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채한우600’ 사료통일 방안 논의

광주축협이 일반 사료를 먹여 키운 한우를 광주시 브랜드 자연채 한우 600 명품 한우로 둔갑시켜 지역 내 학교 급식으로 납품하고 시중에 유통시켜 물의(본보 1일자 1면)를 빚고 있는 가운데 광주축협이 광주시 한우협회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광주축협은 최근 광주축협에서 김학문 조합장 등 광주축협 관계자와 한우협회 임원진들과 만나 대책을 논의 했다. 이 자리에서 축협 측은 자연채 한우 600 브랜드 사업 규약을 개정해 광주 한우 섬유질 배합 사료(TMF)와 일부 축산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 사료(안산 연합사료)를 병행해 사용 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축협 관계자는 결정된 사항은 아니지만 순위를 정해 한우 출하 시 TMF사료 사용 농가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TMF사료와 일반 사료를 병행사용 하는 농가에게 2순위, 일반 사료 사용농가에는 3순위로 출하토록 하는 인센티브제 등 다양한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우협회 측은 개정은 적절치 않다. 당초 계획대로 TMF 사료를 사용 해야 한다 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 하면서 논의는 있었지만 전체 임원이 참석해 이뤄진 회의가 아니였다. 결정된 사항은 아무것도 없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어 광주시 전체 한우 농가와 협의해 한우 농가를 살리고 자연채한우600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축협은 오는 12일 한우협회 임원 회의 및 총회를 개최하고 자연채 한우 600브랜드 사업 운영위원회(축협, 한우협회, 광주시)를 소집해 사료 통일 방안 등에 대한 협의를 할 계획이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