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얼굴] 이상훈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제12대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에 이상훈 전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장이 취임했다. 이 신임 이사장은 한양대 전기공학과를 졸업 한 뒤 산업통상자원부 소프트웨어(SW)산업과장과 유엔무역개발협의회(UNCTAD) 전문관, 국민안전처 특수재난지원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정책관, 국가기술표준원 표준정책국장, 국가기술표준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이 이사장은 “산업단지가 직면한 여러 난제를 극복하기 위해 근본적인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산단공이 산업단지를 디지털·저탄소의 혁신공간으로 전환하고 기업의 매출과 경쟁력 제고를 지원하는 선도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이어 “사람이 다치지 않고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산업단지를 조성하며, 시대에 뒤떨어지고 기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저해하는 다양한 규제를 해소하는 데도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임직원들에게 “현장에서 기업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소통하며 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구름판으로 산업단지를 이끌어 가야 할 것”이라며 “도메인 특화 인공지능(AI), 협동로봇, 6G, 탄소포집, 분산에너지 등 혁신기술의 컨설턴트로 활동할 것”을 당부했다.

신계용 과천시장 기재부와 정부 과천청사 유휴지 환원문제 논의

신계용 과천시장이 정부과천청사 유휴지 환원문제를 매듭짓고자 기획재정부와 현안을 논의했다. 1일 과천시에 따르면 신 시장은 지난달 31일 과천시청에서 윤석호 기재부 국유재산 심의관을 만나 정부과천청사 유휴지 환원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는 정부과천청사 유휴지 환원문제를 마무리 짓고자 하는 기재부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유휴지를 시민 품으로 돌려줄 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결론짓기 위해 마련됐다. 그동안 지역 숙원으로 떠오른 정부과천청사 유휴지 환원문제는 지난 정부가 4천세대 고밀도 주택공급 계획발표와 중앙부처의 이전 발표 등으로 지역갈등의 중심지였다. 신 시장은 지난해 민선8기 취임 초기부터 정관계 주요 관계자와 사회원로를 만나 지원과 협조를 요청해왔으며, 시 관계자들도 기재부와 7차례 이상 실무협의를 추진한 바 있다. 신 시장은 앞서 지난달 15일 최기식 국민의힘 의왕‧과천 당협위원장과 김진웅 시의장, 국민의힘 시의원들과 함께 김기현 국민의 힘 당대표를 만나 지원을 요청했다. 신 시장은 “정부과천청사 유휴지는 1997년부터 25회에 걸쳐 개최된 과천축제의 장으로 시의 심장이자 상징적인 시민광장"이라며 “오랜 염원이자 숙원이었던 청사 유휴지를 시민에게 개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에 윤 심의관은 "과천 시민 요구에 충분히 공감한다”며 “청사 유휴지 문제의 해결은 유휴 국유재산에 대한 활용도를 높여 국가와 지자체가 상생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시는 향후 기재부 및 캠코와 실무협의를 통해 정부과천청사 유휴지 활용에 있어 세부사항에 대해 추가 조율한 뒤, 시민에 개방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남양주시, 남양주시민축구단 창립총회 개최

남양주시가 지난달 31일 시청 여유당에서 남양주 시민축구단(남양주FC)의 사단 법인 설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이번 창립총회에는 주광덕 남양주시장을 비롯해 창단 발기인 3명, 시의원, 창단 추진위원, 시민축구단 등이 함께했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발기인 대회에서 채택된 대표이사 등 임원 선임, 설립 취지문 채택, 정관 승인, 출연 재산 채택, 2023년 사업 계획 및 예산안, 법인 조직 구성 등 총 7건의 안건에 대해 심의·의결했다. 대표이사로는 지역 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한 문한경 경기동부상공회의소 회장이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문한경 대표이사는 “74만 남양주 시민과 축구인들의 염원이 담긴 남양주 시민축구단을 이끌어갈 초대 대표이사 자리에 선출돼 책임감이 막중하다”며 “시 관계 공무원 및 창단 추진위원회 위원들과 긴밀하게 협조해 오는 2024년 K4리그 참가에 차질이 없도록 창단 준비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주광덕 시장은 “시민축구단이 다핵 도시인 남양주에 심리적 구심점이 돼 공감대 형성을 통한 시민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 남양주 미래인 지역 유소년 축구의 성장 기틀을 마련하며 문화·예술 도시의 실질적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양질의 축구 경기를 제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