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좋고 품질이 뛰어난 경기지역의 쌀이 경기지역에서 생산된 것이 아니고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생산되어 경기지역의 여주쌀, 이천쌀로 바뀌면 과연 경기미의 명성이 어떻게 될까. 더구나 최근에는 국내에서 생산된 것도 아닌 중국쌀, 태국쌀까지 경기미로 둔갑하여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으니, 소비자를 우롱하는 잘못된 이런 상혼을 그대로 방치하면 유통질서의 혼란은 물론 경기미 명성에 커다란 훼손이 우려되어 시급한 대책이 요망된다. 최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원산지 허위 표시 등을 통해 부정 유통하다 적발된 사례가 70여건에 달하며, 이중 90% 이상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등 타도에서 생산된 쌀이 맛 좋은 여주쌀, 이천쌀로 둔갑, 고가로 판매되어 경기미의 명성을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경기지역 쌀 농가의 소득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다고 한다. 이같은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경찰은 최근 하남시에서 한 유통업자가 비밀창고에 포장설비 시설까지 갖춰놓고 타지역 쌀을 재포장하여 대형 유통업체에 납품시켜 수십억원의 부당 이득을 챙긴 혐의로 체포하였는데, 이런 사례는 실제로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농촌의 소규모 정미소에서도 타지역의 쌀이 경기지역으로 이동, 도정함으로써 교묘하게 둔갑되기도 하여 그 피해는 대단한 것으로 추산된다. 경기도를 비롯한 도내 지방자치단체는 경기미를 보호하기 위한 다각적 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으나 크게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쌀의 품질을 보증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때로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에서 생산된 쌀을 직접 판매하는 제도까지 실시하고 있는 사례도 있으나, 행정력의 한계 등으로 경기미 보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선 가장 필요한 것은 악덕 유통업자들을 적발하는데 경찰은 물론 농협 등과 같은 기관들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각 지자체, 농협, 수사기관에 경기미 불법유통신고센터를 개설하여 보상제 등을 실시, 적극적인 신고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도민 스스로 품질 좋은 경기도 쌀을 보호하려는 애향의식이 요구된다.
사설
경기일보
2003-02-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