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고교 앞 ‘살인도로’ 무대책… 주민들 원성

교통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하는데, 왜 관련 기관은 수년째 대책은커녕 주민의 요구도 무시하는 겁니까? 인천시 서구 서곶로 일부 구간이 인천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상하행 차선이 혼선을 빚으면서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3일 서구 등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인천도시철도 2호선 고가교각 건설로 인해 서곶로에 서구청 방향 교각 왼편의 차량통행이 허용되면서 지난 3년간 7명이 사망하는 등 교통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도로 교통이 바뀌면서 인근의 한 학교 주변에서 차량의 과속이 잦기 때문이다. 지난달 19일 새벽 5시 10분께 도로를 건너던 A씨(39)가 택시에 치여 숨지는 등 2012년부터 최근까지 대인고등학교 학생 2명 등 보행자 7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공촌 사거리~검암 사거리 구간에는 과속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과속방지 카메라가 검단 방향에 1개밖에 없는 점이 사고를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노양재 대인고등학교 교사는 학교 주변으로 3개 횡단보도가 있는데 야간에 신호를 무시하는 차량 때문에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과속단속 카메라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도로 중앙의 인천도시철도 2호선 고가교각을 중앙선으로 착각한 운전자들의 역주행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주민 B씨는 교각을 중심으로 상하행 차선에 혼선을 빚어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등 도로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서곶로 확장계획을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들의 계속된 민원에도 서구청과 인천시, 인천 서부경찰서 등 해당 기관은 예산문제를 이유로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고 있다. 이학재 국회의원(새서강화갑)은 서곶로는 도로의 구조적 문제로 사망사고가 반복되는데도 행정기관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행위다면서 무단횡단 방지턱과 노면표시 개선, 과속단속 카메라 설치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 관계자는 경찰, 서구와 협의해 도로 노면표시 개선과 과속 카메라 설치 등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건설사 검은돈’ 지방선거 흘러들었나… 檢, 자금행적 추적

인천지역 종합건설사 대표 市 발주공사 수주 청탁목적 특정 정치인에 전해 달라 前 시의회 전문위원에 2억 불법 정치자금 유입 수사 배달사고 가능성도 높아 검찰이 건설업체 대표로부터 억대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전 인천시의회 전문위원을 구속하고 불법선거자금 연관성에 대해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인천지검 특수부(변철형 부장검사)는 지역 내 종합건설업체 대표로부터 2억 원을 받은 혐의(알선수재)로 전 인천시의회 전문위원 A씨(63)를 구속했다고 3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인천지역 B 종합건설업체 대표 C씨(53)로부터 인천시가 발주한 공사 수주를 도와달라는 청탁과 함께 2억 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돈을 건넨 C씨는 검찰조사에서 정치인 D씨에게 전해달라면서 돈을 A씨에게 전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돈 중 일부가 당시 지방선거의 불법 정치자금으로 흘러들어 갔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구속된 A씨가 정치인 D씨에게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위치였던 만큼 C씨로부터 돈만 받아 챙긴 소위 배달사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은 A씨가 받은 2억 원 중 1억 원에 대한 사용처는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나머지 1억 원에 대한 자금 흐름을 파악하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앞서 검찰은 지난해 2월 자신의 아들을 흉기로 찔러 살해한 혐의로 C씨를 구속기소했다. 당시 C씨가 구치소로 면회온 사람에게 돈을 건넨 사실을 털어놓으면서 사건이 수면으로 떠올랐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여러 인물에 대한 수사를 벌이는 것은 맞지만,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A씨는 시의 각종 개발사업 및 공사 발주 부서를 담당하는 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의 수석전문위원(별정 4급)으로 20여 년간 활동해왔다. A씨는 지난 2012년 6월 정년퇴직한 뒤 B 종합건설업체 회장으로 재취업했으며, 현재 인천도시공사 비상임이사를 맡고 있다. 이민우기자

꽉막힌 도로 차량 엉금엉금… ‘관광특구’ 무색한 ‘혼잡특구’

3일 낮 12시께 만석고가교 하부 사거리. 비교적 한산한 만석고가교 2개 차로와 달리 하부 1개 차로는 극심한 정체현상을 빚었다. 정체된 차량행렬은 인중로를 따라 하버파크호텔까지 1㎞가량 늘어섰다. 이들 차량은 인천의 관광명소인 월미도, 차이나타운, 송월동 동화마을 등으로 향하는 차량으로 1개 차로에 몰려 주말마다 극심한 정체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월미도로 향하는 차량은 다른 우회도로조차 찾을 수 없어 가다 서기를 반복, 월미도 입구까지 30분이 넘게 소요되면서 운전자들의 짜증을 유발하고 있다. 운전자 최모씨(35)는 주말을 맞아 아이들과 1시간 넘게 왔는데 아직 월미도는 구경도 못하고 있다며 어느 정도 막힐 줄은 알았지만 이렇게 심할 줄은 몰랐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인천 대표 관광지인 월미도가 진입로가 비좁아 주말마다 차량 정체가 반복되면서 조속한 교통 개선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3일 시와 월미도번영회 등에 따르면 지난 2001년 관광특구로 지정된 월미도 일대는 주말마다 10만 명이 넘는 인파가 찾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월미도로 이어지는 도로는 만석고가교 하부 사거리 1개 차로로 협소한데다 많은 차량이 몰리면서 E~F 등급 교통혼잡도를 보이고 있다. 시는 차량 정체를 해소하기 위해 월미도와 연안부두를 잇는 연결로를 약속했으나, 사업비가 수천억 원에 달하고 내항 재개발 계획과 맞물려 아직 추진 여부도 확정되지 않았다. 또 현재 잦은 차량 정체를 빚는 인중로 확충 방안도 중동구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과 맞물려 검토 중이어서 오는 2018년 이후에나 실현 가능하다. 월미도번영회 관계자는 월미도 관광객들이 입구 진입에 애를 먹으면서 진을 다 빼고 있다며 하루라도 빨리 도로를 넓혀주거나 새 도로를 뚫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여러 가지 교통 개선대책을 검토 중이지만 내항 재개발, 도시재생사업 등과 맞물려 있어 당장 추진하긴 어렵다며 중장기 과제로 검토해 해결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