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부부들의 가장 어려운 문제는 자녀들의 교육 문제이다. 특히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맞벌이 부부들은 방과 후 돌봄교실로 자녀를 보내야 하는데, 이들 돌봄교실이 부족해 자녀 교육 문제로 육아휴직을 걱정해야 되는 심각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당국과 지자체에 해결책을 촉구하고 있다. 돌봄교실의 부족 현상은 수원특례시, 화성시와 같은 인구밀집지역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에 의하면 현재 지역 내 초등학교 1·2학년 대상의 돌봄교실은 2천980곳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40곳이 증가한 것이지만, 아직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 연평균 5천명 정도의 초등학생이 돌봄교실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돌봄교실에 가지 못하는 맞벌이 부부들은 걱정이 태산같다. 교육부의 돌봄교실 수용 인원 자료에 보면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는 6만9천759명이 신청했으나, 7천264명이, 금년에는 6만9천560명이 신청, 3천784명이 탈락했다. 이런 경기도의 돌봄교실 부족현상과는 달리 인천시교육청은 신청 학생 수보다 돌봄교실 수용률이 넘어서고 있어 경기도 학부모들의 불만은 더욱 크다. 임태희 도교육감이 교육감후보 시절은 물론 당선 후에도 가장 강조한 정책 중 하나가 돌봄교실의 해소다. 후보 시절 임 교육감은 “경기도교육감이 되면 가장 강조할 것은 돌봄입니다”라고 했을 정도로 책임돌봄을 강조했다. 특히 임 교육감은 맞벌이 부부의 돌봄 해소를 위해 ‘언제나 돌봄 거점센터 구축,’ ‘초등 돌봄운영 시간 확대,’ ‘돌봄행정 업무 일원화 및 간소화’ 등의 정책을 통해 임태희표 ‘책임돌봄’을 자신했다. 임 교육감은 오후 8시까지 돌봄 시간을 확대하고, 교육지원청 내 (가칭)학교지원센터 기능을 확대해 모든 돌봄서비스를 유연하게 시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임 교육감이 취임한 지 불과 4개월 정도 지난 현재까지의 돌봄교실 정책과 운영실태를 가지고 공약이행 여부를 따지는 것은 시간상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돌봄 희망자 100% 수용을 위해 지자체와 돌봄 관련 조례 제정, 공간·예산·인력 지원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초등돌봄교실을 증설하고, 돌봄 거점화, 지역 돌봄서비스를 연계한다는 임 교육감의 구상 등이 내년 정책과 예산에는 반드시 반영, 실시되기를 기대한다. 돌봄교실의 확대는 단순히 맞벌이 부부에게 한정된 문제만은 아니다. 이는 정부의 저출산 해소 정책과도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젊은 부부들이 자녀의 교육 문제가 가장 힘들다고 하고, 이 중에는 돌봄교실 문제도 중요한 요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지자체와는 물론 중앙정부와도 긴밀하게 협력해 돌봄교실 부족 문제를 해결해 학부모들의 걱정을 덜어 주기 바란다.
사설
경기일보
2022-11-13 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