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8천억원 부담하라” vs 파주시 “인정할 수 없다”

지난 2014년 말 사업이 종료된 파주 운정택지지구 개발사업(운전 1~2지구)의 적자 부담액을 놓고 파주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갈등을 보이고 있다. LH가 공동 시행사업자인 파주시에 통보한 적자 추정액의 50%인 8천억여 원 부담에 대해 파주시가 “인정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파주시와 LH 파주사업본부 등에 따르면 최근 LH는 지난 2014년 말 사업이 종료된 운정택지지구 개발사업에 대해 시에 정산결과 적자 추정액 1조6천억여 원 중 절반인 8천억여 원을 부담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시와 LH간 지난 2005년 4월 맺은 운정택지개발사업 공동시행협약서 제3조(사업비 부담 및 관리) 규정에 따른 것이다. 당시 시와 LH는 교하읍 와동리와 야당리 등 일원 940만8천㎡에 4만6천256세대를 수용하는 운정택지지구 개발사업을 벌이면서 총 사업비를 양 기관이 각각 50%씩 부담하도록 협약을 맺었다. LH는 지난 2014년 말 사업이 종료된 운정택지지구개발사업에 대해 사업비 정산을 준공일로부터 60일 이내, 또는 양측 협의 후 60일 연장할 수 있다는 애초 협약서 규정에 맞춰야 했지만 준공 후 2년 뒤인 최근에야 정산을 완료한 뒤 총 적자액 규모(추정치)로 1조6천억 원으로 잠정 확정, 시에 통보했다. 이 때문에 시는 이 중 8천억 원 정도를 부담해야 한다. LH 파주사업본부 한 관계자는 “적자액에 대한 전체 금액을 밝힐 순 없으나 운정택지지구 개발사업이 준공된 만큼 협약서근거에 따라 적자액에 대한 파주시 부담을 요청했다”며 “LH 입장에서 정산한 것인 만큼 앞으로 시의 의견을 들어가면서 정산액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LH로부터 이 같은 적자 정산액 부담을 통고받은 시는 “LH의 일방적인 추정액 통보일뿐”이라며 앞으로 정밀한 회계 검사를 예고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LH가 마음대로 사업을 진행해놓고 투입된 사업비일 뿐으로 결코 인정할 수 없다”며 “보내온 정산액을 회계사 등 관계자들로부터 도움을 받아 면밀히 검토, 입장을 통보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그동안 시는 운정택지지구 개발사업(운정1~2지구)은 공동 시행사업자로 참여했으나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운정3지구는 참여하지 않아 LH가 단독 사업자로 택지를 개발하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국립민속박물관, 파주에 ‘개방형 수장고’ 짓는다

국내 유일한 생활문화박물관인 국립민속박물관 전체의 파주 이전을 놓고 국립민속박물관 측과 기획재정부 간 이견을 빚은 가운데, 박물관 내 ‘수장고 및 정보센터’만 따로 떼어 파주로 이전하는 안으로 최종 확정됐다. 이에 따라 국립민속박물관은 440억 원을 들여 오는 2020년까지 파주에 개방형 수장고를 건립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 예술마을 인근에 전시ㆍ교육ㆍ체험기능을 아우르는 ‘개방형 수장고 및 정보센터’를 세운다고 21일 밝혔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이를 위해 설계안을 공모해 개방형 수장고에 대한 이해, 유물보존환경, 헤이리 예술마을과의 연계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한 뒤 신한종합건축사 사무소의 ‘시간’(示間)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개방형 수장고는 대지면적 6만5천㎡, 연면적 1만㎡ 등의 규모로 로비에서 수장고를 바로 볼 수 있도록 지어진다. 1층에는 수장전시실, 개방형 수장고, 디스커버리 센터, 보존과학 연구 스튜디오 등이 들어서고 2층은 전시와 교육공간 등으로 활용된다. 지하 1층에는 비공개 수장고가 마련된다. 현재 경복궁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은 문화재청의 경복궁 2차 복원정비기본계획(2011~2030년)에 따라 오는 2031년 철거될 예정이다. 박물관 측의 이전계획은 유물보관장소인 수장고 과밀 해소를 위해 수장고와 연구용 지원시설만 분리해 기재부 소유인 파주 탄현면 통일동산지구로 오는 2020년까지 이전 신축하고 전시, 교육, 공원 등 핵심시설은 서울 용산가족공원으로 이전 건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기재부가 박물관의 앞으로의 운영 효율성을 들어 분리 운영보다는 통째로 박물관을 파주로 이전하는 ‘동일대지운영’을 요구하면서 그동안 진척이 없었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은 “관람객들이 탐험가, 큐레이터, 학자 등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는 열린 수장고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46년 경복궁에 문을 연 국립민속박물관은 연 25억여 원의 예산으로 조선~근현대 보존가치가 높은 가구, 그릇, 의식주 관련 생활문화용품 등 12만4천여점을 수집, 보관하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시, 오는 2020년까지 영세 사업장 미세먼지 저감시설 개선사업 추진

