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장애인協 선심성 예산 논란

광주시가 지난해 행감에서 장애인들이 보편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차량을 소수가 독점, 사용한다는 지적을 받은 시설에 또다시 1천만원 이상의 보조금을 책정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광주시지회는 지난해 지체장애인 휠체어 이동 차량과 중증 장애인을 위한 콜 승합차에 운영비로 총 6천만여원을 시로부터 지원받았다. 그러나 협회는 해당 차량을 광주시 실촌면 열미리의 재활 작업장 근로자(1명) 출퇴근용과 병원진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광주시지회 자체행사 운행 등에 사용하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시는 지난해 행감에서 장애인들이 보편적으로 이용하도록 광주시가 운영비를 지원했으나 소수가 혜택을 독점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시는 올해 2013년 장애인 보조금으로 증액된 2천만원을 관내 8개 단체 중 4개 단체에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는 지난해 행감 등을 통해 논란을 빚은 ㈔한국지체장애인협회 광주시지회에 1천200만원의 보조금을 민원상담인건비 명목으로 지원키로 했다. 이 액수는 전체 증액보조금 60%에 해당되는 것으로 책정된 보조금은 지체협회 민원상담원과 사무국장을 겸한 A씨의 급여로 지급하게 된다. 이에 대해 시민 A씨는 장애인이 필요할 때 쓰지 못하는 차량에 대해 수천만 원씩 지원 해 특정인이 수혜를 받게 하더니 이제는 없던 예산까지 편성하며 노골적으로 지원해 주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광주시의회 이현철 의원은 장애인 보조금을 뭉뚱그려서 본 예산에 통과시키고 재차 위원회 심의를 명분으로 세부 항목을 정해 특정시설에 예산을 몰아주는 것은 시의회를 기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 관계자는 지체협회 민원상담원이 장애인 이동차량 운전을 겸임하며 상대적으로 이동지원 차량의 운행 실적이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며 이를 개선코자 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역 내 8개 장애인단체 추천을 받아 상담사의 보조금을 책정한 것이지 특혜를 준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