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29일 확정, 발표된 한·미 연합토지관리계획(LPP)은 전국에 산재한 미군 기지 및 훈련장에 대한 최초의 대규모 통폐합 계획으로 통일 이후 미군 주둔까지 염두에 둔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주한미군 기지 가운데 인천의 부평 캠프 마켓 등 그동안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됐던 도심지역 8개 미군기지 및 시설이 2011년까지 단계적으로 한국측에 반환된다. 이에 따라 28개 미군기지 및 시설 214만평과 훈련장 3천900만평 등 총 4천114만평 중 경기도는 4천11만평을 돌려 받게 됐다. 그 대신 한국은 미군기지 통폐합을 위해 의정부 캠프 스탠리 부근 30만평, 오산 공군기지 주변 50만평, 평택 24만평 등 7개 기지와 시설 및 훈련장 1개소 등 모두 8개소의 154만평을 매입해 미군측에 제공해야 하는 부담을 안았다.여기서 경기도지역이 124만평이나 돼 심한 마찰이 예상된다. 이 LPP협정이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해당 지역 주민들의 해묵은 민원이 해소되고 개발제한에 묶엮던 지역이 발전된다. 그러나 미군측에 다른 기지를 제공해야 하는 지역에선 민원이 발생, 명암이 엇갈리게 됐다. 특히 반환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화성시 매향리 사격장, 파주 스토리사격장, 미2사단 기갑부대 훈련장(다그마노스), 연평훈련장 등 지역과 오산, 의정부, 이천 등 한국측이 공여키로 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반미운동으로 확산될 조짐이 보여 심히 우려된다. 그렇지 않아도 의정부참여연대, 평택참여연대 등은 벌써부터 미군기지 신설, 확장에 대한 결사반대운동을 극심하게 전개하여 왔다. 이전비용도 큰 문제점이다. 앞으로 10년간 미군기지 재배치에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3조3천억원 중 1초8천400억원은 미국측이 부담하고, 나머지 1조 4천900억원은 한국측이 부담할 것이다. 한국측은 반환되는 토지 중 사유지를 제외한 국유지를 팔아 비용을 조달할 계획이지만 땅이 팔리지 않을 경우, 추가로 예산을 마련해야 하는 난관에 봉착하기 때문이다. 한·미 양측이 반환기지 및 훈련장의 오염된 환경 복원 책임문제를 합의서에 명시하지 않은 것 역시 논란 사항이다. 경기도 지역이 해당사항이 가장 많은 미군기지 제공에 따른 반발과 이전비용, 환경 복원 등에 대한 정부의 대처능력을 예의주시하고자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02-04-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