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짜리 위조수표로 현금 전액 인출 ‘은행도 속았다’

100억원짜리 위조수표로 은행을 속이고 현금으로 바꿔 달아난 대형 금융사건이 발생,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위조수표가 은행의 수표감별기 등에도 발각되지 않을만큼 정교했던 것으로 미뤄, 범인들이 상대적으로 위조가 쉬운 여권을 만들어 해외로 도피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경기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2일 오전 11시께 수원시 장안구 국민은행 정자점에서 60대 남성이 100억원짜리 위조수표를 건네고 두개의 계좌에 50억원씩 나눠 입금받아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계좌에 입금된 100억원은 14일까지 3일에 걸쳐 서울 명동 등에서 공범 K씨(42) 등에 의해 수십개의 계좌로 분산돼 전액 인출됐다. 경찰은 수표 주인인 대부업자 P씨(45)로부터 14일 오후 8시께 신고를 받고 수사에 착수했다. P씨는 은행에 진짜 수표를 제시했다 이미 돈이 인출된 수표라며 지급을 거절당했다. 경찰은 2천만~6천만원을 받고 인출 심부름을 한 K씨 등을 7명을 순차적으로 긴급체포했으나, 주범인 C씨(61)와의 연관성을 찾는데는 실패했다. 경찰 조사결과, C씨는 올해 초 브로커로부터 소개받은 대부업자 P씨에게 회사를 인수하려는데 자금력을 증명하기 위해 고액수표가 필요하다면서 수표를 빌렸던 것으로 확인됐다. 나흘간 수표를 빌린 C씨는 수수료 7천200만원을 P씨에게 지급했다. 이어 C씨는 이 100억원짜리 수표의 일련번호를 자신이 가진 1억원 상당의 수표에 액면금액과 일련번호만 위조하는 수법으로 수표를 위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C씨에게 돈을 분산 이체한 국민은행은 위조수표가 육안은 물론, 감별기를 통해서도 위조사실이 드러나지 않을 정도로 정교했다며 위조수표 가능성을 전혀 몰랐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경찰은 C씨가 사기 등 전과 3범으로 사건발생 당시 서울북부지검과 서울남대문경찰서에 사기 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였다고 전했다. 경찰은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사건이 발생한 수원중부경찰서에 경기지방경찰청 수사관들을 보내 주범 C씨 등을 쫓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치밀한 범죄행각으로 보아 C씨가 위조여권으로 이미 출국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C씨와 이미 검거한 7명 이외에도 최소 5~6명의 공범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빠른 검거를 위해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타지역까지 세력 뻗친 서울 조폭 검거

서울에서 활동하는 폭력조직이 안산과 시흥 등으로 세력을 확장, 지부를 결성한 뒤 각종 이권에 개입하고 폭력을 일삼다 경찰에 검거됐다. 경기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25일 서울의 한 회사 주주총회 입구 및 주차장을 순찰하며 위력을 과시한 혐의(폭처법상 범죄단체 활동 등)로 폭력조직 연합새마을파 안산지부 행동대장 P씨(34) 등 2개 조직 폭력배 10명을 구속했다. 또 K씨(33) 등 5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번에 경찰에 적발된 조직폭력배들은 연합새마을파 45명 외에 안산원주민파와 목포식구파, 수원역전파 등 다른 조직원 18명도 포함됐다. 경찰에 따르면 P씨 등 연합새마을파 조직원들은 지난 2009년 5월 서울시 구로구의 한 회사 주주총회장에 동원돼 입구 및 주차장을 순찰하며 반대 측이 동원한 폭력배들에 맞서 위력을 과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2008년부터 5차례에 걸쳐 재건축, 철거현장 등 각종 이권에 개입해 위력을 과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2009년 8월 시흥시 정왕동에서 조직원 J씨(31)가 다른 조직원에게 폭행을 당하자 보복폭행을 하는 등 7차례에 걸쳐 다른 조직에 맞서 폭력을 휘두른 혐의도 받고 있다. 2010년 3월에는 시흥에서 봉사활동 하던 고등학생들에게 시비를 걸고 이에 항의하는 교사를 집단 폭행, 전치 8주의 상처를 입히기도 했다. 특히 조직활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2010년 1월부터 시흥에서 여종업원을 둔 티켓다방을 운영하며 성매매를 알선해 6억4천여만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연합새마을파는 1999년 서울시 송파구에서 결성돼 강남에서 주로 활동하다 2005년 검ㆍ경 합수부의 대대적인 단속에 적발돼 세력이 약화됐다. 안영국기자 ang@kyeonggi.com

어쩌다 이 지역이 변태 성욕 배설구로…

최근 수원지역에서 남성이 여성 수영복을 입고 배회하거나 길거리에서 버젓이 자위행위를 하는 등의 변태행위 4~5건이 잇따라 발생, 시민들이 순찰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24일 수원서부경찰서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전 10시20분께 수원시 권선구 교동의 주택가 한 공터에서 여성 원피스를 입고 가슴에 풍선을 넣은 채 자위행위를 하던 K씨(38ㆍ요리사)가 경찰에 붙잡혔다. 당시 K씨는 유동인구가 많은 길목에 서서 얼굴에는 검정 비닐봉지를 쓴 채 자위행위를 하다 이를 본 시민의 신고로 현장에서 체포됐다. 앞서 지난 9일 밤 11시40분께 수원역 유흥가에서는 휴가 나온 L일병(23)이 군 활동용 반바지를 내리고 자위행위를 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앞서 지난 8일에도 40대 퀵서비스업체 직원이 수원시 장안구 조원동 주택가를 지나던 한 중년여성의 뒤를 500여m 쫓아가며 자위행위를 하다 경찰에 입건됐으며, 7일에는 30대 남성이 여성 수영복을 입고 집 밖에 나왔다 주민의 신고로 경찰에 붙잡혔다. 이 밖에 지난달 23일에는 20대 남성이 수원의 한 여중 앞에서 성기를 내놓은 채 자위행위를 하다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 한 달 사이 수원에서만 이 같은 변태행위가 잇따르자 주민들은 불안 및 스트레스에 경찰의 순찰 강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6세 딸 아이를 둔 K씨(31ㆍ여)는 나도 무섭지만, 딸이 그런 장면을 보거나 성범죄에 피해를 볼까 두렵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두형 안양희망가득소아정신과 원장은 아이들이 (변태행위) 목격한 경우 불안감에 휩싸여 외진 곳이나 막힌 곳을 피하게 되는 적응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신지원기자 sj2in@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