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아트홀 붕괴사고 시공업체 조사 착수

1일 발생한 김포 아트홀 공사현장 붕괴사고와 관련, 김포 경찰서는 시공업체 관계자 등을 상대로 부실시공과 안전의무 수칙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2일 밝혔다. 김포 경찰은 이날 건물 설계도면 등 제반 공사 계획서와 작업일지 등을 시공업체로부터 넘겨받아 서류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으로 현장 감식을 벌여 정확한 사고원인을 규명할 예정이다. 서류 검토가 끝나는 다음 주 초께 현장소장과 작업 근로자 등 시공업체 관계자와 감리회사 관계자 등을 불러 본격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김포 아트홀은 두 시공업체가 지분을 나눠 공동으로 참여했다며 사고 원인과 관련해 부실시공 여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야간작업을 하게 된 경위와 현장소장 등 공사 관계자들이 야간 근무 수칙을 제대로 지켰는지 여부 등도 조사할 계획이다. 감리업체가 공사 감독을 철저히 했는지도 조사한다. 경찰은 사고 당시 상황으로 미뤄볼 때 건물 옥상 거푸집에 시멘트를 붓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다가 건물이 시멘트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지난 1일 오후 8시57분께 김포시 사우동에 있는 김포아트홀 공사 현장에서 5층 콘크리트 상판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근로자 A(56)씨가 숨졌고 B(55)씨 등 8명이 크고 작은 상처를 입어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김포아트홀은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의 대규모 공연 시설로 지난 2011년 6월 공사가 시작돼 내년 4월 완공 예정이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kyeonggi.com

주식정보 믿고 투자한 경찰 돈 날리자 웃돈까지 뜯어내

사건 관련자로부터 얻은 주식정보로 돈을 날린 현직 경찰이 웃돈까지 뜯어냈다가 검찰에 적발됐다. 수원지검 특수부(이주형 부장검사)는 사건 참고인으로부터 들은 정보로 주식에 투자한 뒤 돈을 잃자 참고인을 협박해 돈을 챙긴 혐의(공갈뇌물수수)로 서울 서초경찰서 L경감(36)을 구속했다고 1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L경감은 서울 수서경찰서 수사과에서 근무하던 지난 2009년 사건 참고인으로 만난 M&A 투자전문가 A씨로부터 유망사를 추천받고 투자했다가 주가가 폭락해 수백만원을 잃자 A씨를 협박해 같은 해 차명계좌를 통해 1천500만원을 뜯은 혐의다. 검찰 조사 결과 L경감은 자신이 잃은 돈에 기대이익까지 더해 3천만원을 요구했다가 절반을 받아낸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L경감은 A씨에게 언제든 피의자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며 협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L경감은 검찰에서 A씨가 자신이 알려준 정보에 투자했다가 돈을 잃자 미안해서 준 것이지 협박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달 배임혐의 등으로 구속된 A씨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L경감으로부터 협박을 받아 돈을 뺏겼다는 진술을 받고 수사에 착수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공포의 안양 타이거파 일망타진

안양 지역을 장악한 폭력조직 타이거파의 두목 등 조직원 수십여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경기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1일 불법 게임장 운영 등 각종 이권에 개입해 갈취폭력을 일삼은 혐의(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등)로 타이거파 두목 L씨(47) 등 조직원 10명을 구속하고 3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또 경찰은 타이거파 조직원 43명과 AP파 3명, 폭력조직 추종세력 11명 등 57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타이거파 두목 L씨는 2006년 11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안양에서 불법 오락실 21곳을 운영하면서 챙긴 31억8천만원의 불법 수익을 차명계좌로 관리한 혐의를 받고 있다. L씨는 그 기간동안 불법 오락실 운영 혐의로 무려 62차례에 걸쳐 단속됐지만 모두 바지사장을 내세워 처벌을 피해오다가, 2009년 4월 구속됐다. 조사 결과 L씨는 2009년 1월부터 지난 7월까지 도피와 수감생활은 물론 2011년 4월 출소 이후에도 안양 안양동 테마파크 놀이 랜드 등 총 8개의 불법오락실을 운영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L씨가 은닉한 범죄수익 31억8천만원을 기소전 몰수보전 신청을 통해 몰수했다. 이와 함께 L씨 등은 2010년 5월부터 최근까지 안양 일대에서 성매매 업소와 도박장 등을 운영하고, 경북 포항 지역의 건물 유치권 분쟁 등 각종 이권에 개입해 감금협박 등 집단폭력을 행사하면서 수천만원을 챙긴 혐의도 받고 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