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추진하는 ‘경기과학기술원’ 설립은 기대를 갖게 한다. 21세기 산업의 특징은 지식기반 기술이다. 지금도 경기지역은 이러한 첨단산업의 집약체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검토 단계에 있는 ‘경기과학기술원’의 설립이 추진돼 결실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은 나라의 미래를 위해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버금가는 과학의 산실이 지역사회에 의해 탄생하는 것은 지방화 시대의 자긍심이며 시대적 요구다. 그리고 이는 지방자치 능력, 지방자치 규모, 지방자치의 미래 지향적 관점에서 경기도가 부하 받고 있다는 판단을 갖는다. 이러므로 하여 간곡히 당부하고 싶은 게 있다. 첫째, 치밀한 사전 계획이다. 생명공학, 정보통신, 우주기술 등 이밖의 최첨단 고급 인력을 육성하는덴 수요와 공급을 예측해야 한다. 육성만 하고 쓰는 곳이 없으면 인력 자원의 낭비다. 첨단 기술을 산업현장에 접목시키거나 경기도가 직접 활용하는 마스터 플랜이 있어야 한다. 외국에서 공부한 우수 두뇌가 쓰일 곳이 없어 국외로 이탈하는 경우가 많다. 경기도가 육성한 우수 두뇌가 이처럼 이탈하는 불행이 있어서는 안된다. 둘째, 예산 투입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경기과학기술원’ 설립은 청사건립, 장비시설, 두뇌초청 등에 예상키 어려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이 중 그 어느 것이든 조금이라도 미흡하면 소기의 목적 달성이 어려워진다. 청사건립은 현대적 건물이어야 하고, 장비시설은 최첨단을 걸어야 하고, 두뇌초청은 저명한 외국인도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 기왕 설립하는 ‘경기과학기술원’은 적어도 이쯤 되어야 과학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갈 수가 있다. 경기도는 동북아의 중심지역이고 장차 통일 한반도의 중핵지대다. 이에 부응하는 미래 지향의 의욕찬 야심적 사업에 예산을 들이는 것은 곧 투자다. 투자는 투자한 것만큼 수확이 비례한다. 셋째, 사업의 일관성이다. ‘경기과학기술원’ 설립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용역 조사에서 시작하여 현판식을 갖기까지는 숱한 난관속에 실로 여러 해가 걸린다. 인내성과 추진력이 요구된다. 정책의 항구성이 보장돼야 두뇌산업의 육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기도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그 어떤 이유로든 중단될 수 없는 고유의 정책산업으로 시작되는 일관성이 담보되기를 바라고자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03-03-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