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본보(21,22일자 11면)의 보도를 보면, 경기문화재단이 ‘도정홍보처’로 전락하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비록 지난해 도정홍보 및 도의 위탁사업을 할 수 있도록 정관 개정은 했다지만 사실은 경기문화재단에서 도정홍보나 도 위탁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 부터가 잘못됐다고 본다. 공보실, 문화관광국 등 관련사업의 해당부서가 엄연히 있지 아니한가. 별도의 법인으로 설립된 경기문화재단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도에서 맡기는 사업처리에나 급급한다는 비판은 그래서 타당성이 있는 것이다. 경기종합홍보책자 제작, 지역내 9개 케이블TV 네드워크에 문화관광 및 도정홍보, 도지사 인증 G마크 홍보 광고방송 제작, 열전가수왕, 경기도 좋은학교 도서관 만들기 등 사업비 100억원이 소요된 15개 위탁사업을 과연 문화재단에서 할 일인가. 문화재단 전문위원들이 이러한 위탁사업에 밀려 문화재단 고유 담당 업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도무지 말이 되지 않는 일이다. 방만한 예산운영도 의구심이 드는 부분이 많다. 올 한해 31개 시·군의 문화예술단체 및 문화예술인들로부터 1천26건에 이르는 문예진흥지원금 신청을 받고도 495건만 선정, 건당 150만원에서 200만원, 많아야 300만원, 400만원 정도를 지원한데 비해 다른 부분에는 혈세 아까운줄 모르고 쓴 게 그렇다. 광주 곤지암에 조성된 도자기엑스포 조각공원의 조각작품 97점에 16억원, 스페인 조각공원의 26점 5억원에 비해 고양 중남미박물관 조각공원 조성에는 4점의 조각작품에 2억원이나 사업비를 지원해준 것도 세간의 특혜의혹을 살만 하다. 특히 도내 지역 예술인들에게는 인색하기 짝이 없는 문화재단이 악극 2회 무료공연에 6천만원, 클렌쵸엘리트합창단 4천만원 등 수천만원씩을 지원한 것도 원칙없는 주먹구구식 예산지원이라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더구나 행사내용이 모호한 경기문화관광을 위한 포럼운영비 7천800만원 등 실효성이 적은 예산집행도 상당수에 이른다. 경기문화재단이 당초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창단되었는가. 진정한 경기문화재단은 문화예술계만을 위해서 운영돼야 한다. 특히 경기문화재단은 지원하는 곳이지 문화예술행사를 주관·주최하는 곳이 아니어야 한다. 따라서 감독기관도 아니고 간섭부서도 아닌 것이다. 경기문화재단을 ‘경기도정홍보처’ ‘경기도사업 대행기관’ 또는 ‘경기재단’으로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과 여론을 ‘일부의 불만이나 오해’쯤으로 간과하지 말고 2002년도 부터는 제반운영을 쇄신하기 바란다.
사설
경기일보
2001-11-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