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사상 최대 규모 불법사이트 적발

해외에 서버 도박사이트 개설해 200억 부당이득 학원강사 7억 날리고 신불자 추락 4명 목숨 끊어 해외에 서버를 두고 불법 스포츠토토를 운영한 조직과 도박자 등 2천여명이 경찰에 적발됐다. 불법 스포츠 토토 적발 사상 최대 규모다.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 광역수사대는 9일 인터넷 불법 스포츠 토토 등을 운영, 200억원 가까이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도박개장 등)로 사이트 운영자 L씨(52여) 등 3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사이트 관리자 U씨(29)등 13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달아난 10명에 대해 국제공조수사를 요청, 쫓고 있다. 또 회원으로 가입해 도박한 혐의(상습도박)로 K씨(35여) 등 1천83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1천만원 이상 상습적으로 배팅했다. 구속된 L씨 등은 2011년 1~6월 해외에 서버를 두고 불법 스포츠 토토 등 200여개 도박사이트를 운영, 회원 5만명을 모집한 뒤 도박 이익금 등 총 199억원을 챙긴 혐의다. 조사결과 이들은 필리핀, 중국 등에 거주하며 인터넷 스포츠 중계방송에 배너광고 등을 내 회원을 모집했다. 이른바 대포통장 954개를 도박자금 거래에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도박자 가운데 S씨(33학원강사)는 2천119차례에 걸쳐 7억8천만원 상당을 배팅한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지난 2011년 대포통장 관련 수사 중 일부를 도박 관련 통장으로 확인, 수사에 착수했으며 계좌 내용을 분석한 뒤 2012년 10월부터 운영자와 도박자 등을 검거에 나섰다. 이 과정에 K씨(41무직) 등 4명은 수천만원을 잃고 신용불량자가 돼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신변을 비관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해외 체류 중인 운영자 L씨(52) 검거에 주력하고 있다. 김창학기자 chkim@kyeonggi.com

'백두장사' 염원준, 조폭에게 유리컵으로 맞아 '실명'… 장애6급 판정

'백두장사' 염원준, 조폭에게 유리컵으로 맞아 '실명' 장애6급 판정 전직 씨름선수 염원준씨가 조직폭력배가 낀 일행에게 집단 폭행을 당해 시력을 잃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지인의 폭행 소식을 듣고 이에 대한 사과를 받으려다 염씨 또한 폭행을 당한 것. 지난 8일 한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염 씨는 지난 7일 조직폭력배를 동원한 사업가 김모(60)씨로부터 유리컵으로 오른쪽 눈을 맞아 실명했다. 염 씨는 시각장애 6급 판정을 받았다. 사건 당시 상황에 대해 그는 "화해시켜준다고 해서 갔다. 그런데 앉자마자 그 사람 죽여버린다고 하면서 컵으로 눈을 가격했다"고 말했다. 사건의 발단은 배추 유통업 실패에서 비롯됐다. 농산물 유통업자 김모(60)씨는 배추 유통업에 투자했다가 손해를 보자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조직폭력배를 동원, 동업자인 장모(52)씨를 집단 폭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알게 된 염씨가 폭행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고 김씨는 사과를 핑계로 염씨를 전남 해남의 한 다방으로 유인해 폭행했다. 서울지방경찰청 광역 수사대는 폭행을 사주한 혐의로 사업가 김 씨를 구속하는 한편 충남 당진 일대에서 활동 중인 조직폭력 식구파 소속 3명을 폭행에 가담한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하지만 사업가 김모 씨는 자신이 조직폭력배를 사주한 게 아니라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팀

