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혈입양인 친엄마 못찾았지만 정체성 회복에 큰 도움 됐어요”

“59년 만에 고국 땅을 밟은 로웰로혼씨 등 파주출신 4명의 혼혈입양인이 꿈에서라도 만나고 싶었던 친엄마는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게 파주가 고향이라는 것을 확인했던 정체성 회복은 소중한 선물이 됐어요.” 지난달 31일부터 오는 9일까지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인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를 성공리에 마무리하고 출국을 앞둔 지난 8일 만난 김민영 me & korea 대표(44ㆍ여ㆍ미국 캘리포니아 소재)는 “40~59년 만에 처음 고국 땅을 밟은 혼혈입양인들은 실망하지 않고, 앞으로도 파주에서 뿌리 찾기를 계속할 것이다”며 이같이 밝혔다.앞서 지난 7일 파주출신 로웰로혼(62ㆍ한국명 신상호), 스티브워커(52ㆍ한국명 안준석), 카라이즈 코프만(46ㆍ여ㆍ한국명 백수지) 등 4명은 서툰 모국어를 사용하며 생모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법원읍 등지를 방문했으나 만나지 못했다. 하지만 당시 삶의 흔적 등 혼혈입양인들의 ‘편린’을 찾은 것은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김 대표는 전했다. 김 대표의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은 2013년 시작됐다.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남편의 직장을 따라 미국으로 간 김 대표는 대학시절 자원봉사(혼혈입양인들의 뿌리 찾기)를 했던 경험을 미국에 가서도 잊지 않아 혼혈입양인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았다.그러던 중 혼혈입양인 모임에 참석했다가 이들이 “어릴 적 자신을 버린(?) 고국을 꼭 방문해 친엄마를 찾고 싶다”라는 얘기를 들었던 김 대표는 “이때부터 혼혈입양인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주고 싶다는 생각이 번쩍 떠올랐다”고 말했다. 2012년 ‘나를 알고 한국을 알게 하자’라는 me & korea는 이렇게 해서 발족하게 됐다.김 대표는 “2013년 처음 21명의 혼혈입양인과 함께 한국을 방문했다. 친모의 하늘과 함께 했다는 것만으로도 감동적이었다”며 “이 방문이 계기가 돼 2015년 미국 내 혼혈입양인들이 함께 모이는 모임도 처음으로 결성되는 등 강한 유대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후 me & korea 주최로 지금까지 130여 명 가까운 혼혈입양인들이 한국을 찾았다. 김 대표는 “이번에 32명의 혼혈입양인이 파주를 방문, 친모 찾기와 DMZ 방문 등으로 정체성을 더욱 진화시킨 성과를 냈다”면서 “파주시가 혼혈입양인 등의 모국 방문을 위해 8억 원을 들여 인류애로 조성하는 캠프 하우즈(파주 조리읍 주한미군 반환공여지) 내 ‘엄마품’ 동산 조성(올해 말 완성 예정)에 해외 입양인들의 모금활동 등을 통해 조력할 것이다”고 말했다.아울러 “혼혈입양인들의 아픈 상처인 애환과 미국 내 성공스토리를 유무형으로 엄마품 동산에 기증해 파주와 혼혈입양인 간 유대를 형성토록 이바지하겠다”고 다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내 고향 파주… 따뜻했던 엄마의 나라” 고국 방문한 美 혼혈입양인 4명의 ‘뿌리 찾기’

“친엄마가 캠프타운(기지촌) 여성인 것은 문제가 아닙니다. 그렇지만 어머니가 어디로 이사를 갔는지, 소식조차 알 수 없어 억장이 무너집니다(collapsing upon hearing the news)” 두세 살 때 파주를 떠나 미국으로 입양된 신성호씨(미국명 로웰 로혼ㆍ62) 등 파주 출신 혼혈입양인 4명이 40~50여 년 만에 파주를 찾아와 뿌리 찾기에 나섰지만, 친엄마의 행방을 알 길이 없어 만남은 이뤄지지 못했다. 아쉬운 결과에 9일 돌아가는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는 모양새였다. 신씨 등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날까지 미국소재 비영리단체인 ‘Me & Korea’ 주최로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인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를 통해 고국을 방문했다. 이 기간 한국전통문화행사를 체험한 신씨 등은 지난 7일 오전 9시부터 온종일 친엄마를 찾기 위해 파주에서 발품을 팔았다.신씨를 포함해 파평면 ‘캠프 불스아이’의 백수지씨(46ㆍ여), 조리읍 캠프 하우즈 주변 태생 안준석씨(52), 파주읍 캠프 게리오엔에서 출생한 이영순씨(61ㆍ여) 등 4명은 미군 캠프 주변을 샅샅이 뒤지며 생모를 만날 희망에 부풀었지만, 친엄마의 친구들(기지촌 여성들)과 동네 사람들을 통해 편린만 확보하는데 만족해야만 했다. 파평면 장파리를 45년 만에 찾은 백씨는 “엄마가 나를 낳은 직후 행방을 감춰 장파리 주민들이 1년여를 키우다 ‘흑인 혼혈아’라고 하도 놀림당하는 바람에 하는 수 없이 입양기관을 통해 1973년 7월 미국으로 보내졌다는 사실을 동네 주민들에게서 듣고 오열했다”며 “그래도 마을주민들의 정과 엄마 모습을 그려볼 수 있어 행복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따뜻하게 맞아준 조리읍, 법원읍, 파평면 등 마을 주민들에 주소 등을 건네며 앞으로 친엄마에 대한 새로운 소식이 나오면 연락하겠다는 약속을 하며 후일을 기약했다. 이번 혼혈입양인 뿌리 찾기에 동행했던 이용남 현장사진연구소장(다큐멘터리 작가)은 “비록 엄마의 나라 파주에서 뿌리 찾기에 실패했지만, 끝이 아닌 시작”이라면서 “관련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DNA 등을 확보해 이들의 친엄마 찾기에 도움을 줘야 한다”고 바람을 나타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 혜음원지 행궁’ 증강현실로 만난다

