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로또 ‘호와이’ 도박장 운영 태국인 적발

엄마는 태국에서 불법 도박장을 운영하고 딸은 국내에 분점 개설? 태국 로또를 변형한 불법 도박(일명 호와이)장을 운영한 태국 여성이 경찰에 덜미를 잡혔다. 경찰은 이 여성이 불법 도박장을 운영하면서 벌어들인 1억2천만원 중 1억원 가량을 태국에서 불법 도박장을 운영하는 모친에게 송금해 온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기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대는 26일 평택에서 태국 식품점을 운영하면서 불법 도박장을 개설ㆍ운영한 혐의(도박장소 등 개설ㆍ출입국관리법 위반 등)로 태국인 P씨(33ㆍ여)와 불법체류자 J씨(26ㆍ여ㆍ태국) 등 2명을 구속했다. 또 불법체류자 F씨(33ㆍ여ㆍ태국)를 불구속 입건하는 한편, 불법도박을 한 국내 체류 태국인 42명을 쫓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P씨는 지난해 10월부터 최근까지 평택 서탄면 소재 태국 식품점에서 호와이 도박장을 개설해 운영, 태국인 42명으로부터 1억2천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다. 또 J씨는 태국 현지 호와이 운영조직 중간책인 어머니를 통해 국내에서 호와이 도박장을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 호와이란 태국 로또의 변종으로, 당첨확률이 로또보다 높으며, 태국 현지에서 성행하고 있는 불법도박이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사랑의 교회, 담임목사 반대파 신도 무차별 집단폭행…진실은?

'사랑의 교회 집단폭행' 서울 서초구 '사랑의 교회'에서 집단 폭행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사랑의교회에서는 오정현 담임목사의 논문 표절과 재정 비리 의혹으로 오 목사 측과 반대파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매체는 사랑의교회에서 반대파 신도가 오 목사 측 신도들에게 집단 폭행을 당해 병원에 입원하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경찰과 교회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예배를 마치고 1층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오던 김모(여, 34)씨에게 한 신도가 "저 사람이 교회 현수막을 찢고 강남예배당에 들어간 사람이다"라고 소리쳤고, 이에 주변에 있던 20여명의 신도가 김씨를 에워쌌다. 이후 한 신도가 김씨의 가슴을 주먹으로 때렸고 김씨가 쓰러진 이후에도 이들은 김씨를 발로 마구 찼다. 또 같은날 반대파 측 최모(여, 33)씨도 교회 로비에서 오 목사 측 교인 10여명에게 집단 폭행을 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사랑의 교회 오 목사 측 관계자들은 "반대파들이 따로 예배를 봐서 긴장이 고조된 것은 맞지만 폭행은 아니다. 실랑이를 벌이다 넘어진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사랑의 교회 집단폭행

이석기, 군 관련 자료 요청 놓고 공방

내란음모 사건 25차 공판에서 검찰과 변호인단은 이석기 의원이 소속 상임위원회와 무관한 군 관련 자료를 요청한 이유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수원지법 형사12부(김정운 부장판사) 심리로 24일 열린 공판에는 이 의원의 정책비서관 K씨가 증인으로 나와 기밀자료는 국방부에서 제출을 거부해 받지 못했고 이에 대해 추가로 제출을 요구하지도 않았다고 증언했다. K씨는 의원실에서 정부부처에 자료제출을 요구하는 것은 언론에 지적된 부분을 파악해 국정감사나 대정부 질문의 의제로 활용할 수 있는지 참고하기 위함이라며 북한에 유출하기 위한 목적이 결코 아니다고 말했다. K씨는 안보 분야 대정부 질문을 이 의원이 맡게 돼 키리졸브 등 훈련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고, 국지도발계획 자료는 북한의 지휘세력을 타격하겠다는 내용이 있어 정부가 전면전을 대비한 것은 아닌지 확인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대형 공격헬기 도입 사업 자료는 사업이 비용과 절차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고, 주한미군 관련 자료는 주한미군이 증가하면 방위분담금이 늘어나서 정부 방안을 파악하려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소속 상임위와 연관성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상임위 소관기관 국정감사 자료이인데다 이 의원이 남북관계 문제에 관심도 많기 때문이라며 의정활동이 아닌 다른 목적은 없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검찰은 자료 제출요구가 집중된 시기가 5월 전후인 점을 들어 국가기간시설 파괴 등을 모의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고 추궁했다. 한편 재판부는 이날 장인상(喪)을 당한 한동근 피고인의 구속집행정지신청을 받아들여 장례가 끝날 때까지 구속집행을 정지하기로 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편의점 강도, 언제 어디서 주로 발생할까?

편의점 강도는 밤늦은 시간 상가나 주택가 편도 1차로 주변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방경찰청 생활안전과는 24일 올 한해 발생한 편의점 강도사건 53건(지난해 76건)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결과, 새벽 0시부터 오전 7시 사이에 총 42건(79%), 상가 및 주택가에서 48건(91%), 편도 1차로 주변에서 39건(74%)이 발생했다. 계절별로는 겨울에 20건(37%)이 발생해 가장 많았고, 봄(18건ㆍ34%)과 여름(11건ㆍ21%)이 그 뒤를 이었다. 가을은 4건(8%)으로 가장 적었다. 도내 경찰서 관할 별로는 평택경찰서가 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의정부경찰서 5건, 성남수정경찰서 4건 등이었다. 경찰은 이 같은 패턴을 활용, 도내 편의점 6천175곳을 여종업원이 혼자 근무하는 취약업소(A급ㆍ338곳), 다소 안전하나 이면도로에 있는 업소(B급ㆍ2천42곳), 번화가에 있는 업소(C급ㆍ3천795곳) 등 3단계로 분류해 맞춤형 순찰활동을 벌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편의점 강도사건 패턴 분석결과를 순찰업무에 활용하면서 범죄발생을 억제, 올해 편의점 강도가 다소 줄었다면서 범죄심리를 억제하기 위해 CCTV를 눈높이에 맞춰 설치하는 등 방범시설물을 보완해 달라고 편의점 업주에게 협조를 요청했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