“사무용품 산다” 3억 횡령 등 ‘간 큰 공무원’ 무더기 적발

지난해 전남 여수시 8급 공무원의 76억원대 횡령사고에 이어 안산시, 김포시, 인천 동구 등의 공무원도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씩을 횡령한 것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특히 안전행정부의 특별감사에서 13건(6억4천여만원)의 공무원 공금횡령 및 유용사건이 적발되는 등 공무원들의 횡령이 도를 넘은 것으로 드러났다. 8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6일부터 4개월간 전국 지자체를 상대로 회계운영 특별감사를 벌여 공금 횡령과 유용 13건, 6억4천700만원 상당을 적발했다. 이에 안행부는 7건을 검찰에 고발하고 5건은 파면해임 등 중징계 요구했으며, 회계운영 관련 규정을 위반한 사례도 451건 적발했다. 적발된 사례를 유형별로 보면 일상경비와 기금 등 횡령유용이 3억8천800만원(2건)으로 가장 많았고, 과태료수수료 횡령유용이 1억2천900만원(4건), 입찰계약보증금 등 횡령유용이 7천700만원(3건) 등의 순을 보였다. 이번 특감은 지난해 여수와 완도 공금횡령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한 것으로 시도가 시군구를 감사한데 이어 안행부가 시도를 감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안산시청 8급 공무원 A씨는 지난 2007년 7월부터 2011년 4월까지 회계담당 부서에 근무하면서 사무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허위 회계서류를 꾸며 결재를 받은 뒤 언니나 시누이 남편 등의 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3억7천300만원을 횡령해 검찰에 고발됐다. 또 인천 동구의 6급 공무원 B씨는 가끔 수납되는 건축법 위반 이행강제금 2천400만원과 자동차책임보험 미가입 과태료 3천만원을 횡령해 검찰에 수사의뢰됐다. 아울러 안행부는 김포시에서 가로수 공사비 등 5천900만원을 유용한 공무원에 대해 중징계를 요구했고, 인천 연수구에서 재래시장 현대화 사업비 800만원과 경관시설물 파손으로 보험회사로부터 징수한 손해배상금 800만원 등 모두 1천800만원을 횡령한 공무원을 수사의뢰했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기수ㆍ경찰관 낀 250억대 사설경마 도박 ‘덜미’

현직 경찰관까지 포함된 사설경마꾼을 비롯, 이들로부터 돈을 받고 경마 정보를 빼준 기수와 마필관리사 등이 무더기로 검찰에 적발됐다. 수원지검 안양지청 형사3부(윤재필 부장검사)는 250억원대의 사설 경마 도박을 한 혐의로 현직 경찰관 2명과 기수, 마필관리사 등 17명을 적발해 기수 A씨(40)와 경찰간부 B씨(52) 등 6명을 구속 기소했다고 8일 밝혔다. 검찰은 또 조교사 C씨(50)와 경찰관 D씨(38) 등 10명을 불구속 기소 또는 구약식 기소하고, 1명을 기소중지했다. 구속된 기수 A씨는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사설 경마꾼들에게 경마정보를 주고 2천500만원을 받은 혐의이고, 1천540만원을 받은 마필관리사 E씨(45)도 같은 혐의를 받고 있다. 현직 경찰인 B씨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20억원 상당의 사설 경마 도박을 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또 불구속 기소된 경찰관 D씨는 같은 기간 경마정보를 이용해 3억원 상당의 사설경마를 한 혐의다. 이와 함께 F씨(51ㆍ무직)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조교사에게 경마정보대가로 5천540만원을 건네고 48억원 상당의 사설 경마를 한 혐의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수사로 기수 등 경마 관련자들이 사설 경마꾼들과 스폰서(일명 모도) 관계를 유지하며 경마정보를 빼낸 사실이 드러났다며 특히 현직 경찰관까지 이같은 정보를 이용해 사설경마에 빠지는 등 사설경마의 폐해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안양=한상근기자 hsg@kyeonggi.com

대출사기ㆍ불법사채 등 ‘공공의 적’ 대거 적발

경기지방경찰청이 최근 3개월 동안 대출사기나 불법대부업 등 1천명에 가까운 서민경제 침해사범을 적발했다. 8일 경기청에 따르면 올 1월부터 최근까지 90여일 동안 대출사기전화금융사기불법대부업 전담수사팀을 운영, 67명을 구속하고 821명을 불구속 입건하는 등 888명을 적발했다. 유형별로는 대출사기 346명, 전화금융사기 203명, 불법 대부업자 및 다단계업자 등 339명이다. 경찰은 지난 1월 대구 등 20곳에 사무실을 차려놓고 금융기관을 사칭한 뒤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146명으로부터 7억2천여만원을 챙긴 혐의로 대구부산일대 대출사기 2개 조직 총책 등 6명을 구속하고 38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지난해 7월부터 지난 2월 21일까지 의정부시에서 인허가를 받지 않고 예적금을 하면 주식에 투자해 연 10% 확정 금리를 지급하겠다고 속여 256명으로부터 1천646회에 걸쳐 44억원을 조달하는 유사수신행위를 한 다단계 조직 총책 등 23명을 검거했다. 이들은 금융투자에 지식이 부족한 가정 주부들을 노려 이자만 지급하는 방식으로 고객을 지속적으로 모집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경기경찰청은 경기청 5명, 41개 경찰서 150명 등 155명으로 전담수사팀을 꾸려 서민경제침해 사범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 경기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서민ㆍ신용불량자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는 그 배후나 윗선까지 철저히 수사할 것이라며 또한 국세청과 연계, 탈루 세금까지 추징하도록 해 범죄 조직의 존립 기반 자체를 와해시키는 등 강력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