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署, 미궁 속 ‘뺑소니 사건’ 해결 남친 범행 덮어쓰다 범법자 신세

미궁으로 빠질뻔한 뺑소니 교통사고를 한 달여 간의 끈질긴 수사 끝에 범인을 검거했다. 광주경찰서는 16일 앞서가던 오토바이를 차로 치고 달아난 혐의(특가법상 도주차량)로 A씨(30)를 구속했다. 또, A씨 대신 자신이 운전한 것처럼 사건을 은폐하려 한 혐의(범인도피)로 여자친구 B씨(24여)를 불구속 기소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12월 광주시 초월읍 쌍동리 파크랜드 앞 도로에서 앞서가던 조선족 S씨(37여)의 50cc 오토바이를 뒤에서 차로 치고 달아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사고로 S씨는 전치 8주의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또 A씨는 자신이 운전한 차량이 여자친구 아버지의 차량으로 보험처리가 되지 않을 것을 우려해 여자친구인 B씨가 사고를 낸 것처럼 경찰에서 진술해 달라고 하며 사건을 은폐하려 한 혐의(범인도피교사)도 받고 있다. 경찰은 B씨가 운전 중 사고를 내고 도주했다고 진술했지만 사고 당시 기억이 정확하지 못하는 등 의문점을 발견, 한 달여간 통신수사 등을 통해 B씨를 추궁한 끝에 범행 일체를 자백받았다. 경찰 관계자는 사건 접수 후 목격자의 진술을 토대로 조사를 진행했지만 피해자 S씨가 불법체류자로 강제 출국당할 것을 염려해 수사에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해 어려움을 겪었다며 A씨는 혐의를 완강히 부인했으나 탐문수사로 확보한 증거를 토대로 추궁하자 사실을 시인했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대농바이오 황성헌 대표 "장애인 고용 편견없애니 수익증대 큰 힘"

장애인도 비 장애인처럼 일 할 수 있습니다. 장애인들이 생산 현장에서 힘을 발휘하면 회사 전체에 활력이 넘치게 되고 결국에는 기업 이미지도 좋아져 수익 증대로 이어집니다. 광주의 한 중소기업이 장애인 고용이 수익 증대를 창출한다며 장애인 고용을 늘려나가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대농바이오 영농조합법인 황성헌 대표(56)가 그 주인공이다. 황 대표가 운영하는 대농바이오 영농조합법인은 지난 2003년 국내 최초로 새싹채소를 개발해 청정지역인 팔당상수원 보호구역 내에서 오존수를 이용한 수경재배, 무농약 친환경 재배 방식으로 브로콜리, 적양배추, 무순 등 쌈채소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친환경 농업생산 방식으로 중소기업 불황에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는 황 대표는 비단 경영인으로서 주목받는데 그치지 않는다. 바로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경계를 허물고, 장애인은 생산현장에서 일하기 어렵다는 편견을 과감히 떨쳐 버리고 전 직원 70명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20여 명의 장애인을 전문인력으로 고용해 생산현장에 배치해 눈길을 끄는 것. 황 대표는 지금의 대농바이오가 없었다면 장애인 고용문제도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회고했다. 황 대표는 지난 2003년 청소년 비만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하면서 각종 인스턴트 음식문화에 물들어 있는 아이들의 식생활을 바꿔보자는 생각으로 외래나물 종자를 수입해 성남과 구리, 남양주, 세곡동 등에서 농사를 짓는 농민들을 찾아다니며 토지주들을 설득해 위탁 생산에 들어갔다. 이듬해 직원 8명과 함께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에 둥지를 튼 대농바이오는 새싹채소를 대한민국 쌈채소 1세대로 키워 현재는 1만 5천 평의 토지에 하우스 50동 규모의 중소기업으로 성장했다. 현재 대농바이오의 새싹채소는 백화점과 호텔, 대형마트와 학교급식 등에 잇달아 공급되고 있으며 지난 2011년부터는 일본과 괌에도 수출하는 등 지역의 효자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황 대표는 먹어야 약이 되고 치료가 되는 채소가 시장 주류를 이뤄, 외국농산물에 견줄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며 "지난해 설립한 막걸리 공장에서도 지속적으로 장애인 고용을 추진해 나눔을 실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황 대표는 지난 2007년부터 경기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우리 쌀 100%와 산양산삼을 주원료로 하는 광주산삼가득 막걸리를 개발, 퇴촌면에 공장을 설립하고 생산에 들어갔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