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공개 막말시비 진실 규명

시장비서의 막말 논란으로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중단돼 준예산 편성위기에 직면한 성남시가 책임소재를 가리기 위해 CCTV를 공개키로 했다.25일 시의회와 시에 따르면 한나라당 이덕수 의원과 이재명 시장의 정무비서 간 막말 진실공방을 풀어 줄 열쇠인 CCTV를 26일 공개할 예정이다.이 의원과 백 비서의 진실공방은 제181회 정례회가 정회를 거듭하다, 한 달간의 정례회 회기 종료시점인 지난 20일 자정을 20여분 앞둔 오후 11시40분께로 이들은 이 의원이 이날 오전 본회의장에서 판교철거민대책위와 이재명 시장의 몸싸움 과정 동영상을 공개, 서로 삿대질과 함께 고함을 치며 몸싸움 직전까지 갔었다.이 의원은 내년 예산안 통과 여부를 두고 시의회 여야 의원과 집행부 간부들이 대거 본회의장을 지키고 있는 가운데 5분 자유발언을 신청, 본회의장에 입장하려던 순간 백 비서가 네가 시장 친구냐, 말조심 해라 등 협박과 위협을 가했다고 밝혔다.이 때문에 정례회는 내년 예산안을 처리하지 못한채 회기를 마쳤다.시는 이 의원이 주장하는 것처럼 백 비서가 협박하고 위협하기보다는 너무 하는 것 아니냐는 등 서운함 수준의 발언을 했다며 CCTV를 공개할 수 있다고 맞섰다.결국 시의회 한나라당은 22일 CCTV 공개를 위해 영상자료 열람을 요청했고, 시는 공개를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시는 진실공방의 당사자인 이 의원과 백 비서의 공개 동의서가 접수되면 26일 공개하기로 했다.한편 공개 참관 범위에 대해 시의회 한나라당은 여야 시의원, 집행부 관계자, 언론인 등인 반면 시는 양 당사자, 여야를 대표하는 시의원, 집행부 관계자 등으로 이견을 보이고 있다.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서민들이 만든 ‘상원장학회’

1980년대에는 상대원동에 살기 어려운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들에게 뭔가 도움을 주며 함께 할 것을 찾다가 같은 생각을 가진 5명이 뜻을 모아 1989년 장학회를 만들게 됐습니다.가정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포기할 처지에 있는 이웃집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십시일반으로 시작된 상원장학회(회장 이용희75)가 우리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다상원장학회는 직장인, 퇴직자, 상인 등 9명의 회원이 함께 하고 있으며 모두가 나서기를 싫어하는 평범한 이웃이고 부자들은 아니지만 마음이 따뜻한 사람들로 구성돼 있다.상대원동 동네 이름을 붙인 상원장학회는 설립 당시에는 상대원동 출신 학생들에게만 혜택을 주었다. 그러나 몇 해 지나지 않아 지역의 우수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성남시 전역으로 선발 범위를 확대했다. 지금까지 23년 동안 총 263명에게 3억4천여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해 지역사회의 귀감이 되고 있다.이 회장은 인건비, 기자재비를 최대한 줄여서 한 명이라도 더 장학금을 주자는 생각에 직원 한 명 없는 장학회 사무실을 손수 청소하고, 컴퓨터 한 대 없이 사무를 본다. 이 회장은 일반 장학회는 장학회 회원 수를 늘리기 위해 각종 홍보를 하지만 이 장학회는 회원들에게 받기만 하고 주는 것이 없는데 어떻게 장학회 참여를 권하겠느냐며 스스로 참여해 주는 이들만 고마운 마음으로 함께 하고 있다고 말했다.스스로 장학회 사무실을 찾아가 4년째 장학회를 후원하고 있는 박정미씨(48여)는 상대원시장 골목에서 채소를 파는 상인이다.박씨는후원 회비를 돈이라 여기면 아깝지요. 그런데 우리 상대원동 주민 덕분에 제가 이렇게 장사를 하고 있으니 받은 것 중 일부는 돌려드려야겠다는게 제 마음이라며 요즘 경기가 좋지 않아서 장학회가 어려워요. 장학회에 좀 더 많은 후원자들이 함께 했으면 좋겠다며 속내를 털어놨다.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학생들이 가정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포기해야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취지로 서민들이 십시일반 모아 23년 동안이나 이끌어온 상원 장학회.이 회장은 상원 장학금을 받아 공부했던 학생들이 사회 일원으로 반듯하게 성장해 성실하게 사는 모습을 보면 고맙고 보람을 느낀다며 우리 장학회가 아무리 어려워도 이번만 장학금을 주고 내년부턴 주지 말자는 회원은 한 사람도 없으니까 내년에도 장학생을 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상원장학회 장학생 선발은 매년 2월 20일에 마감하고,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 중 고등학생은 학교장 추천, 대학생은 교수 추천을 받아 선발하고, 선발된 고등학생에게는 졸업 때까지, 대학생은 2년 동안 장학금을 지급한다.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성남시·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령친화 R&D센터 유치 협약

