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의 폐해가 심각하다. 실제 사실이 아닌 거짓 정보, 특정 의도를 가지고 조작한 허위 정보인 가짜뉴스는 공동체를 갈라 놓고 사회를 병들게 한다. 정치적·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경제적 피해도 준다. 국격까지 추락시키는 사례도 있다. 가짜뉴스는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발달로 아주 빠르게 확산된다. 무분별하게 퍼뜨리는 가짜뉴스는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고 시민들을 불안에 빠뜨린다. 일례로 지난 8월4일 포천시 내손면 종합버스터미널에서 흉기 난동 및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는 소문이 퍼졌다. 만취한 40대 남성이 벌인 것으로 시민 36명이 피해를 입었다는 내용이었다. 포천시에는 내손면이 없다. 확인 결과, 가짜뉴스였다. 이런 종류의 가짜뉴스는 비일비재하다. 어떤 이는 장난삼아, 어떤 이는 악의적 의도를 갖고 가짜뉴스를 생산한다. 각종 온라인 플랫폼에서 쏟아지는 가짜뉴스로 인해 이념·세대·성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하지만 특정 장소, 시간, 대상에만 머물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게 불규칙하게 유포되는 탓에 문제의 근원지를 찾기 힘들다. 우리나라에서 가짜뉴스는 ‘정치·경제적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언론 보도의 형식을 하고 유포된 거짓 정보’로 정의된다. 하지만 무엇이 가짜뉴스이고, 가짜뉴스가 얼마나 생산되는지 가늠하기 어렵다. 가짜뉴스를 분별하는 기준이 없다 보니 관련 통계나 자료 등도 없다. 국민 3명 중 2명(66%)은 가짜뉴스 등을 포함한 온라인 허위 정보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1월13일부터 2월8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조사한 결과다. 지난해(60%)보다도 6%포인트 상승했다. 허위 정보에 대한 우려는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다. 60대 이상이 73%로 가장 높고 이어 50대 69%, 40대 63%, 30대 58% 순이었다. 정치 성향에선 중도(65%)나 보수(71%)보다 진보(77%) 측이 온라인 허위 정보를 우려했다. 가짜뉴스가 무분별하게 퍼져 개인과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는 것을 방치해선 안 된다. 법적·사회적 해결책이 절실하다. 무엇보다 뉴스 생산자, 이용자, 매개자 등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장치와 근절을 위한 차단 방법도 마련돼야 한다. 고의적·악의적인 가짜뉴스는 손해배상을 물릴 수 있게 강력한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사회 근간을 흔드는 가짜뉴스가 국민에게 악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관련 법령과 제도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23-09-2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