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었던 내비게이션의 배신… 국내외 기자들 ‘선수촌 찾아 삼만리’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선수촌과 미디어촌 등 일부 시설이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모바일 길 찾기 앱(App)에 등록되지 않아 방문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29일 인천AG 조직위에 따르면 대회를 앞두고 각 경기장과 주차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차량용 내비게이션 회사와 모바일 길 찾기 앱 측에 제공했다. 하지만 모바일 길 찾기 앱이나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일부 시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틀리게 제공하거나 아예 찾을 수 없다. 모바일 길 찾기 어플 중 하나인 올레내비는 AG 주요 시설 중 하나인 구월 아시아드선수촌을 성리초등학교 인근에서 안내 종료한다. 올레내비 상에는 구월 아시아드선수촌 일대는 도로나 건물이 들어선 것으로 표시되지 않아 실제 올레내비를 이용해 방문할 경우 웰컴센터 등 각 선수촌 출입구까지 최소 5~10분 이상 헤매야 한다. 차량 출입 제한이 까다로운 선수촌 특성상 잘못된 입구나 길로 접어들면 현장 요원에게 출입 제지를 당하기 일쑤다. 길 찾기 앱 김기사만이 건축 중인 아파트라며 선수촌 서문 인근을 안내할 뿐, 다른 앱이나 프로그램에서는 아예 찾을 수 없거나 부산이나 서울의 AG 선수촌을 안내하고 있다. 외신기자나 국내 타지역 취재진이 묵는 미디어촌이나 주요 기자회견 등으로 취재진이 수시로 드나드는 MPC(Media Press Center) 역시 마찬가지다. 미디어촌은 내비게이션이나 길 찾기 앱에서 원하는 결과를 찾기 어려우며, MPC도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아이나비만 검색이 가능할 뿐 다른 앱이나 프로그램은 아예 엉뚱한 결과를 내놓고 있다. 결국, 검색이 난관을 겪으면서 자원봉사자나 기관 관계자, 선수단 및 취재진 등은 모두 한목소리로 주요 시설에 대한 안내 서비스가 미흡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디어촌에 투숙 중인 한국 취재진 A씨(34)는 인천을 잘 모르기 때문에 내비에 나오지 않으면 숙소를 찾기가 쉽지 않다며 택시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지인이나 행인에게 물어물어 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직위 관계자는 선수촌 등은 임시 사용 건물이라 제외되는 경우가 있어 일부 이용객이 불편을 겪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선수촌 앞 도로 ‘불법 주차’ 장사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 선수촌 주변이 이중삼중 주차까지 만연할 정도로 불법 주차에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대체 주차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불법 주차 차량이 갈수록 증가해 단속에 나서야 할 지자체도 사실상 손을 든 상태다. 28일 남동구와 AG조직위 등에 따르면 선수촌은 사전 등록한 차량만 출입하고, 그 외의 차량은 출입을 통제해 선수촌을 찾은 택시, 각종 기관 차량, 봉사자 차량 등은 외부에 주차해야 한다. 조직위는 대중교통이나 셔틀버스 이용을 권유하고 있지만, 선수촌이 지하철이나 버스 이용이 불편해 대부분 방문객이 차량을 가져오고 있다. 특히 선수촌 남문 인근 왕복 6차로에는 불법 주정차 금지 현수막이 붙어 있는데도 도로변 1㎞가량이 불법주차한 차량으로 길게 늘어서 있다. 남문 맞은 편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빈틈 하나 없이 불법 주차 차량이 점령하고, 일부 차량은 버젓이 이중삼중 주차를 일삼는 상태다. 심지어 현장 요원들은 대형 버스 진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남문 맞은 편에 불법주차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관할 지자체인 남동구는 불법 주차를 단속하기보다는 출퇴근시간 주차 지도에 주력하고 있다. 대회 개최 후 불법 주차 적발 건수는 10건도 안 된다. 이처럼 선수촌 남문 인근이 불법 주차로 몸살을 앓으면서 호구포로와 연결되는 교차로를 넘어 남동구청 방면과 남촌동 방향 300여m까지 불법주차 행렬이 늘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자원봉사자 A씨(42)는 임시 주차장이 마련되지 않은데다 대중교통으로 오기엔 너무 어려워 대로변에 주차하고 있다며 단속이 이뤄지지 않으니 너나 할 것 없이 도로변에 주차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 관계자는 워낙 선수촌 인근에 불법 주차가 심하다 보니 수백 대를 적발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출퇴근길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아 남문 맞은 편 한 차선은 사실상 주차를 허용한 상태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日 선수 ‘탈선 금메달’… 절도·성추행