파주시는 ‘경기도 대기환경개선 프로젝트’의 하나로 지역 내 영세 사업장의 낡은 시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악취 저감 등을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20년까지 영세 사업장 미세먼지 저감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20일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영세 중소기업의 노후화된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 및 교체 비용 등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미세먼지 배출량 저감은 물론 악취물질 저감을 통해 맑고 깨끗한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행 첫해인 내년에는 총 사업비 3억 원을 확보, 노후화된 방지시설로 인해 미세먼지가 다량 배출하거나 악취 유발로 인한 민원이 많은 업소를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원 금액은 총 사업비의 50%로 최대 8천만 원(신규 8천만 원, 교체 4천만 원 이하) 한도 내에서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사업의 실효성을 위해 내년 2월까지 방지시설의 노후도, 악취오염도, 민원유발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자체 선정기준 등 지원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3월부터 신청서 접수를 통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미세 먼지와 악취 저감 등을 통해 시민이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자금 부족으로 인해 시설 개선에 어려움을 겪는 영세 사업장의 많은 관심과 신청을 바란다”면서 “사업 지속성을 위해 예산 확보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시 환경지도팀(031-940-8473)으로 문의하면 된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 임진각에 ‘한반도 생태평화 관광센터’ 세운다

DMZ(비무장지대) 생태평화관광의 허브이자 관문인 임진각 관광지에 오는 2018년까지 한반도 생태평화 관광센터가 건립된다. 20일 파주시에 따르면 임진각 관광지에 총사업비 112억 원을 들여 건축면적 6천600㎡에 지상 2~3층 규모로 한반도 생태평화 관광센터를 건립키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내년 10월까지 설계를 완료한 후 오는 2018년 12월까지 준공할 방침이다. 시는 앞서 건축설계공모를 마쳤다. 임진간 관광지 내 한반도 생태평화 관광센터 건립은 분단의 역사, 냉전시대의 마지막 분단 상징 지역 등으로 대표되는 DMZ 일원의 관광자원 활용 차원에서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안내정보와 홍보역할, 휴식공간 등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는 이와 함께 임진각에 곤돌라를 설치, 임진강을 건너 지난 2004년 미군이 사용하다 떠난 ‘캠프 그리브스’ 역사공원까지 관광하고, 경기도가 추진하는 옛 독개다리를 새롭게 단장한 스카이워크와 생태체험학습원, 국내 최대 400면의 캠핑장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강해 관광객 1천만 명을 유치할 계획이다. 이재홍 시장은 “비무장지대의 역사와 생태적 가치를 즐기며 체험할 수 있고, 비무장지대 고급 정보를 제공하며 홍보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사업 거점센터를 건립, DMZ 전체를 아우르는 10개 시·군의 종합관광안내센터 기능과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시 내년도 본예산, 9천858억원 확정돼

