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은 모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정부의 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전략을 마련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추진 중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초지능, 초연결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는 창의·비판적 사고력과 더불어 의사소통, 협업 능력이 중요하다. 학문 및 기술의 융합가속화로 자신의 전문영역뿐 아니라 다른 분야를 융합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은 미래 핵심역량 배양에 주력해야 한다. 미래 핵심역량이란 4C(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와 SW 역량 등의 기반능력과 창의적 연구역량, 혁신적 제품 및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개발능력이라 할 수 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어떻게 인재들을 양성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들은 물론 국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고민하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 모든 교육전문가가 말하듯이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빠른 변화와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는 창의성과 더불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혁신능력이 중요한 시대다. 바꿔 말하면 초지능, 초연결, 그리고 기술융합화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급속한 변화를 인간의 삶에 고스란히 반영하며 살아가야 하는 불확실성의 시대다. 앞으로의 교육은 지식습득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체험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 중요시되는 교육이 돼야 한다. 과거의 교육이 지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하고 이를 활용해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했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생이 자신의 관심사와 흥미 분야를 탐색하고, 성과를 만들어 가도록 지원해주는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교육은 남다른 재능을 가진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에 따라 새로운 길을 찾아내며 그 방향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이와 더불어 상황을 탐색하고, 문제를 찾아내는 능력을 키워주는 교육이 미래를 주도해 나갈 인재들에게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제 앞으로의 교육은 많이 가르쳐주기 위한 어른들의 관점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지켜보고, 지원해주는 교육이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만이 진정으로 우리가 원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사설(인천)
경기일보
2018-03-21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