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행락철을 맞아 피서객들의 무질서가 너무 지나치다. 전국 방방곡곡이 마찬가지이지만 경기·인천지역 유원지와 계곡, 바다·강에서도 쓰레기 불법투기와 취사행위, 인도를 점령한 노점상 등으로 큰 혼잡을 빚고 있다는 보도다. 하루 수천명의 등산객이 찾고 있는 수원 광교산의 경우, 종점에서 산 정상 레이더 기지로 올라가는 길 주변 계곡에는 삼삼오오씩 모여 고기를 구워 먹거나 음식물 등을 계곡에 씻는 취사행위를 벌이고 있다. 광교산은 상수원 보호구역이다. 취사행위 등을 할 수 없는데도 곳곳에 돗자리를 깔고 취사행위를 해 상수원의 오염은 물론 쓰레기가 계곡 주변에 쌓여 악취를 풍기고 있다. 용인시 수지읍 고기리 유원지도 마찬가지다. 동막천 상류에 위치한 음식점들이 평상들을 물가에 내놓고 개고기를 직접 요리하는가 하면 계곡물에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 내고 불법으로 좌판은 설치해 놨다. 이곳 역시 상수원보호구역인데도 공간이 있는 곳마다 취사행위를 하면서 각종 쓰레기를 마구 버리고 있다. 여주는 남한강을 찾는 외지 피서객들의 불법어로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등 더욱 심하다. 특히 법으로 금지돼 있는 어구를 이용해 치어를 싹쓸이하는가 하면 각종 쓰레기까지 무단 방치, 남한강 주변 환경을 크게 오염시킨다. 최근 남한강과 인접한 강천면과 금사면 등 지역은 가족·친목모임 단위의 피서객들이 투망과 배터리를 이용한 마구잡이식 불법 어로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어 중부권 주민들의 젖줄인 남한강 상류지역이 심각한 수준으로 오염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행락 무질서는 인천 지역도 별다르지 않아 행락인들의 자율보다는 집중단속이 요구된다. 당국은 산·계곡·바다·강·하천·저수지·유원지 등에 대한 행락질서 확립대책을 마련, 바가지 요금, 자릿세, 쓰레기 무단투기 등 각종 불법·무질서 행위를 단속하기 바란다. 이와 함께 피서객들의 편익을 위해 관광안내, 행락불편신고센터 운영, 인명구조 및 각종 안전시설을 철저히 관리해야할 것이다. 급수·휴게·탈의실, 화장실, 샤워장 등 편의시설과 유·도선, 놀이·체육시설, 번지점프 등 안전점검 실시도 급선무다. 피서철을 맞아 휴가를 즐기는 것은 자유지만 질서는 의무이며 책임이다. 행락객들의 공중도덕과 준법정신 생활화를 당부해마지 않는다.
사설
경기일보
2002-07-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