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는 축제다. 민주주의의 축제이자 꽃이다. 선거 출마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에게 자신의 의견, 즉 공약을 설명한다. 또 시민은 이들의 의견을 듣고 스스로 한 명을 선택하고, 선택한 사람을 지지하는 것은 물론 믿고 따라준다. 요즘 한창 4월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떠들썩하다. 또 하나 관심받는 선거가 있다. 국립대인 인천대학교의 새로운 총장 선거다. 현 총장의 임기가 7월에 끝나다 보니, 집행부 인수인계 과정 등을 감안하면 5월 말에서 6월 초엔 앞으로 4년간 학교를 이끌어갈 새로운 총장이 탄생한다. 그동안 인천대 총장은 교수 등 구성원이 직접 총장 후보에게 투표하는 직선제로 선출됐지만, 현행 인천대법률과 정관에 의해 새로운 총장 선출은 간선제로 이뤄진다. 최근 관련법에 따라 총장 선출을 위한 총장추천위원회가 꾸려졌고, 이제 본격적으로 선거를 준비한다. 총장추천위원회가 새로운 총장 후보 모집 공고를 내면, 후보들은 20명의 교직원으로부터 추천서명을 받아 총장 후보로 등록한다.이후에도 모든 선거는 총장추천위원회를 통해 예비후보 선정, 공식 총장 후보자 결정 등이 이뤄진다. 이사회가 공식 총장 후보자 3명 중 1명을 선임해 교육부에 보고하면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게 된다. 아쉬운 점은 간선제라는 점이다. 수년 전 인천대가 국립대로 전환될 때 제정된 관련법에 간선제로 명시되어 있다. 당시 많은 관계자가 이를 놓쳤거나, 간과했던 것 같다. 예전처럼 총장 선출방법의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보장하기 직선제 방식으로 이뤄져야 학교 내 교직원과 학생 등이 관심을 갖고, 참여하는 진정한 축제가 되는데 말이다. 자칫 간선제는 그 과정에서 교직원들의 줄세우기식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부산대의 한 교수가 총장 직선제 사수를 외치며 투신해 숨지는 일도 발생할 정도로, 직선제와 간선제의 차이는 크다. 인천의 몇 안 되는 장·차관급 직위고, 대학을 이끌어가는 최고의 결정권자이자 이사회의 당연직 이사인 총장. 선거 방식의 차이를 극복하고 가장 현명한 총장이 선출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민우 인천본사 차장
오피니언
이민우 인천본사 차장
2016-02-2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