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경기개발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하여 최근 마련한 남북교류협력추진방안은 계획상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농업, 수산업 등 1차산업에서부터 문화, 관광, 학술교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다. 이 가운데 경의선의 철도축 연계권, 국도 1호선의 도로축 연계권 등은 특기할 만하다. 또 개성공단, 관광 등 남북경제협력, 비무장지대의 가치 증대 등을 활용한 남북접경지역 공간통합, 경기도의 첨단산업·자원가치의 다용성을 이용한 환경체험 관광활용의 조화도 기대된다. 물론 모든 사업들은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관계가 교류협력 분위기로 진전될 경우이지만, 북한과 휴전선을 맞대고 있는 경기도는 접경지역의 이점을 십분 활용, 타 시·도에 비해 남북관계를 원만하게 풀어나갈 수 있다고 본다. 100억원의 기금을 바탕으로 올해부터 2004년까지의 1단계, 2005년부터 2012년까지의 2단계, 2013년부터 2027년까지의 3단계로 추진한다는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문제는 다소라도 북한과의 사전 교감이 있느냐 하는 점이다.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고 돌아온 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할 것으로 알았고, 경의선도 곧 바로 복원될 것 같았으나 오히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상태에 놓였다. 남북관계는 낙관은 절대 금물임이 재삼 확인된 것이다. 경기도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원활히 추진하려면 작금의 남북교류사업 문제점과 실패원인을 무엇보다 먼저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 지방정부의 경우 중국의 대리인(에이전트)을 통한 접촉을 추진해 직접적인 노하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에이전트에게 중개수수료 및 북한입국 대가를 선불로 지불해 만일 에이전트가 잠적하면 대처방안이 없는 것이 걱정스럽다. 또 남북체제의 우월성 자랑 및 남한내 실적홍보도 자제해야 할 대목이다. 민간기업은 북한 소비시장의 미형성에 따른 이익회수의 난점이 제기되고, 북한의 생산시설 및 생산능력 확보 후 계약이 단절되는 문제점도 있다. 지난 날 북한과의 교류협력사업은 때로는 외국과의 외교보다 훨씬 어려운 부분이 있어왔다. 더구나 국가차원이 아닌 경기도 자체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은 특히 미묘한 경우가 많이 발생할 것이다. 2단계, 3단계보다는 우선 1단계 사업에 신중하게 주력하기 바란다.
사설
경기일보
2002-03-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