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하나로 시작했다. 더 있을 것 같다. 하남, 광명, 과천, 구리, 고양 등의 요구도 나오고 있다. ‘우리도 하겠다’는 ‘편입 2호’ ‘편입 3호’ 요구다. 여권에서도 광명·구리·하남·고양 등이 공공연히 얘기된다. 일부에서는 새로운 서울지도가 유포되기도 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높은 서울 통근 인구 비율이다. 전철 등 교통편에서 사실상 서울 생활권이다. 구체적인 여론조사는 아직 나온 바 없다. 하지만 서울 편입을 원하는 목소리가 많지 않을까 싶다. 동전의 앞뒤 면과 같은 측면이 있다. 기타 지역의 소외감과 불안감이다. 메가시티 구상은 서울 중심의 사고다. 경기도 입장에서는 지역 축소, 인구 축소, 산업 축소를 의미한다. 당장 경기도가 추진하던 경기북부특별자치도(북자도)의 운명부터 주목된다. 메가시티의 폭발성이 워낙 강해 북자도 논의를 흡수했다. 경기북부 지역 주민들엔 아쉬움일 수 있다. 여기에 북자도의 핵심이라 할 고양시 여론이 북자도에서 서울 편입으로 쏠리는 흐름이 있다. 경기남부 주민들도 조심스레 상황 전개를 보고 있다. 경기도의 중심 인프라는 경기남부권이다. 수원의 행정 인프라, 용인과 화성, 안산 등의 산업 인프라가 워낙 공고하다. 메가시티 프로젝트가 이 기존의 위상에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해 한다. 경기도의 축소는 필연적으로 경기남부권의 축소로 이어진다는 부정적 전망이 있다. 반면, 경기남부의 경제적 토대는 수출 등 국제 경제의 영역이기 때문에 전혀 영향 받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정답을 떠나 이런 여론이 가리키는 한 가지 방향이 있다. ‘불안’이다. 이 불안을 해소해주고 대변해줄 대표적인 집단이 있다. 효력 있는 유일한 대의 기관, 경기도의회다. 메가시티 정국에서 경기도의회가 중심에 치고 들어가야 한다. 지역 특성상 하나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점은 있다. 그러면 권역별 의견이라도 활발히 전개해야 한다. 경기도를 쪼개는 문제에 경기도의회가 침묵한다는 것이 말이 안 되지 않는가. 의원 한 둘이 균형 발전을 요구하는 수준의 의견을 말하는 게 전부다. 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은 반대라는 기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 수위는 중앙당에 비해 현격히 작다. 국민의힘의 침묵은 더 문제다. 메가시티는 기본적으로 국민의힘이 던진 화두다. 그리고 그 대상이 경기도다. 좋든 싫든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이 당사자가 된다. 의견을 내야 하는 것 아닌가. 활발히 움직여야 하는 것 아닌가. 눈치볼 게 따로 있지. 김포에서 의정부, 수원, 안성 등 모든 지역 의원들은 의견을 말해야 한다. 이럴 때 역할하라고 도의원 시켜 준 거다.
사설
경기일보
2023-11-06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