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있는 아침] 임진강

갈라진 외로움이 남아 있어 혼자는 잠자리에 들지 못하는 너는 임진강이다. 황포돛배를 어루만지는 아지랑이 곱게 낀 봄날에도, 포탄소리만큼 요란한 중동의 천둥번개와 함께 하늘이 깨어진 듯 쏟아지는 장대비속 한여름 밤에도, 스몰스몰 피어오르는 가을들녘 물안개 속에서도, 섣달 그뭄 영하의 새벽이 열리는 시간에도 바람이 가쁜 숨을 잠재우기 위해 편히 쉬어가는 곳, 너는 임진강이다. 분단의 아픔을 가슴으로 삭이면서 눈이 내리면 눈을 따스하게 보듬고 비가 오면 비를 담아가며 묵묵히 천년세월을 흐르고 있는 너는 임진강이다. 이젠 갈라짐을 뛰어넘어 하나로 가자. 이젠 갈라짐을 이어주는 다리를 놓자. 물새들도 자유로이 넘나들며 휘파람을 불고 있는데, 구름도 남북을 얼싸안고 평화를 노래 부르는데, 우리는 그렇게도 정답던 세월들이 불러도 돌아오기 어렵게 되었구나. 민족의 애환과 민족통일의 혼을 담고 누리를 휘감아 돌아가는 너, 민족의 꿈은 너의 등살위에서 살아오른다. 슬픔도 고통도 비극도 언젠가는 끝이 나는 법, 물길 따라 한을 풀고, 기다림을 모르고 흐르는 시간을 흔들어 깨워 155마일 휴전선을 활짝 열고 통일을 빚어내는 물길인, 너는 임진강이다. 너는 자랑스런 임진강이다. 이영하 공군본부 참모차장 역임, 한반도평화통일촉진문인협회 이사

[지지대] 뚜르 드 DMZ

사이클리스트의 행보는 인생의 행보와 닮아있다. 쉴 새 없이 달려야 하고 수 많은 난관에 부딪힌다. 잠시 쉬기도 하면서 의지를 다진다. 그리고 다시 끝을 향해 달린다. 꿈을 향해 달린다. 영화 뚜르 드 프랑스:기적의 레이스가 그리는 여정이다. 2013년 개봉된 영화 뚜르 드 프랑스는 가족과 직장을 모두 잃은 프랑수아가 자신의 어릴 적 꿈이었던 사이클리스트가 되기 위해 뚜르 드 프랑스에 참가해 자신과의 레이스를 펼치는 이야기를 담았다. 영화의 배경이 된 뚜르 드 프랑스(Tour de France)는 매년 7월 프랑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고의 사이클 대회다. 전 세계 사이클리스트의 꿈의 무대로 올해로 102번째 열리게 된다. 매일 한 개의 스테이지씩 총 21개의 스테이지를 3주 동안 주행해야 하는 장기 레이스인데다가 악명 높은 난코스로 알려져 사이클리스트들 사이에선 꼭 한번 도전해 보고 싶은 지옥의 레이스로 유명하다. 프랑스에 뚜르 드 프랑스가 있다면 한국에는 뚜르 드 디엠지(Tour de DMZ)가 있다. 뚜르 드 DMZ는 끊어진 한반도의 허리, 비무장지대( DMZ)를 자전거로 달리는 행사다. 분단의 현장에서 페달을 밟으며 통일 의지를 다지는 퍼레이드로 지난 30일 경기도 연천과 강원도 철원 일대에서 2천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는 2015 뚜르 드 DMZ 평화누리길 자전거 퍼레이드는 경기도와 강원도, 행정자치부가 주최하고 경기일보ㆍ경기관광공사 등이 주관했다. 올해 행사는 경기도 연천 공설운동장을 출발해 신탄리역을 거쳐 강원도 철원군의 백마고지역, 월정리역, 노동당사를 돌아오는 61㎞구간에서 펼쳐졌다. 그동안 경기도 민통선 일대에서만 열리다가 올해는 경기ㆍ강원 두 광역자치단체가 함께 했다. 경기도와 강원도는 번갈아가면서 매년 뚜르 드 DMZ를 개최하기로 협약했다. 또한 접경지역의 자연역사문화관광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동서횡단 자전거 구간(연장 550㎞)을 개발해 해외 선수와 동호인들이 참여하는 국제대회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올해 뚜르 드 DMZ는 DMZ를 공유하고 있는 경기도와 강원도 두 지자체가 공동 개최한 것만으로도 뜻이 깊다. 이 행사가 DMZ 접경지역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민족의 염원인 평화통일의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연섭 논설위원

오피니언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