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평 고속도로 의혹 강제수사·정치 수단화 중단하라”

양평군의회 국민의힘이 서울~양평 고속도로의 정치적 이용과 양평군청에 대한 경찰의 강제수사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평군의회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성명을 내고 “13만 군민의 염원이자 지역발전의 핵심 기반시설인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정치적 공방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며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후보가 서울~양평 고속도로를 정치적 이득을 위한 수단으로 삼고 있다”고 주장하며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또한 “앞서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과 일부 시민사회단체는 2023년 7월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전진선 양평군수 등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고발했는데 이와 관련해 지난 16일 경찰이 국토교통부와 양평군청 등을 압수수색했다”며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라는 정치적 프레임 하에 진행된 것이 이번 압수수색”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1년 10개월여 간 원희룡 전 장관 등 핵심 피고발인에 대한 직접 조사 없이 고발인과 참고인 조사 등으로 지연되던 수사가 최근 갑작스럽게 강제수사로 전환됐다. 정치적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양평군민의 염원을 정쟁의 대상으로 삼아 진행한 고발을 모두 취하하고, 강제수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양평지역 일부 봉사자 회원과 ‘서울-양평 고속도로 추진 대개 범대위’ 등 지역사회 일각에서도 지난 18일 서울~양평고속도로 수사와 관련해 성명을 내고 “대선이 코앞인 상황에서 압수수색을 한 것은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는 것“이라며 ”고속도로가 더 이상 정쟁의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 고발을 취하하고 수사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평 지평·양동 주민들, 지방도 342호 월산~고송 연결 재추진 촉구

양평군 지평·양동면 주민들이 20년 전 실시설계가 끝난 뒤 중단된 지방도 342호선 연결구간 조속한 공사 재개를 촉구하고 나섰다. 14일 군과 해당 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해당 도로는 지평면 월산리와 양동면 고송리를 연결하는 미개통 3.6㎞ 구간이다. 이 구간은 도로 폭이 3m로 협소하고 굴곡이 심한 산악 비포장도로여서 차량 통행이 어려운 상태로 주민들은 약 17㎞를 우회해 다니고 있다. 고송리에 있는 골프장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지역 교통량도 늘고 있는데다 우회 도로도 겨울철 살얼음(블랙아이스) 등으로 사고 위험이 높은 상황이어서 교통 불편과 안전 문제를 해소해달라는 요구가 지속돼 왔다. 경기도는 해당 구간의 교통불편 해소와 지역간 균형발전 등을 위해 2004년 도로 개설을 위한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편입 토지 보상까지 진행했다. 하지만 2016년 지방도 건설 사업 우선순위에서 남부지역 14순위로 밀려났고 2023년에는 장기 미추진 지방도 사업 정비방안에 따라 재검토 대상으로 분류됐다. 현재 타당성 재조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업 추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주민들은 “수도권이라는 명목 하에 중첩규제가 적용돼 양평 동부권은 개발에서 소외되고 낙후돼 있다”며 “균형 발전과 교통복지 증진, 수도권 전철 지평역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도로 개설 사업은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진선 군수는 “해당 도로 연결은 지평면과 양동면 주민 뿐 아니라 양평군민 모두가 오랜 기간 염원해온 숙원사업”이라며 “낙후된 동부권 균형 발전을 위한 교두보로 반드시 재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