파주시 내년도 본예산이 올해 당초 예산보다 1천159억 원(13.3%)이 증액된 9천858억 원으로 확정됐다. 20일 시에 따르면 9천858억 원 중 일반회계 7천560억 원, 특별회계는 2천298억 원으로 각각 편성됐다. 사회복지 분야 2천894억 원, 환경보호 분야 557억 원, 도로 및 교통 분야 523억 원, 문화관광 분야 486억 원, 지역개발 분야 450억 원, 농림수산 분야 409억 원, 교육 분야 245억 원 등이다. 주요 사업을 보면 폴리텍대학 경기북부(파주)캠퍼스 부지 매입, 도라전망대 이전 신축, 용주골창조문화밸리 프로젝트, 법원 소도읍 육성, 마장호수 휴 프로젝트, 율곡수목원 조성, 대성동 주택정비 및 취약지역 개선, 한반도 생태평화 종합 관광센터 건립 등이다. 또 금촌 생태하천 복원사업, 운전 다목적체육관 및 실내 배드민턴장 건립, 조리체육공원 조성, 파평면사무소 신축, 한울도서관 건립 등 주민 숙원 사업 등이 반영됐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파주장단콩 웰빙마루 조성, 농업신기술 시범사업, 소상공인·중소기업 경영지원, 지역 맞춤형 일자리 지원 사업도 포함됐다. 이재홍 시장은 “단 한 푼의 예산이 낭비되지 않고 조기에 집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LG 디스플레이 P10용수공급시설, 하수재이용시설 착공

세계 최대 규모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생산하는 LG디스플레이 P10공장증설에 따른 공업용수부족을 해소(본보 15일자 2면)하기 위한 파주하수재이용사업이 착공됐다. 파주시는 지난 17일 하수처리수를 공업용수로 전환하는 재이용시설을 금촌하수처리장 인근에 부지면적 5천501㎡ 건축연면적 5천472㎡(지하 2층, 지상 2층) 규모로 착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금촌하수처리장~LG디스플레이까지 공급관로 13.5㎞가 설치되는 재이용사업은 내년 말 완공돼 하루 4만t의 공업용수를 파주LCD산업단지에 공급하게 된다. 재이용시설인 전처리분리막과 역삼투설비는 지하에 설치되고 상부공간에는 물사랑 배움터와 홍보관을 마련, 물사랑교육의 메카로 조성할 계획이다. 총사업비 658억 원(국비 321억 원, 지방비 36억 원, 민간투자비 301억 원)이 투입되는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으로 준공과 동시에 시설소유권은 파주시로 귀속되고, 운영권은 사업시행자인 파주그린허브㈜가 20년간 운영 후 파주시로 인계한다. 이재홍 시장은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 예산확보 등에 힘써주신 환경부(생활하수과), 기획재정부, 한강유역환경청, 한국환경공단 등 관계기관에 감사드리며, LGD P10공장 가동시기에 맞춰 적기에 공업용수가 공급되도록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파주하천수재이용사업은 지난 3월 공공투자관리센터(KDI PIMAC) 제안서검토를 통과한 지 불과 9개월 만에 공업용수 적기 공급을 위해 실시계획승인 등 각종 인허가와 토지보상 등 행정절차 기간을 절반으로 줄여 진행된다.700여 명의 직간접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공업용수 가격인하 및 유지관리비 감소를 통해 연간 18억 원이 절감돼 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파주운정신도시 3지구 3·6공구 시행자로, 중흥토건(주)선정

파주 운정3지구 3·6공구 조성과 시도 1호선 건설공사의 대행개발 사업 시행자로 중흥토건㈜이 선정됐다. 18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 파주사업본부에 따르면 운정신도시 3·6공구 조성공사 대행개발사업자로 증흥토건㈜를 선정하고 내년 1월부터 본격 공사에 나설 방침이다. 대행개발은 민간사업자가 택지조성과 도로공사를 하고 공사비 일부를 토지로 대신 받는 방식이다. 중흥토건은 공사비 일부로 운정3지구 공동주택용지 A29 블록(7만 2천911㎡)을 받아 이곳에 1천262가구 규모의 아파트를 건설할 예정이다. 1·4공구는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중흥토건이 맡게 될 시도 1호선 건설공사는 운정3지구 광역교통개선 대책의 하나로 상습정체 구간인 시도 1호선(설계금액 823억 원) 북측 문발공단∼교하삼거리 4.85㎞ 구간을 확장·포장하는 사업이다.오는 2019년 12월까지 기존 12m의 편도 1차선(왕복 2차선)을 25m의 2차선으로 확장하면 이 일대 차량정체 해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파주 운정3지구는 총 713만 6천818㎡ 규모로, 7개 공구로 나눠 개발될 예정이다. 2·5·7 공구는 일산공원 묘지와 군부대 등의 이전이 지연되면서 늦어지고 있다. 운정 3지구는 운정 1·2지구 및 교하지구와 함께 운정신도시를 구성하게 된다. 파주=김요섭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