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이젠 줄입시다]11.강북도로 구리시 토평동 구간

서울시 광장동 시계와 남양주시 삼패동 일대를 연결하는 강북도로 구리시 토평동 구간(5.4㎞, 왕복 6차선)은 도로 선형이 직선형으로 이뤄져 운전자들의 과속이 빈번한 곳이다. 특히 구리시 아천동과 남양주시 삼패동 일대를 잇는 300여m구간은 S자형 급커브길이어서 늦은 저녁이나 새벽 시간 대에는 과속으로 달리다 급제동을 하는 운전자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 운전자들은 미처 운전대를 꺽지 못해 중앙분리대와 충돌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그동안 사고 다발지역으로 특별 관리돼 교통사고 발생이 크게 줄어들었으나, 항상 대형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노련한 운전자들 사이에서도 공포의 구간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 구간의 1일 평균 통행량은 남양주시와 양평군 방면 3만8천여대, 서울시 광장동 방면 4만2천여대 등 모두 8만여대다. 속도제한이 시속 80㎞로 설정돼 있지만, 과속 운전자가 많은 탓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09년 26건, 2010년 27건, 2011년 25건 등 해마다 20건을 넘기고 있다. 사상자는 2009년 70명에서 2010년 36명, 2011년 43명으로 다소 줄기는 했으나, 여전히 위험한 도로라는 인상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올해도 지난 8월 과속 차량이 앞서가던 차량을 추돌해 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지난달 8일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해 1명의 사상자를 냈다. 또 지난달 14일 새벽에는 서울시 워커힐 방면에서 구리시 토평삼거리로 향하던 승용차가 과속으로 달리다 미끄러져 중앙분리대와 충돌, 운전자가 크게 다치는 등 이날 현재까지 1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 1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경찰은 그동안 무인속도측정기, 중앙표시등, 시설유도경보등 등을 설치하는 등 미흡한 교통시설물을 확충하고, 중ㆍ대형 과적차량들의 통행으로 침하된 도로의 가장자리를 보수하는 등 도로구조 개선 사업도 추진했다. 그러나 사고발생건수가 눈에 띄게 줄지 않음에 따라 교통 혼잡시간대 의경을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교통법규 위반자에 대한 그물망식 단속을 펼쳐 운전자들의 과속을 차단하고 있다. 구리경찰서 관계자는 사고건수와 부상자는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과속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줄지 않고 있어 매년 사고원인을 분석해 교통안전 대책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며 위험 구간인 만큼 운전자들에게도 방어운전 등 안전운행 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리=한종화기자 hanjh@kyeonggi.com

살인ㆍ강도ㆍ강간… 외국인들이 심상치 않다

경기지역에 외국인 체류가 늘어나면서 범죄 역시 증가, 하루 20여건의 외국인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폭력 뿐만 아니라 살인 및 강도, 강간 등 강력범죄 역시 속출하고 있는데다, 피의자가 불법체류자일 경우 사실상 검거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4일 경기지방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외국인 범죄 발생건수는 총 4천110건에 머물렀으나 2011년에는 배가 넘는 총 8천504건이 발생했다. 올해 8월 말 현재에도 총 4천941건(하루 평균 20.33건)의 외국인 범죄가 일어났으며, 이 가운데 살인과 강도, 강간 등 강력범죄는 144건에 이르렀다. 실제 지난달 23일 오후 8시39분께 지하철 4호선 안산역 앞에서 불상의 외국인 3명이 캄보디아인 3명에게 둔기를 휘두른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캄보디아인 3명은 머리가 찢어지는 등 중경상을 입어 인근 병원으로 후송됐다. 폭력을 휘두른 3명의 외국인은 앞서 오후 8시께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다문화특구 내 한 식당에서 생일파티를 하던 중 캄보디아인 일행이 훼방을 놨다는 이유로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달 19일에는 국내 조폭과 연계해 수원 구터미널 인근에서 상인들을 상대로 폭력과 협박 등을 일삼은 중국인 등 21명이 경찰에 붙잡혔으며, 지난 8월31일 안양에서는 사촌 형 부인을 성폭행한 혐의로 중국 국적의 조선족 남성이 검거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경찰 관계자는 외국인 범죄는 주로 흉기 등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시민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면서 불법체류자의 경우 범행을 저지르고 본국으로 출국해버리면 사실상 검거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8월 말 현재 도내 외국인 체류자는 총 45만877명으로 이 가운데 13%가량인 5만9천387명이 불법체류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