3명, 개혁신당 1명이 참석했다. 60명 가운데 40명에 달한다. 내로라하는 중진들도 대거 참석했다. ‘경기도-총선 당선인’ 회동은 매번 있었지만 이번과 같은 성황도 드물었다. 불참한 20명의 당선인들이 아쉽다. 각자 판단은 있었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해당 지역민의 눈엔 아쉽다. 도정에 기댈 현안이 그만큼 많아서다.
사설
경기일보
2024-05-28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