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의 경제 정책 방향이 나왔다. 취약계층을 타깃으로 하는 빠르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이다. 당선 이후 그가 내놓은 사실상의 첫 선언이다. 23일 인수위 내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직접 한 발언이다. “경제 위기의 충격은 취약 계층에 집중된다”고 했다. “가시적이고 작더라도 애로를 겪고 있는 취약계층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했다. “다른 지역에서 아직 하지 못하거나 바로 시행하지 못한 것들을 선도적으로하는 모습을 도민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자”고 했다. 당선인의 이런 취지에 맞춘 구체적 방안도 나왔다. 인수위 비상경제대응 TF가 밝힌 ‘5대 긴급 대책’이다. 농어업인 면세유 및 물류비 지원, 비료가격안정 지원, 수출보험 지원, 수출기업 물류비 지원, 납품단가 연동제 제도 도입 촉구 등이다. 실행 방안이 상당히 세밀하다. 이를테면 지원되는 휘발유, 경유 등 면세유를 총 7억6천737ℓ로 정했다. 무기질 비료 가격 인상분 80% 지원 예산 150억여원도 산정했다. 기업 물류비 지원도 200개사에 200~300만원씩 정했다. 지원 대상도 200개 중소 수출기업으로 정했다. 김동연 당선인에 거는 도민의 기대는 경제다. 경제 관료와 경제 학자로 살아온 그의 경험이다. 경기도라는 지역에 적용될 그의 경제 정책에 관심이 많다. 항간에는 지나치게 거시적 관점이 지역민의 기대와 접목될 수 있을 지에 대한 궁금증도 있다. 이런 가운데 그가 내놓은 사실상의 첫번째 경제 정책 방향이다. 경기도라는 지역 실정에 맞춘 세부적 주문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향후 도정 경제에도 적용될 지침으로 해석된다. ‘취약 계층, 빠른 구상, 체감 정책’이 경기도 정책 수행의 기본이 되지 않을까 싶다. 기재부에서 전해 오는 ‘김동연 평가’가 있다. ‘함께 일하기 힘든 상관, 김동연’이란 평가와 ‘함께 일하고 싶은 부하, 김동연’이란 평가가 공존한다. ‘맡긴 일은 반드시 확인하고, 맡은 일은 반드시 완수한다’는 부연 설명이 따른다. 경제 관료 특유의 꼼꼼함과 철저함을 짐작케 하는 평이다. 어찌 보면 그 다운 정책 방향을 경기도정에 던진 것이다. 경기도 규모에 맞는 현장감 있는 방향 설정이라고 평가한다. 추상적이 아니라 구체적일 것 같고, 정치적이 아니라 행정적일 것 같다. 촘촘한 경기도 행정으로 가나. 기대한다.
사설
경기일보
2022-06-26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