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소방서 이일주 소방경, 비번 중 신속대처로 대형화재 막아

비단 소방 공무원이 아니라도 화재현장을 목격한 목격자로서 소중한 생명을 지키려고 노력했을 뿐입니다. 한 소방관이 신속한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를 펼쳐 자칫 대형 인명 피해로 번질뻔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한 일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다. 화제의 주인공은 광주소방서 현장지휘 작전 담당 이일주 소방경(52). 이 소방경은 지난 17일 오전 평상시와 다름 없이 야간 근무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가족과 함께 아파트 베란다를 청소하고 있었다. 가족과 아파트 베란다 청소하던 중 인근 주택가 화재 발견 신속 대응 건물에 갇혀있던 주민 3명 구출 그러던 중 인근 주택가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목격했고, 이 소방경은 반사적으로 화재 현장으로 뛰어갔다. 화재가 발생한 곳은 어린이집이 입주해 있는 4층짜리 상가 건물. 불은 막 일어나기 시작한 시점이었지만 화재 현장이 어린이집이라 혹시라도 아이들이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마음이 급해졌다. 이 소방경은 현장 도착과 함께 인근에 있는 비상소화장치함을 찾아 열고, 소방호스를 소화전에 연결하는 등 신속한 대응으로 초기진압에 나섰다. 당시는 진압복은 물론 기본적인 안전 장구도 착용하지 않은 위험한 상황이었지만 화재현장을 구경만 하고 있을 수는 없었던 이 소방경은 안전보다 생명을 우선시하는 소방관의 임무를 다할 수밖에 없었다. 이 소방경의 신속한 대처로 짙은 연기로 대피하지 못하고 건물에 갇혀 있던 주민 3명이 다행히 밖으로 대피할 수 있었고, 2층에 고립되어 있던 주민 3명도 무사히 구출할 수가 있었다. 화재는 전체면적 700㎡의 4층짜리 건물 3개 층 150㎡ 규모를 태우고 30여 분만에 진화되었으며, 다행히 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 소방경은 소방관이라는 직업병으로 할 일을 했을 뿐이다며 나와 이웃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최일선에서 항상 노력하겠다며 주위의 칭찬을 고사했다. 한편, 경찰은 이 날 화재원인은 인근 놀이터에서 초등학생들이 라이터를 가지고 놀다가 화재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하고 수사 중이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남기태 광주시청 징수과 팀장 “도시락 봉사로 시작된 이웃사랑… 나눌수록 기쁨 두배”

가정형편이 어려워 점심을 굶는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안겨 줄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광주시청 징수과에 근무하는 남기태(47) 팀장은 현재 봉사단체인 마투리 소속 회원이다. 현직 공무원으로 행정일선에서 바쁜 하루를 보내던 남 팀장은 지난 2004년 우연한 기회에 광주지방공사 안병균 업무이사 및 지인들과 함께 학창시절 도시락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싸주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바로 도시락봉사 아이템을 관철, 이웃사랑을 모토로 봉사단체 마투리를 결성했다. 마투리는 곡식의 양을 섬이나 가마로 잴 때에, 한 섬이나 한 가마가 되지 못하고 남은 양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다. 회원들은 9년째 급여에서 1만 원 미만의 금액을 떼 성금을 마련, 현재 가정 형편이 어려운 지역 내 12명의 학생에게 중식 및 교복비 등으로 월 10만 원씩을 교육비로 지원하고 있다. 남 팀장은 마투리 모임은 임원이 없습니다. 모두가 같은 회원이자 주인으로서 책임감과 열정을 갖고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것 뿐이다며 쑥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나 낮은 곳에서 훈훈하게 퍼진 사랑 바이러스는 첫해 자발적으로 동참을 원하는 광주시청 공무원 80여 명으로 시작됐다. 현재는 216명의 회원을 비롯해 교육청 등 지자체 기관과 지역기업인 두일캡(주)삼화캠 등이 참여하는 지역공동체봉사단으로 규모가 커졌다. 이뿐 아니다. 지난해 크리스마스에는 신촌 블루스 그룹의 보컬 김세현씨가 참여한 공연봉사를 펼친 데 이어 지역 내 복지시설인 은혜동산을 찾아 실내외 청소봉사 및 노후 시설 보수 등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다채로운 봉사아이템은 남 팀장과 마투리 회원이 뿜어내는 다양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한다. 특히 남 팀장은 지난 2009년 경기공무원 봉사대상을 받기도 하는 등 봉사일선에서 뛴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남 팀장은 광주시청 직원이 1천여 명에 가까운데 반해 후원에 참여하는 인원은 5분의1 정도에 그치고 있다며 더욱 많은 직원들이 참여해 결식 어린이와 독거노인, 병고에 시달리는 환자 등에게 사랑을 함께 나눴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