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호우경보가 발효된 가운데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강타, 또 적잖은 수해를 냈다. 인천지역 역시 상당한 수해가 났다. 주택 및 농경지 침수 등 재산피해도 피해지만 인명피해가 유별나게 많은 것은 수해대책의 허점을 드러낸 것으로 보아진다. 22명이 사망하거나 실종된 도내 인명피해 가운데 가평, 고양에서 11명이 야영, 낚시, 차량전복 등 급류에 휘말려 희생된 것은 책상머리 재해대책 탓이 아닌지 의심된다. 산간계곡, 하천변, 유원지 등의 행락객 철수지도가 현장위주로 좀더 철저히 이행됐으면 이런 참사는 능히 막거나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구리 산사태 모녀 매몰사, 그리고 광명, 안양에서 길가던 행인이 전주가 쓰러져 감전사 하는등 어이없는 사고에 대해선 그 책임한계를 분명하게 가려내야 할 일이다. 안양에서 반지하 주택이 물에 잠겨 일가족 3명이 숨지는등 20여 시·군에서 3천500여채나 빚은 주택가 침수소동은 해당 자치단체가 수방관리를 소홀히 한 완전 인재다. 이번 도내 강우량은 포천 322mm를 비롯, 구리 309mm, 의정부 296mm, 양주·광명 260mm, 김포 233mm, 여주 19mm 등 평균 157.3mm다. 여름철이면 150mm대 강우량의 집중호우는 충분히 예상해야 하는게 지방자치행정의 소임이다. 그런데도 100mm도 훨씬 못되는 수십mm의 호우로 침수를 빚은 시·군이 상당수에 이르러 이처럼 많은 주택 침수소동에다 인명피해까지 낸 것은 도대체 하수구 등 배수관리를 어떻게 한 것인지 심히 의문이다. 배수관리의 요체인 하수시설은 도시 기반시설이다. 기반시설 하나를 제대로 못갖추어 지역 주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그것도 되풀이 하여 끼치는 자치단체장은 그 책임을 깊이 통감해야 한다. 농작물 피해 역시 6개 시·군에서 1천여㏊의 농경지와 100여채의 비닐하우스가 침수된 것 또한 배수시설에 문제가 없는게 아닌지 성찰이 요구된다. 수방시설은 단10%의 미완으로 수해가 되풀이 되면서 이미 진척된 90% 공정을 헛되게 하기가 일쑤다. 적기를 놓친 예산집행의 실책으로 이런 흠이 없었는지 이번 기회에 잘 점검할 필요가 있다. 1천20여가구에 발생한 3천200여명의 이재민 대책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며, 특히 주택가 침수지역에 설상가상으로 발생하기 쉬운 수인성 전염병 대책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우기는 아직도 멀었다. 이번 피해를 교훈삼아 주민들이 믿고 살 수 있는 여름철 수해대책 강화에 비상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01-07-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