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지역엔 망자(亡者)들을 위한 화장시설이 한 곳도 없다. 주민들은 화장을 하기 위해 경기남부지역이나 강원도, 충청도까지 가야 한다. 이렇게 되면 비용도 많이 지불할 뿐만 아니라 화장장이 포화 상태일 경우, 화장장을 구하지 못해 4~5일 장을 치를 때도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망된다.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와 더불어 화장장 부족 현상은 전국적인 추세이기는 하지만, 특히 경기북부지역은 망자에 대한 화장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승화원과 지자체 간 협력이 돼 있는 고양과 파주를 제외한 가평, 동두천, 양주, 의정부, 연천, 포천 등은 다른 지역의 화장장을 사용할 경우 외지인으로 취급받아 사용료의 10배인 100만원을 지불, 이용하고 있다. 최근 장례관습의 변화로 사망자의 화장률은 경기도의 경우 92.6%에 달할 정도로 보편화돼 있다. 경기북부지역의 경우 월 사망자가 평균 550명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화장을 원하고 있음에도 화장시설이 해당 지역에 없어 경기남부, 강원도 등 원정 화장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화장장이 없는 경기북부지역 지자체들은 이런 문제점을 인식, 10여년 전부터 광역화장장 건립을 추진해 왔다. 또한 선거 때마다 단체장 후보자와 국회의원 후보자는 화장장 건립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화장장 예정부지 주민들이 혐오시설 건립 반대운동을 전개, 계획 자체가 무산됐다. 지난 6월 지자체 선거에서도 일부 단체장들이 광역화장장 설치를 공약했지만, 과연 주민들의 반대를 극복해 제대로 추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경기북부지역의 화장장 건립은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더구나 경기북부지역은 각종 개발사업이 활발해지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화장장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감안하면 화장장 건립은 시급한 현안이다. 따라서 지자체는 이런 화장장 건립의 필요성을 주민들에게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동의를 구해야 할 것이다. 주민들은 지금까지 화장장 건립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또한 설치를 요구하고 있지만, ‘내 지역에 혐오시설은 안 된다’라는 님비(NIMBY: Not In My Back Yard)로 불리는 지역이기주의에 의해 반대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제 주민들도 대승적 차원에서 광역화장장 건립의 필요성을 인식, 전향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경기북부지역 지자체들은 화장장 건립 예정지 주민들과 상생협력해 광역화장장 건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해야 한다. 또한 경기도는 경기북부지역 발전 차원에서 광역화장장 건립을 위해 최대한 재정적 지원을 해서 조속히 설치되도록 해야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22-08-28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