수영 선수, 기자 카메라 슬쩍 핸드볼 선수, 홍보 여성 더듬 네팔 선수ㆍ기자도 잠적 수사 일본의 수영선수가 카메라를 훔친 데 이어 핸드볼선수가 20대 여성을 성추행하고, 네팔 선수와 파키스탄 기자가 잇따라 잠적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인천 남부경찰서는 국내 언론사 사진기자의 카메라를 훔친 혐의(절도)로 일본 국가대표 수영선수 A씨(25)를 불구속 입건하고, 출국정지 조치했다고 28일 밝혔다. A씨는 지난 25일 오전 11시50분께 인천시 남구 문학박태환수영장에 동료 선수 경기를 응원하러 갔다가 사진기자 B씨(37)의 캐논 EOS 1DX 카메라 몸체(시가 800만 원 상당)를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지난 2010년 중국 광저우 AG에서 남자 평영 200m 금메달리스트로 알려졌다. 일본 선수단은 지난 27일 선수 규범에 따라 A씨를 퇴출 조치했으며, 일본 수영연맹도 조만간 위원회를 열어 처분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어 지난 26일에는 일본 핸드볼선수 C씨(33)가 남동구 로데오거리 광장에 마련된 뷰티 관련 홍보 부스에서 병원을 홍보하고자 나온 D씨(26여)의 신체 일부를 손으로 더듬는 등 성추행한 것으로 알려져 경찰이 내사를 벌이고 있다. 또 지난 27일 오후 3시30분께 인천시 계양구 인천AG 배드민턴 경기장 관람석에서 G씨(48)가 H씨(37여)의 다리 등 신체 일부를 휴대전화기 카메라로 30여 차례 촬영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선수 잠적도 잇따랐다. 지난 24일 네팔 세팍타크로 선수 E군(18)과 파키스탄 영상 취재기자 F씨(40)가 잠적한 데 이어 25일에는 네팔 우슈 선수 2명이 선수촌을 무단으로 이탈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한편, 지난 26일 오전 2시께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을 앓던 육상 종목 심판 I씨(59)가 인천시 중구 을왕동의 한 리조트 숙소에서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신동민김민기자

일본 수영선수, 너무 갖고 싶어... '한국 취재진 카메라 훔쳐'

제17회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에 참가한 한 일본 국가대표 수영선수가 한국 취재진의 카메라를 훔치다 적발됐다. 인천 남부경찰서는 27일 수영 경기장에서 한국 모 언론사 소유의 카메라를 훔친 혐의(절도)로 일본 국가대표 수영선수 A씨(25)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5일 오전 11시께 인천 문학박태환수영장에서 다른 동료 선수의 경기를 응원갔다가 한국 모 언론사 기자 B씨(37)의 캐논 EOS 1DX 카메라(시가 800만원)를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A씨는 당시 수영경기장 옆 사진기자 취재석에서 B기자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카메라 렌즈를 빼고 몸체(바디)만 훔친 것으로 조사됐다. 그는 경찰에서 카메라를 본 순간 너무 갖고 싶어서 가져가게 됐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B 기자의 도난신고를 접하고 경기장 내 폐쇄회로(CC)TV 화면을 분석, 당일 오후 8시 문학박태환수영장에서 훈련 중인 A씨를 검거했다. 카메라는 A씨 숙소인 선수촌에서 회수됐다. 경찰은 A씨가 범행을 시인하고 도난물품이 회수됨에 따라 구속영장을 신청하지 않고 피의자 신문조서를 작성한 뒤 이날 오전 1시께 선수촌으로 돌려보냈다. 한편, 지난 2010년 광저우AG 남자 평영 2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딴 A씨는 이번 대회에서 남자 평영 100m 경기 결선에서 4위, 평영 50m 경기에서는 예선 탈락했다. 특별취재반

관광도시 중구 ‘공영주차장 확충’ 주차난 완화

인천시 중구지역 관광지 등의 고질적인 주차난이 해소될 전망이다. 중구는 최근 지역 내 주차장 수급실태에 대한 조사 용역을 마치고, 공영주차장 확충 등 개선작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중구에 따르면 지역 대표 관광지 차이나타운과 동화마을 일대 주차공급 총 면수는 934대인데 반해 평일 주간과 야간 각각 1천577대, 1천436대의 차량이 몰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야간 평균 500여 대의 차량이 일대에 불법 주정차를 하는 셈이다. 특히 관광객이 몰리는 휴일엔 1천48대(주간), 417대(야간)가 주차장을 찾아 헤매는 등 일주일 내내 관광객은 물론, 주민의 불편이 반복되고 있다. 각각 929면, 209면의 주차공급 능력을 갖춘 월미도와 신포동 문화의 거리 상황도 마찬가지다. 평일 주간 기준으로는 각각 74대, 179대의 주차 면수가 부족하며 휴일엔 각각 198대, 324대가 부족하다. 빌라촌이 형성된 도원동(285면)과 율목동(66면) 일대는 특히 야간에 592대, 155대의 주차면이 부족해 퇴근 후 주민들의 주차 전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에 따라 구는 상황이 가장 심각한 차이나타운과 동화마을에 공영주차장 3곳(총 1천745면)을 신설하고, 신포 문화의 거리 기존 주차장 3곳을 증축(추가 207면 확보)해 주차난을 해결할 계획이다. 신동민기자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