고려시대 왕이 수도 개경에서 부수도인 남경(南京:지금의 서울)을 오갈 때 머물렀던 파주시 광탄면 사적 제464호 혜음원지(惠蔭院址) 건물을 현장에서 증강 현실(AR)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파주시는 “지난 1월부터 사업비 2천만 원을 들여 한국문화유산콘텐츠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지역 초등학생과 시민 등이 체험할 수 있는 ‘파주 혜음원지 행궁’ 현장체험형 증강 현실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실내에서 볼 수 있는 증강 현실이나 가상 현실(VR) 등은 많았지만, 증강 현실을 현장에 직접 적용한 사례는 파주 혜음원지가 국내에서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시와 한국문화유산콘텐츠 사회적협동조합 등은 왕립호텔 격인 혜음원지 행궁의 옛 모습을 증강 현실로 복원하는 작업을 통해 행궁의 가상건물 모습과 내부, 기둥 형태, 방의 위치 등을 만들었다. 혜음원지를 찾는 시민이나 관광객 등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현장에서 ‘혜음원지 앱’을 내려받아 행궁의 옛 모습을 증강 현실을 통해 체험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전국 대부분 유적지가 안내판으로만 설명돼 있어 유적지의 옛 모습을 제대로 체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체험형 증강 현실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혜음원은 왕의 행차에 대비한 행궁지로 축조된 고려시대 중요 건물지로, 지금은 터만 남아있다. 헤음원은 지난 2000년 ‘혜음원’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면서 정확한 위치가 처음 확인돼 발굴조사가 시작됐으며 이후 연못지와 배수로 등 27개의 유구와 금동여래상, 기와류, 자기류 등 많은 유물이 발굴됐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시, 수험생 대상 율곡 이이 구도장원길 걷기행사 개최

파주시가 오는 6월 10일 율곡수목원에서 학부모와 수험생을 대상으로 수능 성공을 기원하는 ‘율곡 이이 구도장원길 걷기행사를 개최한다. 9일 시에 따르면 올해 걷기 행사는 학부모와 수험생 1천여 명이 참여해 율곡습지공원을 출발해 수목원 내 도토리길 6㎞ 구간을 걷는다. 도토리길은 9번이나 장원급제해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불리는 율곡(栗谷)이이(李珥ㆍ1536∼1584) 선생이 과거를 보려 한양으로 가던 길이다.율곡 선생의 과거시험 답안인 ‘천도책’ 등 각종 문헌에는 선생이 이 길을 따라 과거를 보러 간 것으로 기록돼 있으며 도토리길 중 ‘예부터 이 굴을 통과하면 과거시험에 합격한다’라는 전설이 전해지는 ‘구도장원굴’이 있다. 코스 내에 200여 그루의 소나무 군락지가 있어 삼림욕도 즐길 수 있다. 부대행사로 페이스 페인팅, 마술 공연 등이 열리며 자원봉사활동을 신청한 참가자는 환경정화 활동으로 봉사활동 3시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걷기 행사 신청은 다음 달 31일까지 파주 임진강변 생태탐방로 홈페이지(http://pajuecoroad.com/)에서 할 수 있다. 행사 당일 오전 8시부터 8시 30분까지 경의선 문산역에서 율곡수목원 행사장까지 무료셔틀버스가 운행된다. 파주= 김요섭기자