성남시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이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손잡고 고령친화 R&D센터를 유치해 협력 산업을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26일 오후 2시 시청 상황실에서 이재명 성남시장과 나경환 한국생산기술원장, 이용철 성남산업진흥재단 대표이사 등 관계자 22명이 참석해 고령친화 R&D센터 유치이전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고령친화산업인프라 확충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에 공동 참여하며, 성남시는 관련기업유치, 행정적 지원 등을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또, 입주 기업에 기술을 지원하고 연구기술정보제공, 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 관련 중소벤처기업 애로기술 현장 진단 등에 나서게 된다. 이번에 성남시와 협약을 맺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1989년 설립된 과학기술부 산하 정부 출연기관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생산기술 개발과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성남시의 고령친화종합체험관 운영과 고령친화 산업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성남시는 중원구 성남동 신한빌딩 내 3천640㎡ 규모를 임차해 3년6개월째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은 내년 2월 분당구 야탑동 221 신축건물로 이전한다. 지난 2008년 4월부터 총 240억원이 투입돼 신축 중인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은 지하2층, 지상3층 연면적 1만1천118㎡ 규모로 건립되며, 고령친화 R&D연구소, 실버관련 신기술 기업, 북 카페, 고령친화용품 판매점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곳은 온 국민이 고령자와 관련된 다양한 전시 제품을 직접 볼 수 있고, 여가, 요양, 주거 등과 관련한 고령친화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된다. 또 관련업계 종사자 및 일반인을 위한 교육훈련과 기초진료 서비스, 고령자 대상 사업을 하는 기업들을 위한 각종 지원 서비스도 제공된다. 성남시 관계자는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 시대에 부합하는 고령친화산업을 지역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또한 건전하게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성남시·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령친화 R&D센터 유치 협약

성남시의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이 내년 2월 중원구 성남동에서 분당구 야탑동으로 이전 예정인 가운데 시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손잡고 고령친화 R&D센터를 유치해 협력 산업을 체계적으로 발굴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26일 오후 2시 시청 상황실에서 이재명 성남시장과 나경환 한국생산기술원장, 이용철 성남산업진흥재단 대표이사 등 관계자 22명이 참석해 고령친화 R&D센터 유치이전을 위한 협약식을 갖는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고령친화산업인프라 확충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에 공동 참여하며, 성남시는 관련기업유치, 행정적 지원 등을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또, 입주 기업에 기술을 지원하고 연구기술정보제공, 인력양성, 고령친화산업 관련 중소벤처기업 애로기술 현장 진단 등에 나서게 된다. 이번에 성남시와 협약을 맺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1989년 설립된 과학기술부 산하 정부 출연기관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생산기술 개발과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성남시의 고령친화종합체험관 운영과 고령친화 산업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성남시는 중원구 성남동 신한빌딩 내 3천640㎡ 규모를 임차해 3년6개월째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은 내년 2월 분당구 야탑동 221번지 신축건물로 이전해 보다 체계적인 서비스를 하게 된다. 지난 2008년 4월부터 총 240억원이 투입돼 신축 중인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은 지하2층, 지상3층 연면적 1만1천118㎡ 규모로 건립되며, 고령친화 R&D연구소, 실버관련 신기술 기업, 북 카페, 고령친화용품 판매점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곳은 온 국민이 고령자와 관련된 다양한 전시 제품을 직접 볼 수 있고, 여가, 요양, 주거 등과 관련한 고령친화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된다. 또 관련업계 종사자 및 일반인을 위한 교육훈련과 기초진료 서비스, 고령자 대상 사업을 하는 기업들을 위한 각종 지원 서비스도 제공된다. 성남시는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 시대에 부합하는 고령친화산업을 지역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또한 건전하게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