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 수도권 주민들의 식수원인 팔당상수원 수질관리에 또 허점이 드러났다. 도내 한강수계지역 하수처리장 26개소 가운데 양평군 등 7개 시·군 11개 곳이 처리능력 부족으로 하루 평균 5만6천600t의 생활하수를 그대로 방류, 팔당상수원은 물론 한강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음이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것이다. 남양주시 송내하수처리장의 경우, 시설 용량이 1일 250t이나 유입량은 290t에 달하고, 능내하수처리장도 시설용량에 비해 1일 10t 정도가 초과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리 , 가평, 청평의 하수처리장 또한 생활하수가 초과 유입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하수처리 시설용량 신·증설과 도시계획 확장조차 승인받지 못해 현재까지도 대책을 마련치 못한 곳들도 있다고 하니 보통 걱정이 아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6월말 기준으로 도내 34개 하천의 수질을 조사한 결과 중랑·안양·군포 등 88.2%에 달하는 30개 하천의 수질이 환경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한강오염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팔당상수원은 그러잖아도 지난 10년간 공장은 5배, 음식점은 4배, 공동주택은 3배 가량 늘어났다.1990년 812개에 불과했던 공장이 2000년 현재 3천817개, 음식점은 2천585개에서 9천520개, 숙박업소는 228개에서 549개, 호텔은 13개에서 34개로 각각 늘어났다. 종교시설도 255개에서 788개, 공동주택은 482개에서 1천553개로 증가하여 수질이 계속 악화된 것이다. 문제가 더욱 심각한 것은 팔당상수원은 정부 예산 뿐 아니라 주민들에게 연간 2천억원이 넘는 물이용 부담금까지 물리면서도 수질은 제자리로 전혀 개선되지 않는점이다. 2005년까지 팔당호의 수질을 1급수로 개선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은 구두선(口頭禪)에 불과하다는 지적은 이래서 나오는 것이다. 수질 보전과 개선에 앞장서야 할 지방자치단체들이 오염된 생활하수를 정화시키지 못하고 팔당상수원으로 방류한 것은 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팔당상수원 및 한강 수질대책은 재원마련을 위해 주민들에게 직접적인 부담을 지웠다는 점에서 다른 정부정책과 차이가 있음을 알아야 한다. 하수처리장 시설의 현대화는 물론 신·증설을 서둘러 한강이 더 이상 오염되지 않도록 경기도 차원의 대책을 세우기 바란다.
사설
경기일보
2002-09-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