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 22일부터 ‘바라지상회’ 본격 운영…우수 브랜드 상품 판매

시흥시가 자체 개발한 브랜드 상품과 시흥시 기업제품 약 40여종의 우수 브랜드 상품이 ‘바라지상회’를 통해 판매된다. 시는 도시브랜드를 홍보하고, 우수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는 바라지상회를 22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바라지상회는 시가 직영으로 현재 오이도 빨강등대와 시흥시청 정문 앞 2개소에서 운영 중이며 시가 자체 개발한 브랜드 상품과 시흥시 기업 제품 약 40여종을 판매할 예정이다. 이들 제품은 시흥시 브랜드 상품 심의위원회를 거쳐 우수 브랜드 상품으로 선정된 상품들이다. 향후에는 청년 기업, 사회적 기업, 마을 기업, 공예품, 지역 특산품 등에 시흥시 도시브랜드 디자인을 입힌 상품을 발굴하여 시흥만의 이야기와 시민들의 꿈이 담긴 보다 다양한 브랜드 상품을 육성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바라지상회에서는 우수 브랜드상품에 대한 판매는 물론 상품 디자인 관리, 마케팅, 판로개척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으로 상품성은 우수하지만 디자인이나 마케팅이 부족해 판로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흥시민과 기업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시흥시, 2020년 계획인구 70만명 수정 불가피…신도시 인구증가 예측 빗나가

시흥시가 택지개발에 따른 인구증가 예측이 빗나가면서 오는 2020년 계획인구 70만 명의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는 5개 택지개발지구의 일부가 개발이 완료돼 입주가 본격화되고 일부 택지는 향후 1∼2년 내에 입주가 완료될 예정이지만, 기 입주가 이뤄지고 있는 지역의 입주율을 감안한 인구 증가율은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9일 시에 따르면 현재 시흥시의 인구는 45만 명(외국인 3만 명)이며, 현재 입주가 50% 수준인 목감택지개발지구와 배곧신도시의 계획인구 8만4천 명중 입주율 50% 감안하면 4만2천 명이 증가해야 하지만 전체인구의 2.4%수준인 1만 명 증가에 그쳤다. 시는 관내 택지개발지구의 계획인구는 목감지구 3만2천 명, 배곧신도시 5만2천 명, 은계지구 3만4천 명, 장현지구 4만8천 명, 시화MTV 1만4천 명과 매화산업단지 입주, 개발제한구역 토취장 개발, 광명ㆍ시흥첨단도시가 완공되면 모두 16만7천여 명 이상이 증가해 현재 인구 45만 명을 합쳐 오는 2020년에 인구 70만 명의 대도시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시는 2020 시흥시 도시기본계획에서 인구 70만 명을 계획했지만, 현재 입주율에 비해 소폭의 증가율을 감안하면 오는 2020년 55만 명, 2022년 63만 명이 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 같은 입주율에 비해 계획인구의 증가폭 둔화는 비교적 낙후된 관내 기존 주택거주 인구의 이동이주 요인으로 꼽히며, 인구증가분은 인근 광명시, 안산시 등에서 비교적 값싼 아파트 구입에 따른 인구유입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반면, 안산시의 경우 주택가격이 비교적 싼 인근 화성 송산그린시티로의 인구 대이동이 이뤄지면서 인구가 오히려 감소한 상황에 비하면 다행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구증가율이 예상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어 오는 2020년 계획인구 70만 명의 수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라며 “국내 전체 인구의 감소가 예상되는 오는 2030년을 목표로 계획인구의 수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시흥시, 문체부 ‘관광두레사업’ 우수지역 선정…2년 연속

시흥시는 문화체육관광부 2017년 관광두레사업 평가에서 우수지역으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16년에 이어 2년 연속 우수지역으로 선정되면서 관광사업체의 성공적 창업과 자립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두레사업 평가단을 구성, 사업 전반에 대한 서류평가 및 PD 대면평가(발표 및 인터뷰)를 실시해 우수지역을 선정했다. 시흥시 관광두레사업은 2016년(1차년)에 시흥갯골사회적협동조합, 공정여행 동네, 글로벌시흥 홈스테이, 예명원, 자투리꽃, 시흥연사랑협동조합 등 6개 주민사업체를 사업 대상으로 선정해 사업계획을 수립했고, 2017년(2차년)에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통해 교육, 멘토링,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사업체의 역량을 강화하면서 파일럿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올해에는 창업 및 경영개선, 주민사업체 간 연계 협력을 통해 성장의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관광두레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이 지역관광의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관광사업체의 성공적 창업과 자립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흥=이성남기자

시흥시, 외국인 산업재해 크게 줄었다…지난해 65% 감소율

시흥시가 한국어에 능통한 결혼이민여성을 채용해 근로자 재해예방 활동을 펼친 결과 산업재해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안전보건공단 공모사업을 통해 한국어에 능통한 결혼이민여성을 안전보건강사로 양성하고, 이를 외국인 근로자 재해예방 활동에 투입함으로써 지난 2017년에는 외국인 제조업 재해자수가 285명으로, 이는 전년대비 131명이 감소한 것으로 65%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또 외국인 건설업 재해자수는 92명에서 74명으로 18명이 감소했다. 시는 스마트허브 국가산업단지(50인 미만 산업장 97.6%)가 소재하고, 외국인 주민은 4만3천295명으로 인구대비 비율 1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경기도 31개 시군 중 4위로 외국인 거주 순위가 높지만, 언어소통 문제와 영세사업장 안전의식 부족으로 외국인 근로자 안전관리가 소외돼 있는 현실이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사업을 기반으로 안전보건공단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 안전의식을 깨우기 위한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외국인 고용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찾아가는 사업장 건강증진활동 등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자국어의 안전보건교육을, 사업주에게는 안전문화 인식확산을 홍보함으로써 건강관리 서비스를 사업장 근로자 모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시는 외국인 근로자의 재해예방과 안전, 그리고 건강을 위해 안전보건공단의 재원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사업을 전개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가 안전보건공단이 시행하는 2018년도 안전문화 확산 공모사업 산재 취약사업 분야에 ‘외국인 근로자 안전의식 선도사업’에 5년 연속 선정됨으로써 지속적인 재해예방 활동을 추진하게 됐다. 시흥=이성남기자

교육부, 교육국제화특구에 안산·시흥시

외국어 교육 및 국제화 교육 활성화를 위해 조성되는 교육국제화특구에 안산시와 시흥시가 지정됐다. 경기도교육청은 12일 최근 교육부가 안산시와 시흥시 전역을 제2유형(지역상생발전형 글로벌인재육성) 교육국제화특구로 지정, 고시했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국제화특구는 국제화 전문인력 양성과 국제경쟁력 강화,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지향하며 교육국제화특구의 지정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교육특구법)에 따라 외국어전용 타운, 국제교류시설 등 교육국제화 인프라 구축도 가능하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말 교육부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번 지정으로 도교육청은 앞으로 특구 지역에 국제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이들 학교에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학사 운영 등 자율권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중도입국자녀와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 진학, 진로 등 취업 전까지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해 다문화 학생들의 공교육 적응을 돕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국제화특구가 외국어 몰입교육으로 이어지고 결국 특권교육의 결과를 낳는다는 지적이 있는 건 알고 있다”면서도 “특구로 지정되면 매년 실시계획을 수립, 시행해야하는데 이 계획을 심의하는 위원을 다양하게 구성하는가 하면 교육특구법이 오용되지 않도록 여러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승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