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발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인천시지하수관리 및 수질보전방안’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지하수질은 한마디로 위험하기 짝이 없다. 인천지역에서는 현재 총 6천600여개의 지하수 관정을 통해 연간 2천만t의 지하수를 농·공업용, 음용 등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상수도 보급률이 낮은 옹진·강화·중구 일부 지역은 지하수 의존도가 매우 높다. 그런데도 매년 실시하는 수질검사에서 25% 정도가 불량판정을 받고 있다면 방치할 수 없는 비상사태이다. 먹는 지하수에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이나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이 대량 함유돼 있고, 일반세균과 대장균군도 매년 검출된다니 그 심각성을 한번에 알 수 있다. 이렇게 지하수질이 악화되는 원인은 무엇보다 지하수를 개발하다 방치해 둔 폐공에서 찾을 수 있다. 인천지역은 연간 전체 관정의 15% 정도가 폐공화되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폐공이 생겨나는 원인은 수량부족과 사용중지, 토지형질변경 등이 주된 사유다. 그러나 인천시는 지하수 관련 행정업무를 시 본청과 군·구당 1인이 담당하고 있으며 그나마 이들도 하수·상수·공유수면관리 등의 업무를 동시에 담당하고 있다고 한다. 수질검사 기관이 시 상수도사업본부와 보건환경연구원, 경인지방환경관리청 등으로 다원화돼 있어 체계적인 자료축적과 공유가 어려운 것도 문제점이다. 날이 갈수록 악화되는 지하수질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인천시 스스로가 먼저 지하수오염물질의 위치, 방출 오염물질의 종류, 오염원 변동사항, 관리책임자 등을 파악한 뒤 지하수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감시·규제를 엄격히 하고 지하수 보전구역을 지정해 방류수 수질기준을 대폭 강화해야 할 것이다. 폐공 원상복구도 선결과제다. 지하수개발비용(300만∼500만원)보다 복구비용(500만원)이 비싼 것을 감안해 인천시가 일정비용을 지원해주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오수발생시설, 분뇨 및 정화조 오니, 지하유류저장시설, 불량하수관리, 폐기물 매립 등도 지하수질 악화의 요인이므로 인천시는 당장 눈 앞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여 경시하지 말고 지하수질 보전대책을 강구하기 바란다.
사설
경기일보
2000-1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