파주 찾은 美혼혈입양인 ‘엄마 품’ 조성 힘 싣는다

미국 거주 혼혈입양인들이 잃어버린 뿌리를 찾아 60여 년 만에 한국을 찾은(본보 4월3일자 3면) 가운데 이들이 파주시가 미군 주둔 국가 중 처음 추진하고 있는 동산인 ‘엄마 품’(Arms of Mother)’ 조성에 힘을 보태기 위해 모금운동을 펼친다. 지난달 31일부터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인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의 하나로 고국을 방문 중인 파주 출신 카라이즈 코프만씨(46ㆍ여ㆍ한국명 백수지) 등 혼혈입양인 32명은 4일 오후 ‘엄마 품’ 조성지인 파주 조리읍 ‘캠프 하우즈’를 방문, 미국으로 돌아가면 입양인들을 대상으로 엄마 품 조성 건립기금 모금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카라이즈 코프만씨 등은 이날 ‘엄마 품’ 조성지인 ‘캠프 하우즈’를 구석구석 살피면서 “파주시가 우리를 위해 모국의 정을 느끼게 해주는 동산을 조성하기로 한 점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엄마 품’이 훌륭하게 조성되도록 혼혈입양인과 입양인 등에게 동산 조성모금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미국 소재 비영리단체인 ‘미앤코리아’ 김민영 대표는 “미국 거주 혼혈입양인들은 어릴적 잠시 생모와 함께한 고국 하늘을 늘 동경하며 자신들이 보유한 재산과 재능 등을 기부하려는 마음이 남다르다”며 “‘엄마 품’ 조성 건립기금 마련도 이러한 취지다. 미국으로 돌아가 적극적인 모금 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파주시는 이 같은 소식에 전적으로 환영하고 이들이 여러 형태로 ‘엄마 품’ 건립에 참여할 수 있도록 후속 조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김준태 파주시 부시장은 “고국과 엄마의 정을 그리워하는 입양ㆍ혼혈인들이 ‘엄마 품’에서 마음의 위안을 얻었으면 좋겠다”며 “미국 거주 혼혈입양인들의 기금이 마련되면 적절한 절차를 거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파주시는 8억 원을 들여 다음 달 착공, 연말 완공 예정으로 미군 반환 공여지인 조리읍 봉일천리 ‘캠프 하우즈’ 61만808㎡에 1천㎡ 규모로 ‘엄마 품’을 조성한다. 고국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 주고 한국 방문 시 모국의 정을 느낄 수 있도록 꾸며질 예정이다. 주제공원 형태로 조성되는 ‘엄마 품’에는 엄마 동상이 설치되고 자갈길로 된 ‘엄마의 마음길’, 야외갤러리·모임광장·잔디마당 등도 마련된다. 파주=김요섭기자

잃어버린 뿌리 찾아… 60년만에 ‘엄마 품’으로

“엄마 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혼혈입양인 모국 방문프로그램인 모자이크 하파 투어(Mosaic Hapa Tour)의 하나로 고국을 방문한 파주출신 카라이즈 코프만씨(46ㆍ여ㆍ한국명 백수지) 등 혼혈입양인 32명이 3일 파주를 방문, 전통체험과 함께 생모를 찾는 뿌리 찾기에 나섰다. 미국 소재 비영리단체인 미앤코리아(대표 김민영)가 주최하고 파주시가 후원한 가운데 ‘다시 돌아온 어머니의 나라, 한국’을 주제로 파주를 방문한 이들은 대부분 생후 1~2년 만에 친모의 친권 포기로 미국으로 입양돼 짧게는 40년, 길게는 60년 만에 고국을 찾았다. 이들은 얼굴도 전혀 알지 못하는 생모를 찾을 정도로 자신의 뿌리에 대한 강한 정체성을 갖고 있다. 미국명과 한국명이 병기된 명찰을 달고 일부는 자녀까지 동반한 혼혈입양인들은 방문 첫날 철책선을 따라 임진강 생태탐방로 트레킹과 함께 민통선인 통일촌에서 전통두부 만들기, 맷돌 돌리기 등을 통해 한국의 전통 음식 만들기 체험을 했다. 이들은 두부 장인이 가르치는 대로 전통방식으로 순두부를 만들어 직접 맛을 보면서 고국의 정겨움을 느꼈다. 이어 파주 출판단지도 둘러봤다. 둘째날인 4일에는 도라전망대, 제3땅굴 등 안보관광지 견학과 함께 파주시가 미군이 주둔한 나라 가운데 처음으로 ‘캠프 하우즈’에 조성 중인 ‘엄마 품’도 방문해 고국의 정을 느낄 예정이다. 특히 이들 중 로웰로혼씨(62ㆍ한국명 신상호), 스티브워커씨(52ㆍ한국명 안준석) 등 4명은 출국을 앞둔 오는 7일 개인적으로 생모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법원읍 등지를 방문, 생모를 찾을 예정이다. 카라이즈 코프만씨는 “평생 엄마와 함께한 하늘을 함께 보기를 원했는데 소원을 풀었다. 조성 중인 ‘엄마 품’에 기금도 내고 싶다. 엄마를 꼭 찾고 싶다”며 울먹였다. 전송자 파주시 관광팀장은 “올해로 2번째인데 혼혈입양인들은 파주를 방문한 뒤 미국으로 돌아가면 서로 모임을 열 정도로 남다른 정을 느끼고 있다”며 “ 모두 생모를 찾게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