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시·군 간 해묵은 갈등이 민선 8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민선 7기 당시인 2018년 18건이던 도내 ‘공공 갈등’은 올해 36건으로 2배 늘었다. 중앙과 지자체 간 14건, 기초지자체 간 14건, 광역과 기초지자체 간 6건, 중앙과 민간 간 1건, 광역지자체 간 1건 등이다. 기초지자체 간 갈등 14건 중 8건은 교착상태에 빠져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용인·안성시와 평택시는 송탄·유천 취수장 일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문제를 두고 40년 넘는 갈등을 빚고 있다. 송탄·유천 취수장 일대가 1979년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 용인·안성 주변지역 개발이 불가능해 낙후되면서 지자체 간 갈등이 불거졌다. 평택시는 안정적 물 공급과 수질오염 방지를 이유로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반대하고, 용인·안성 주민들은 재산권 행사를 못한다며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경기도가 중재에 나섰지만 해결이 안 된 상태다. 굴포천 위치 변경으로 인한 행정구역 조정 문제로 부천시와 인천 부평·계양구 간 갈등도 1999년 이후 계속되고 있다. 굴포천을 중심으로 부천시와 부평·계양구 사이 경계가 정리되지 않은 탓이다. 남양주시와 구리시는 왕숙천 직선화 공사로 하천 형상이 바뀌면서 경계 조정이 필요한데 면적이 줄어드는 구리시 반대로 1994년 이후 냉전 상태다. 이외에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용인과 안성), 고기교 확장(용인과 성남). 하수처리장(양주와 동두천), 신시가지 악취(양주와 동두천), 송전선로 지중화(안성과 평택), 치매안심마을(양주와 서울 용산구), 자원회수시설 증설 이전(의정부와 양주, 포천), 공공주택지구 내 하수처리장 입지(과천과 서울 서초구), 비선호시설 갈등(이천과 충북 음성, 여주와 이천, 이천과 광주) 등이 있다. 상당수 지자체 간 분쟁과 갈등은 장기화·첨예화 돼 있다. 서로 이해 관계가 얽혀 복잡하다. 하지만 의지가 있으면 풀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경기도는 2018년 도내 갈등 현안을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갈등조정관’ 제도를 도입했다. 나름대로 갈등을 조정·중재하는 역할을 했지만, 현재 갈등조정관은 5명에서 2명으로 줄었다. 그 사이 지자체간 갈등은 더 늘었다. 김동연 지사가 다시 지자체 갈등 조정에 나섰다. 갈등조정관을 5명으로 늘리고 제도 개선을 통해 공공 갈등을 풀어보겠다고 했다. 민선8기 시장·군수 간담회에서 ‘정책협력위원회’를 구성, 도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을 약속했다. 민선 8기에서 해묵은 지자체 간 갈등이 해결될지 주목된다. 경기도가 나선다 해도 기초지자체가 협력하지 않으면 해결이 어렵다. 폭넓은 의견 교환을 통해 소모적 대립을 끝내고 상생 해법을 찾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사설
경기일보
2022-08-11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