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당초 국제적인 비즈니스 센터로 만드릭로 했던 인천 송도 신도시에 삼성, 현대차 등 국내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을 유치,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유사한 ‘IT(정보기술) 중심지’로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고 한다. 인수위는 또 경제특구내 국내기업에 대해서도 세제혜택을 주는 한편, 국내 연구기관 연구원 자녀들도 외국인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등 외국기업과의 역차별을 해소하는 ‘경제자유구역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인수위의 이같은 방침이 실현된다면 인천이 획기적으로 발전될 것이 분명해 환영해 마지 않는다. 이같은 방침은 당초 정부의 동북아 중심국 건설전략을 대폭 수정한 것으로 외자유치보다 국내 기업 R&D 역사 집결에 금융·서비스 등 비즈니스 보다 IT 허브화에 우선 순위를 두겠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인수위의 발표에 따르면 삼성의 기흥연구소, 현대자동차의 마북리 연구소, 서울 공대의 연구소 등 국내 대기업·대학의 R&D 센터를 인천에 유치, 시너지 효과를 높히겠다는 것이다. 또 인천, 수원, 광양 등을 자유무역지대 형태의 벨트로 묶고 장기적으로 인천 송도를 개성 공단과 연결, 동북아 경제 중심지로 만드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핵심전략으로 설정했던 경제특구에 대해서도 국내 기업들이 우선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외국기업에만 적용키로 했던 법인세 감면 등 세제혜택과 교육, 병원 시설 이용 혜택 등을 국내 기업에도 적용하는 방안도 기대가 크다. 인수위가 정부안을 대폭 수정하는 것은 세금 감면, 영어공용화, 외국인 주거단지 조성, 외국인 학교, 병원 진출 허용 등의 비즈니스 환경만 조성한다고 해서 외국기업들이 들어올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들의 IT분야, 그중에서도 R&D 역량을 결집해 한국의 ‘실리콘밸리’를 만든다면 외국기업들은 돈을 벌기 위해서라도 몰려들 것이다. 그러나 인수위의 검토는 외국기업이 들어올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라도 만들어 놓고 외국기업 유치에 나서자는 당초 정부안을 뒤집자는 것이어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개별기업의 입지선정을 정부가 개입, 한 곳에 몰아간다는 지적은 그래서 나온다. 인천시 발전에 크게 기여할 IT 중심지 계획에 거는 기대가 기대가 크다.
사설
경기일보
2003-01-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