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이젠 줄입시다]<20>김포 국도48호선 신곡사거리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국도 48호선과 대포천을 따라 형성된 시도 18호선이 만나는 신곡사거리. 이곳은 인천과 경기북부를 제외한 외지에서 김포로 들어오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김포의 관문이다. 서울에서 김포를 거쳐 인천 쪽으로 가기 위해선 김포한강로를 제외하면 국도 48호선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신곡사거리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 외길이다. 그 만큼 차량통행량이 많은 김포시 최대 교통 혼잡지역이다. 신곡사거리는 최근 김포 한강신도시의 업무 및 공사용 차량이 많아진데다 신도시 입주민도 점차 늘면서 차량들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이와 함께 강화, 통진 방향에서 김포한강로를 이용해 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려는 차량들과 한강로 신곡IC에서 시도 18호선으로 나온 차량들이 신곡사거리에서 김포 시내와 외곽순환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차량들도 크게 늘고 있어 매우 혼잡해 지고 있다. 김포시가 최근 신곡사거리의 차량 통행량을 조사한 결과 국도 48호선의 경우 하루 9만8천800여대, 시도 18호선은 1만8천200여대 등 12만여대의 차량들이 신곡사거리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김포에서 서울이나 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 외부로 빠져나가는 차량들로 극심한 교통체증을 보이면서 1~2㎞의 차량 정체현상을 겪고 있다. 이같은 교통혼잡으로 교통사고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어 지난해 신곡사거리에서는 62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36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올해에도 지난달 말까지 4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 역시 1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처럼 신곡사거리는 교통혼잡에서 오는 추돌과 접촉사고가 대부분이고 과속과 신호위반도 적지 않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김포경찰서는 현행 시속 80㎞인 최고 제한속도를 70㎞로 낮추는 방안을 최근 관련 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고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또한 김포서는 지난 6일 교통안전시설심의위원회 3차 회의를 열고 서울방향에서 현대아파트로 좌회전하는 차선을 2개 차선으로 늘리는 방안을 최종 확정하고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김포서 관계자는 한강신도시의 입주민들이 늘면서 신곡사거리의 교통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이 교통혼잡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우선 제한속도를 시속 70㎞로 낮추고 서울~현대아파트 방향 좌회전 차선을 2개로 늘려 교통사고가 상당히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1억7천억원 꿀꺽’ 공무원이 회계시스템 농락

7급 교육공무원이 학교와 도서관의 일반운영비 1억7천여만원을 횡령,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특히 해당 공무원은 상급자 몰래 학교 및 도서관의 운영비를 자신의 계좌로 인터넷뱅킹하는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경기도교육청의 허술한 회계관리 시스템에 대한 지적이 일고 있다. 6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감사관실은 김포시 도립도서관에 근무하는 7급 공무원 A씨(35여)가 지난 1월부터 10여차례에 걸쳐 1억7천여만원을 횡령한 것을 적발했다. 지난 2005년 일반직 교육공무원으로 채용된 A씨는 올초 발령받은 김포시 S고등학교 근무 당시 수차례에 걸쳐 학교 운영비 수백만원씩을 자신의 계좌에 인터넷 뱅킹하는 수법으로 모두 7천여만원을 횡령했다. 이어 경기도립중앙도서관 김포분관으로 자리를 옮긴 A씨는 같은 수법으로 도서관 운영비 1억여원을 횡령하는 등 S고교와 도서관에서 모두 10여차례에 걸처 1억7천여만원을 빼돌렸다. A씨의 이 같은 횡령사실은 도교육청 회계감사에서 적발됐으며 교육청은 조사를 벌여 A씨를 이 날짜로 직위해제 및 중징계 의뢰하는 한편 김포경찰서에 고발했다. 도교육청은 다음주께 인사위원회를 열어 A씨에 대한 징계를 벌일 계획이다. 그러나 A씨가 상급자 등 직원 모르게 1억7천여만원의 거액을 자신의 통장으로 계좌이체할 수 있는 현 도교육청의 회계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A씨가 경제적으로 압박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범행을 벌인 것으로 안타깝다면서 회계시스템 미흡을 사전에 파악, 학교 등에서 무단 계좌이체 시 경보가 발령되는 ICT감사시스템을 구축키로 결정, 내년에 10억여원의 예산을 편성한 상태라고 말했다. 양형찬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