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건설사업에 사용되는 인천 앞바다 해사(海沙)가 앞으로 20여년 후면 바닥날 것이라는 관측은 무분별한 모래채취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경고다. 한국골재협회 인천지부의 의뢰를 받아 인하대 서해연안환경연구센터, 한국해양연구원, 한국지질자원 연구원이 2년동안 공동조사한 ‘인천 앞바다(경기만 일대) 해사 부존량 현황’에서 제기된 해사 고갈 전망은 이미 예상됐던 문제점이었다. 인천 옹진군 선갑도와 덕적도 등 경기만 일대에서 채취되는 해사량이 1년에 2천300만㎥, 15t 트럭으로 98만대분이다. 이는 전국 바닷모래 채취량(약 4천만㎥)의 60%, 수도권 골재 수요량의 80%를 차지하는 것이다. 인하대 서해연안 환경연구센터 등 연구기관들은 경기만의 현재 해사매장량을 20억㎥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중 실제 건축용 골재로 사용 가능한 채취 매장량을 5억5천만㎥로 보고 있다. 하지만 매년 2천300만㎥ 수준의 해사를 채취할 경우 앞으로 24년 후면 고갈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경기만의 해사 채취량은 1998년 1천600만㎥를 기록한 뒤 건설경기 호조로 1999년 1천800만㎥, 2000년 1천990만㎥, 2001년 2천300만㎥, 2002년 3천만㎥ 등 매년 증가세를 보여 고갈시점이 더욱 앞당겨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상태가 계속된다면 어류 산란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등 해양환경에 큰 변화가 생기므로 무분별한 해사 채취는 지양돼야 한다. 즉 지난해 채취량 3천만㎥를 기준으로 5년간 유지하고 2008년부터 5년 단위로 500만㎥씩 줄여 나가 2023년에는 1천만㎥를 채취하는 5년 주기의 해양학적 안식년제와 구역별 총량제를 도입, 건설경기에 따른 연간 골재 수요량 변동에 따라 신축적으로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향후 부족한 해사 채취량 개발을 위해 경기만 북부, 인천 장봉도 남서부의 광범위한 모래퇴적층 등 12해리 밖의 잔존량을 조사하여 대체 광구 개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해사 채취로 인해 발생하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함께 고려해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해사 채취 주변 해역을 보존,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방안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
사설
경기일보
2003-03-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