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은 과천약사회 회장, 건강 지키는 ‘약’ 과다 복용은 ‘독’

“약은 질병과 상처를 치료해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지켜 주지만, 오·남용하면 오히려 몸을 해치는 독이 됩니다.” 과천시 약사회 정재은 회장은 우리나라 약 남용은 OECD 국가 중 매우 높은 편에 속하고, 특히 노인층의 약 복용량은 상상을 초월한다며 오남용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했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아이가 약간의 열만 있어도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 항생제를 처방하고, 청소년들은 밤샘 공부를 위해 잠을 쫓는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합니다. 또 어르신들은 여러 병원을 돌며 처방전을 받아 많은 양의 약을 먹습니다.” 정 회장은 이것이 우리나라의 약 복용실태라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우리나라의 항생제 오남용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편으로,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 박테리아’로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정부 보고서에 의하면 2050년에는 ‘슈퍼 박테리아’로 인해 연 1천만 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는 암보다 사망률이 높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이 같은 약의 오남용 피해를 줄이고자 지난해 ‘약 바로쓰기 운동본부’를 발족해 운영하고 있다. 약을 바로쓰기 위해서는 약에 대한 기본 상식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첫 번째 사업이 바로 약에 대한 교육이다.과천약사회는 초·중·고교와 경로당을 순회하면서 약에 대한 정보와 부작용 등 의약품 안전사용 교육을 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금연교육까지 병행하고 있다. 정 회장은 약사가 약의 오남용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을 하니까, 일부에서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약사에게 항생제 내성과 중독 등 약에 대한 부작용은 간과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정 회장은 약 바로쓰기 운동과 함께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약사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다. 과천약사회는 올해 ‘깔창 생리대’ 사건을 접하고 300만 원 상당의 생리대를 구입해 과천지역 초·중·고교에 전달했고, 메르스 사태 때는 손 세정제와 마스크를 무료를 제공하기도 했다.또, 명절 사랑의 송편 만들기, 구세군 양로원 봉사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과천약사회는 회원은 40여 명에 불과하지만, 홀로 외로워하고, 힘들고 아픈 이웃을 위해 비타민 같은 숨은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과천=김형표기자

과천시, 수공예품을 판매하는 문화플리마켓 거리 생겨 눈길

과천에 수공예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문화플리마켓 거리가 생긴다. 시는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19일까지 매주 토요일 대공원 나들길 굴다리에서 핸드메이드 수공예품을 사고파는 ‘시민참여 문화플리마켓’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 플리마켓은 시민들이 직접 손으로 만든 수공예품을 판매할 수 있는 특화거리를 조성해 생산자의 판로개척을 돕고 내수 소비를 촉진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문화플리마켓은 지하철 4호선 과천역에서 대공원으로 향하는 굴다리 길 50m 구간에서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열린다. 판매자는 과천시 여성비전센터와 과천문화원, 각 동 문화센터에서 가죽공예, 액세서리, 도자기 공예 등을 배운 청년층이다. 자신만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로 직접 제작한 가죽공예, 액세서리, 도자기공예, 한지공예, 캘리그라피, 매듭, 압화, 천연비누 등을 판매할 예정이다. 하지만, 직접 만든 작품이라도 반제품의 비율이 높거나 직접 디자인했지만, 제작은 다른 곳에 맡기고 판매만 하거나 기타 시장이나 다른 곳에서 사온 물건이나 재고물품 등을 판매하는 행위는 일체 금지된다. 시 관계자는 “문화 플리마켓은 청년층의 창업을 돕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라며 “이곳에는 국내 그 어디서도 살 수 없는 핸드메이드 진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많은 시민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과천추사박물관, 추사금석 주체로 특별전 개최

과천시 추사박물관은 오는 5일부터 ‘추사금석(秋史金石)’이란 주제로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기획전은 추사 김정희 선생이 북한산 비봉을 답사한 후 북한산 진흥왕순수비임을 확정한 지 올해로 20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기 위해 개최되는 것으로, 조선의 금석학을 학문적 반열에 올려놓은 추사 김정희의 금석학 연구를 집중 조명한다. 4부로 나눠 전시되는 이번 기획전은 총 40여 점의 작품이 선보인다. 제1부 ‘조선 금석학의 출발’은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탁본을 비롯해, 추사가 남긴 순수비 발견기와 심정기, 추사가 쓴 ‘진흥북수고경(眞興北狩古境)’, ‘고구려고성각자’ 등이 전시된다. 제2부는 ‘한중 금석학의 교유’로 조선과 청나라 학자들은 금석 탁본을 교류하며 금석학을 실사구시의 핵심으로 끌어올렸는데 옹수곤이 추사, 홍현주 등 여러 조선 학자들에게서 받은 금석 탁본을 통해 비문을 판독하고 평가한 ‘해동금석영기’, 조인영 친필본 ‘해동금석존고’, 유희해의 ‘해동금석원’을 볼 수 있다. 제3부 ‘서체 고증’은 추사가 고증, 소장한 자료가 선보인다. 추사가 소장했던 ‘한 보각송’, ‘취옹정기’, ‘왕왕묘비명’, 옹방강의 ‘장천비 임모첩’ 등이 전시된다. 제4부 ‘금석과 추사체’는 ‘삼사탑명(三師塔銘)’ 등이 선보인다. 삼사탑명은 연담 유일(1720~1799), 백련 도연(1737~1807), 완호 윤우(1758~1826)으로 이어지는 대둔사의 법백을 살필 수 있다. 이 유물은 김정희 해서의 표준이 되는 중요자료이다. 유관선 추사박물관장은 “추사 김정희 선생은 철저한 서체 고증, 끊임없는 탐구와 임모로 독창적인 추사체를 남겼다”며 “이번 추사박물관 가을기획전은 추사의 금석학에 대한 탐구가 어떻게 독창적인 추사체로까지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살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