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기기화에 노인들이 힘들어 하고 있다. 생활 불편 수준에 머무는 문제가 아니다. 사회로부터의 격리로 어이지는 중이다. 이를테면 온라인 쇼핑을 보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활의 일부다. 온라인 쇼핑 없이는 생활이 안된다. 여기에서 노인들이 소외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0년도 노인 실태조사가 있다. 정보화 기기에 접근하는 노인의 실태를 담고 있다. 여기서 온라인 쇼핑을 하는 노인은 9.4%에 불과했다. 다음으로 어려워 하는 게 금융거래다. 14.4%만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대중교통 이용과 관련된 불편함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기차, 고속버스, 시외버스 예매 등 정보화기기를 통한 교통수단 예약 과정에서 불편함을 호소했다. 61%가 이용한 적이 있다고 했는데, 이중에 66%가 불편하다고 했다. 불편하지 않게 사용한다는 답변은 15%에 불과했다. 키오스크(무인정보단말기) 사용 과정의 불편도 심각했다. 식당 등에서 키오스크를 사용한 경험이 65%인데, 이 가운데 71%가 불편하다고 밝혔다. 노년층이 많이 이용하는 진료비 결제나 처방전 발급도 당연히 포함된다. 사실상 사회로부터 격리되는 심각한 문제다. 교육으로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각 시군마다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다. 노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많다. 지난해 8월 현재 경기도 내 관련 프로그램은 213개다. 크게 분류하면 19가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모두 시군이 운영하는 것으로 대개 노인복지관이 수행하고 있다. 제일 많은 건 컴퓨터다. 전체 26.8%인 57개 강좌가 개설돼 있다. 그런데 앞서 지적했던 키오스크 이용법이나 스마트폰 활용법 등의 교육은 적다.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교육도 미미하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로그인 한 뒤 계좌 이체를 하는 등의 실질적 교육이 필요한데, 이 단계까지 가는 교육이 거의 없다. 현실 필요성을 좇아가지 못하는 교육이다. 바뀌어야 한다. 노인들의 취미 생활을 돕는 차원의 교육이 아니다. 생계를 위한 교육이고,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이다. 직접적이어야 하고, 목적이 분명한 교육이어야 한다. 이를테면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교육, 돈을 송금할 수 있는 교육, 고속버스를 예매할 수 있는 교육 등으로 세분화해야 한다. 그리고 이런 교육을 이수한 노인들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교육 유인책도 검토해야 한다. 노인 복지를 말하는 우리가 놓치고 있는 심각한 구멍이 이 부분임을 인식해야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22-03-21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